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진관동을 부르는 다른 말, rd1=은평뉴타운)] [include(틀:은평구의 법정동)] ||<-2> '''[[은평구|{{{#000000,#dddddd 은평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진관동}}}'''[br]津寬洞 | Jingw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은평구 진관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은평구]] || || '''행정표준코드''' || 3110128 || || '''관할 법정동''' || 진관동 || || '''하위 행정구역''' || 55통 447반 || || '''면적''' || 11.53㎢ || || '''인구''' || 54,782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4,751.2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은평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병원]] ,,(재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유진 ,,(초선),, || ||<-2> '''은평구의원 | 바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오영열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락의 ,,(3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진관2로 31 (진관동 78) || || [[https://www.ep.go.kr/www/contents.do?key=841|진관동 주민센터]]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관동 주민자치회.jpg|width=100%]]}}}|| || {{{#fff '''진관동 주민자치회 로고'''}}} || [clearfix] == 개요 == [[은평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 통칭 '''구파발'''[* 조선 시대 당시 파발마를 갈아타는 역참이 존재하여 붙은 이름이다. 이는 진관동 관내에 있는 지하철 [[구파발역]]에 반영되었다.]이나 '''기자촌'''[* 진관(외)동이 달동네인 시절(뉴타운 건축 이전의 진관동은 전형적인 서울시내 깡촌이였다. 거기다 지금의 은평뉴타운 외곽에 해당하는 부분은 개발전 강남, 노원처럼 아예 개발이 더디었던 '서울 바깥안의 시골'이기도 하였다.), 신문사 기자들이 이 동네에 모여 살아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 이름은 현재 3지구 11단지 한라비발디 아파트의 부명칭으로 반영되었다. [[누드모델]]로 유명한 [[이승희(모델)|이승희]]가 이 지역에서 태어났다.]으로 잘 알려져 있는 동네다. 2010년대 들어서는 [[은평뉴타운]]이 개발되어 '''은평뉴타운'''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는 동네. 2023년 기준 은평구를 비롯하여 서울특별시에서 단일 행정동 크기로 가장 큰 면적을 관할하며,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는 행정동이다. 철저한 계획 하에 신도시급 규모로 최신식 아파트를 배치한 동네라 그런지 주택가 위주인 은평구 타 지역(특히 6호선 라인)과의 이질감이 좀 있는 편.[* 다만 진관동을 포함한 3호선 라인(구파발~녹번)쪽은 진관동 못지 않게 최신식 아파트들이 많이 들어섰다.] 진관동과 불광동의 경계인 메뚜기다리를 넘자마자 완전히 다른 풍경이 펼쳐진다. 주변이 산지로 둘러싸인 서울 외곽지역이라 진관동 내에 주둔하는 군부대도 꽤 많다.[* [[제30기갑여단]] 예하의 모 전차대대가 북한산 가는 길목에 주둔 중이며, [[수도방위사령부]] 직할 [[방패교육대]]도 이 동네에 있다. 행정구역상 고양시지만 바로 인근에 56사단 본부도 있으며, 사단 본부에서 복무하는 간부들의 자녀는 군자녀 혜택으로 서울 소재 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특권이 있으며, 실제로 뉴타운 소재 학교의 학생들 중 부모님이 직업 군인인 사람들이 꽤 많은 편이다.][* 때문에 도로에서 군용차를 자주 볼 수 있으며(주로 트럭이나 버스) 가끔씩 '''총소리'''도 들린다. 그나마 아파트 많은 쪽에서는 잘 안들리긴 하는데 하나고 쪽으로만 넘어와도 종종 들린다.] [[양주시]] [[장흥면]], [[송추]], [[북한산]] 유원지가 바로 코앞이라 이정표에 일영, 송추가 자주 표기된 걸 볼 수 있다. [[고양시]] [[덕양구]] 지축과 [[은평구]] 진관동의 경계에 있는 사거리의 이름이 당초부터 일영송추사거리다. 그래서인지 [[고양시]] 지축, 삼송 지역이나 [[양주시|양주]] 장흥면 지역 거주민들이 많이 보이고 [[구파발역]]에서 승하차를 하는 사람의 꽤 많은 수는 [[양주시|양주]] 장흥면 주민들이다. 이 때문에 [[양주시]]의 여타지역에 비해 장흥면 주민들은 [[은평구]], [[서대문구]] 및 [[고양시]] [[덕양구]] 북부지역 생활권이다. 현재 인구가 너무 많아[* [[서울특별시]] 전체 단일 행정동 중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다. 엄청난 인구밀도로 악명 높은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1동보다 3천명이나 많은 수치. 그나마 뉴타운 개발지이고 지구가 넓게 퍼진 형태에다가 녹지 비율도 꽤 높은 편이라서 실질적으로 주민들이 체감하는 인구밀도는 꽤 낮은 편이다.] 주민 행정 불편 해소[* 공무원 행정부담 감소도 포함. 관할 인구가 많다고 해서 [[동사무소]]에 배치되는 공무원 수가 꼭 그에 비례해 증가하지는 않기 때문이며, 따라서 인구 많은 동은 업무강도가 상당히 높다. 