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역사)] ||<-3> {{{+2 {{{#ece5b6 '''진[br]晉'''}}}}}}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서진 전국도.png|width=100%]]}}}{{{-1 서진 시기}}}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전진-동진.png|width=100%]]}}}{{{-1 동진 시기}}} || ||<-3> {{{#ece5b6 '''265년 ~ 420년'''}}} || ||<-2> '''{{{#ece5b6 성립 이전}}}''' || '''{{{#ece5b6 멸망 이후}}}''' || ||<-2> [[위(삼국시대)|{{{#ece5b6 '''조위'''}}}]] || [[송(남조)|{{{#fff '''유송'''}}}]] || || {{{#ece5b6 '''별칭'''}}} ||<-2>사마진(司馬晉) || || {{{#ece5b6 '''위치'''}}} ||<-2>[[중국 대륙]] || || [[수도(행정구역)|{{{#ece5b6 '''수도'''}}}]] ||<-2>[[뤄양시|낙양]](洛陽) {{{-2 (265년 ~ 313년)}}}[br][[시안시|장안]](長安) {{{-2 (313년 ~ 317년)}}}[br][[난징시|건강]](建康) {{{-2 (317년 ~ 420년)}}} || || {{{#ece5b6 '''정치 체제'''}}} ||<-2>[[군주제]] || || {{{#ece5b6 '''국성'''}}} ||<-2>[[사마(성씨)|사마]](司馬) || || {{{#ece5b6 '''국가원수'''}}} ||<-2>[[황제]] || || {{{#ece5b6 '''주요 황제'''}}} ||<-2>{{{#!folding [ 펼치기 · 접기 ] [[무제(서진)|무제 사마염]] ,,,(265년 ~ 290년),,,[br][[혜제(서진)|혜제 사마충]] ,,,(290년 ~ 306년),,,[br][[원제(동진)|원제 사마예]] ,,,(317년 ~ 323년),,,[br][[명제(동진)|명제 사마소]] ,,,(323년 ~ 325년) ,,,[br][[성제(동진)|성제 사마연]] ,,,(325년 ~ 342년),,,[br][[목제(동진)|목제 사마담]] ,,,(344년 ~ 361년),,,[br][[효무제(동진)|효무제 사마요]] ,,,(372년 ~ 396년),,,[br][[안제(동진)|안제 사마덕종]] ,,,(396년 ~ 418년),,,}}} || || {{{#ece5b6 '''언어'''}}} ||<-2>[[중고한어|중세 중국어]] || || {{{#ece5b6 '''문자'''}}} ||<-2>[[한자]] || || {{{#ece5b6 '''종교'''}}} ||<-2>[[유교]], [[대승 불교]], [[도교]], [[중국 신화|중국 토속 종교]] || || {{{#ece5b6 '''종족'''}}} ||<-2>[[한족]] || || {{{#ece5b6 '''통화'''}}} ||<-2>[[오수전]] || || {{{#ece5b6 '''현재 국가'''}}} ||<-2>[include(틀:국기, 국명=중국)][br][include(틀:국기, 국명=베트남)] {{{-2 (북부)}}}[br][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2 (일부)}}}[br][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2 (일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위진남북조]]의 [[국가]]. [[사마의]]가 시조이며 [[무제(서진)|사마염]]이 건국한 [[사마|사마씨]]의 [[제국]]. [[국성]]과 [[국명]]을 합쳐 사마진이라고도 불린다. [[삼국지]]를 끝낸 나라로 유명하다. [[삼국시대]]를 통일한 [[중화제국]]이 [[영가의 난|311년]]에 흉노에게 [[중원]]을 뺏기고 316년에 [[관중]]까지 잃고 이듬해인 317년 건업에 있던 [[종친]] [[원제(동진)|사마예]]가 자신이 안동장군(安東將軍)으로 부임한 건강으로 [[천도]]했기에 이후의 [[송나라]]([[북송]]-[[남송]]), [[요나라]](요-[[서요]]), [[명나라]](명-[[남명]])같이 [[수도(행정구역)|수도]]가 위치한 시기별로 [[서진]]([[뤄양|낙양]])과 [[동진]]([[난징시|건강]])으로 나눈다. == 역사 == === [[서진]](西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진)] === [[동진]](東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진)] == 서진과 동진의 연관성 == 동진의 실효 지배력은 초기에는 [[원제(동진)|사마예]]의 세력권인 [[건업]] 일대에만 미쳤을 뿐이고, 나머지 강남 지역은 동진의 통치력이 미치지 못했다. 일단 현재 중국 사학계에서도 동진이 명목상 강남 지역 전체를 지배하였다고 보고 있다. 게다가 통일 후 서진 시대의 대부분은 [[팔왕의 난]]으로 전국이 전란으로 [[난세]]였고, [[오호]]들이 들어와 활개를 치고 다녔으며, 이미 301년부터 [[전조]], [[성한]], [[전량]] 등 [[5호 16국]]이 우후죽순으로 독립했기에, 서진이 통일왕조였던 기간은 20년에 불과했다. 서진은 명목상 317년에 멸망했다고는 하나 이미 311년 수도 [[낙양]]이 함락, 황제 [[진회제]]가 한([[전조]])에 끌려가고 [[후궁]], [[궁녀]], [[황족]] 수천명이 [[납치]] 처형, 낙양에 살던 수만명이 [[학살]]당하며 왕조는 사실상 멸망한 상황이었다. 이후 살아남은 잔여 세력들이 [[서안|장안]]으로 도피하여 [[진민제]]를 황제로 추대하여 서진의 여명을 이어갔으나 장안 일대에만 영향력을 미쳤을 뿐이었다. 이후 316년 장안이 함락되며 잔여 세력까지 완전히 멸망하고 사마씨 적통은 완전히 끊겼다.([[영가의 난]]) 그리고 건강 지역에서 번왕으로 세력권을 형성하고 있던 사마씨 황족 출신 사마예가 스스로 칭제해서 동진을 건국했다. == 열성(列聖) == [include(틀:역대 사마진 황제)] || 대수 || 재위기간 || 묘호 || 시호 || 성명 || 약력 || 능호 || ||<-2><|3> (추존) || 고조(高祖) || 선황제(宣皇帝) || [[사마의]]([[懿]]) || 사마염의 조부, 건국의 기초를 닦음.[br]179년 출생, 251년 사망. 73세. || 고원릉(高原陵) || || 세종(世宗) || 경황제(景皇帝) || [[사마사]]([[師]]) || 사마염의 백부.[br]208년 출생, 255년 사망. 48세. || 준평릉(峻平陵) || || 태조(太祖) || 문황제(文皇帝) || [[사마소]]([[昭]]) || 사실상 진나라의 초대 군주.[br]211년 출생, 265년 사망. 55세. || 숭양릉(崇陽陵) || || 초 || 265-290년 || 세조(世祖) || [[무제(서진)|무황제(武皇帝)]] || [[사마염]]([[炎]]) || 진나라의 초대 황제이자 정상적인 권력을 누린 마지막 황제[* 사실상 '''진나라는 사마염 이후로 정상적인 권력을 누린 황제가 없다.''' 사마충은 [[가남풍]]의 꼭두각시 노릇을 했으며 팔왕의 난에 휩싸여 혼란 속에 죽었다. 진 회제, 진 민제는 영가의 난으로 인해 전조의 포로 신세가 되어 비참하게 죽었다. 진 원제는 [[왕돈]]의 꼭두각시 신세였으며 진 명제 때 황제권을 회복한듯 싶었지만 요절하였고 이후 황제들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면서 [[환온]], [[환현]] 같은 신하의 꼭두각시 신세로 전락하였다. 효무제 때 잠시 황제권을 되찾는 듯 싶었지만 효무제가 어이없게 죽고난 후 진 안제와 진 공제는 [[송무제|유유]]의 꼭두각시 신세가 되었고 유유에 의해 살해당한다. 그리고 진나라는 멸망했고 이후 진나라 황족들은 유유에게 거의 몰살당한다.] [br]236년 출생, 290년 사망. 55세. || 준양릉(峻陽陵) || || 02 || 290-301년 || - || [[혜제(서진)|효혜황제]](孝惠皇帝) || 사마충([[衷]]) || [[백치]] 황제, [[가남풍]]의 남편.[br]263년 출생, 306년 사망. 44세. || 태양릉(太陽陵) || || (임시) || 301-301년 || - || 조왕(趙王) || [[사마륜]]([[倫]]) || 사마충의 숙조부, [[팔왕의 난|3개월 천하]].