[include(틀:시설)] {{{+1 地下道路 | Underground road}}} [목차] == 개요 == >'''지하도로 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1장 총칙''' >'''제2조 정의''' >1. “지하도로”라 함은 도로ㆍ광장 기타 공공시설용지(이하 “도로등”이라 한다)의 지하에 설치된 지하공공보도의 지하도상가 및 그에 따른 지하도출입시설등 지하공간 이용시설을 말한다. [[지하]]에 있는 [[도로]]. [[지하차도]] 역시 지하도로에 포함되는 개념이지만, 통상적으로 지하도로라 함은 전부, 혹은 일부 구간이 통째로 [[지하화]]된 도로를 말하며, 다른 도로나 시설물을 통과하기 위해 국소적으로 지하로 들어가는 지하차도와는 차이가 있다. == 상세 == 지하도로는 [[도시]] 내부의 각 지역을 빠르게 잇기 위한 [[도시고속도로]]의 역할과 기존 도로망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지어진다. 그러나 이미 개발된 도심지에서는 [[도로]]를 새로 짓기 위한 용지를 매수하기가 극히 어려우므로 아예 대심도로 도심의 지하를 통과하는 도로를 짓게 된 것이며, 도로 폭을 더 확장할 수 없는 경우에도 지하도로를 만들어 용량을 해소한다. 기존의 도로를 [[지하화]]하여 생기기도 하지만, 아예 처음부터 계획을 지하도로로 계획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나 도로 계획 상 어쩔 수 없이 도심지를 통과하게 될 때 지하도로로 시공을 하게 된다. 기존 도로를 지하화하는 경우는 도로로 인해 단절되어 있던 시가지를 연결하고, 상부에 공원을 조성하여 연결녹지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로 인근 주택가의 소음, 진동, 매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하도로는 일반도로에 비해서 건설 시 비용이 훨씬 많이 든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용지를 매수해서 도로를 짓느니 지하도로를 짓는 게 오히려 싸게 먹힐 수 있다. == 목록 == === 완공 === * [[경부고속도로]]([[기흥동탄IC]]~[[동탄분기점]] 지하화) * [[서부간선지하도로]](신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인천북항터널]], [[청라국제지하차도]] 신설) * [[신월여의지하도로]](신설) * [[도봉지하차도]]([[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및 확장) === 공사 중 === *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 계획 === * [[고양양재고속도로]] * [[경부간선도로]] 지하화 * [[강변북로]]([[가양대교]]북단~[[한남대교]]북단 지하화) * [[자유로]] 지하화 * [[국회대로]] * [[경부고속도로]]([[기흥동탄IC]]~[[양재IC]]) * [[경인고속도로]]([[서인천IC]]~[[신월IC]]) * [[도곡로]](강남세브란스~대치우성아파트) * [[동부간선도로]]([[일원터널]]~[[월릉교]]) 현재의 동부간선도로는 강북 구간과 강남 구간이 이름만 같은 도로이고, 실상은 완전히 떨어져 있는 구간이다. 강북 구간은 [[중랑천]]을 따라 [[송정동(서울)|송정동]]에서 서쪽으로 꺾어 [[성동교]] 방면으로, 강남 구간은 [[청담대교]] 북단에서 끝나니, 두 구간이 [[강변북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뿐 한 도로처럼 직결이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동부간선도로 강북 구간 중 서쪽으로 꺾이는 부분에서 분기하여 [[성수동]]과 [[한강]]을 지하로 지나고,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를 지나 [[성남강남고속도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안이 추진되고 있으며 [[2023년]] 상반기에는 착공하여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중 대치IC에서 [[영동대교]] 남단은 서울시 재정사업으로, 영동대교 남단에서 [[월릉교]]까지는 민자사업으로 진행된다. * [[성남강남고속도로]] * [[언주로]](개포지하차도~개나리아파트) * [[테헤란로]] [[분류: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