[br]301년 사망. || - || || 02 || 301-306년 || - || [[혜제(서진)|효혜황제]](孝惠皇帝) || [[사마충]]([[衷]]) || 유폐되었다가 복위.[br]263년 출생, 306년 사망. 44세. || 태양릉(太陽陵) || || 03 || 306-311년 || - || [[회제(서진)|효회황제]](孝懷皇帝) || [[사마치]]([[熾]]) || [[영가의 난]] 발발.[br]284년 출생, 313년 사망. 30세. || - || || 04 || 313-316년 || - || [[민제(서진)|효민황제]](孝愍皇帝) || [[사마업]]([[鄴]]) || 장안의 임시 정부에 의해 옹립.[br]300년 출생, 317년 사망. 18세. || - || || 05 || 318-323년 || 중종(中宗) || [[원제(동진)|원황제(元皇帝)]] || 사마예([[睿]]) || 사마업의 재종숙, 사마근(覲)의 아들.[br]276년 출생, 322년 사망. 향년 47세. || 건평릉(建平陵) || || --05-- || 319-320년 || - || [[사마보|원왕(元王)]] || 사마보([[保]]) || 원제와 대립.[br]296년 출생, 320년 사망. 향년 24세. || - || || 06 || 322-325년 || 숙조(肅祖) || [[명제(동진)|명황제(明皇帝)]] || 사마소([[紹]]) || 사마예의 아들.[br]299년 출생, 325년 사망. 향년 27세. || 무평릉(武平陵) || || 07 || 325-342년 || 현종(顯宗) || [[성제(동진)|성황제(成皇帝)]] || 사마연([[衍]]) || 사마소의 아들.[br]321년 출생, 342년 사망. 향년 22세. || 흥평릉(興平陵) || || 08 || 342-344년 || - || [[강제(동진)|강황제(康皇帝)]] || 사마악([[岳]]) || 사마연의 동생.[br]322년 출생, 344년 사망. 향년 23세. || 숭평릉(崇平陵) || || 09 || 344-361년 || 효종(孝宗) || [[목제(동진)|목황제(穆皇帝)]] || 사마담([[聃]]) || 사마악의 아들.[br]343년 출생, 361년 사망. 향년 19세. || 영평릉(永平陵) || || 10 || 361-365년 || - || [[애제(동진)|애황제(哀皇帝)]] || 사마비([[丕]]) || 사마악의 종형, 사마연의 아들.[br]341년 출생, 365년 사망. 향년 25세. || 안평릉(安平陵) || || 11 || 365-371년 || - || 해서공(海西公) || [[사마혁]](奕) || 사마비의 동생.[br]342년 출생, 386년 사망. 향년 45세. || - || || 12 || 371-372년 || 태종(太宗) || [[간문제(동진)|간문황제(簡文皇帝)]] || 사마욱([[昱]]) || 사마혁의 숙조부, 사마예의 아들.[br]320년 출생, 372년 사망. 향년 53세. || 고평릉(高平陵) || || 13 || 372-396년 || 열종(烈宗) || [[효무제(동진)|효무황제(孝武皇帝)]] || 사마요([[曜]]) || 사마욱의 아들.[br]362년 출생, 396년 사망. 향년 35세. || 융평릉(隆平陵) || || 14 || 396-418년 || - || [[안제(동진)|안황제(安皇帝)]] || [[사마덕종]](德宗) || 사마요의 아들.[br]382년 출생, 418년 사망. 향년 37세. || 휴평릉(休平陵) || || 15 || 418-420년 || - || [[공제(동진)|공황제(恭皇帝)]] || [[사마덕문]](德文) || 사마덕종의 동생.[br]386년 출생, 422년 사망. 향년 37세. || 충평릉(冲平陵) || == [[진(사마씨)/인물|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진(사마씨)/인물)] [include(틀:서진의 계보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진나라, version=220)] [[분류:서진]][[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분류:5세기 멸망]][[분류:중화제국]][[분류:하내 사마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