게다가 이 동은 면적까지 넓은데, 바꿔 말하면 '''[[제설]]'''구역이 지나치게 넓다는 뜻이므로 업무부하가 더 걸린다. [[기초수급자]] 비율이 높지 않은 것이 유일한 위안.]를 위해 행정동 진관동의 분동이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www.e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566|#]][* 2019년에 인쇄된 중장기도시개발계획도에 따르면, 진관2로를 기준으로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과 구파발역 배후 오피스텔 지역, 뉴타운 1지구, 3-1지구 지역은 ''' '구파발동' '''이라는 이름으로 분동하며, 진관2로 동측 지역과 뉴타운 2지구, 3-2지구, 북한산성 입구 및 북한산국립공원 지역은 ''' '진관동' '''이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정치적으로는 전반적으로 진보세가 강한 [[은평구]]의 다른 행정동과는 다르게 뉴타운+북한산 자연부락이라는 지역 특성 때문에 보수세가 꽤 강한 편이다. 실제로 보수 성향 국회의원이었던 [[이재오]]가 은평구 을 지역을 통틀어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던 곳이 진관동 지역이기도 했고, 20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진보자유계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강병원]] 의원이 은평구 을 지역에서 당선되었지만 여전히 은평구 을 지역구 내에서 가장 낮은 지지를 받기도 했다. 게다가 은평뉴타운 주거지구 개발이 10년이 넘어갔고, 여러 요인들에 의해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르는 지역이라 지역의 보수세가 계속해서 유지될 전망이다.[* 추가로 지역 주민들을 대하는 현 구청장의 태도 탓에 이 지역의 보수화가 더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비례정당 득표율을 보면 무작정 보수가 강한 지역이라고 보긴 애매하다. 21대 총선 기준으로 더불어시민당 지지율이 여타 은평구 지역보다 낮긴 하지만 32.17%로 1위인 반면 미래한국당 지지율은 은평구 평균과 별 차이가 없는 28.77%였고 심지어 정의당 '''13.93%''', 국민의당 9.42%, 열린민주당 7.16%의 득표율이 나타나서 이 3당들은 은평구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그리고 지역구 득표율도 강병원 52.22%, 허용석 39.94%로 양당간 격차 최소에 허용석 최다 득표 지역이기는 한데.... 문제는 나머지 8%의 표를 얻은 2명의 후보가 모두 진보성향이라는 거.(참고로 정의당 김종민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동이다) 이렇게 보면 진관동의 성향은 여타 은평에 비해 보수표가 좀 나오기는 하는데, 국민/공공임대 비율이 40%에 달하는 지역인 만큼 젊은 인구가 많이 사는 곳이라 진보성향이 두드러지는 곳, 다만 그 중에 민주당에 무조건 표를 주는 성향은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보는게 맞을 듯.(실제로 서울 대학가 지역들이 대체적으로 정의당/국민의당 득표율 합이 20% 안팎이었던걸 보면) 그리고 투표소별 득표현황을 볼때 자가 비율이 높은 곳과 장기전세 비율이 높은 곳의 득표율이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도 특징.] 한편 이와 별개로 선거 투표율이 구내 1위를 밑도는 동네이기도 하다. 이렇듯 여러 방면에서 은평구 타 지역과는 이질감이 있는 편이다. 실제로 1973년에 고양군에서 서울로 편입된 지역[* 서울특별시의 추가 확장 억제 정책이 제안되었던 때가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이기 때문에 조금만 늦었어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지 못하고 고양시 소속의 동으로 남을 뻔 했다.]이라 같은 지역으로 묶인 지 거의 50년이 넘어가는 지금도 자연 경계[* 등산로 등을 제외하고 차량, 도보로 은평구 소속 다른 행정구역으로 넘어갈 수 있는 루트가 3개 밖에 없으며, 이 3개 중 하나는 둘레길 탐방로를 마개조한 1차선 도로로 차량 통행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연서로]]와 [[통일로]]의 2개 대로를 통해서만 다른 은평구 지역과 왕래하고 있다.]와 개발 정도의 차이 때문에 심리적 간극이 아직까지 완벽히 좁혀지지 않은 곳.[* [[송도국제도시]]와 [[연수구]] 다른 지역의 관계와 비슷하다 보면 된다.] 현재 은평구 내에서 평균 지가가 가장 높은 곳이지만, 새로이 재개발이 되고 있는 [[수색뉴타운|수색동]]에 밀릴 전망이다. 둘 다 시경계 지역이지만 도심 접근성과 교통편에서 수색이 넘사벽인 데다가 부도심으로 지정돼 신축 버프까지 받고 있기 때문.[* 단 강남 일대로 가기에는 3호선이 있는 진관동이 훨씬 편하다. 수색 및 은평구 남부/마포구 일대는 강남 쪽으로 직선으로 가는 지하철이 없다.] 북한산을 건너가면 [[강북구]] 수유동이 바로 나오고 직선거리도 5km 정도로 매우 가깝지만[* 이 때문에 이 지역에서 [[당근(플랫폼)|당근]]을 켜고 지역반경을 좀 넓게 잡으면 강북구 수유동이나 성북구 정릉동 유저들이 올린 매물이 뜬다.] 등산을 제외하면 넘어갈 방법이 없다. == 동명 유래 == 관내에 있는 큰 절인 '[[진관사]](津寬寺)'에서 유래되었다. 본래 이 절의 이름은 '신혈사(神穴寺)'였으나[* 진관동의 옛 행정구역이었던 [[고양시|고양군]] 신도면의 '신도(神道)'가 옛 하'도'면(下道面)과 이 절에서 이름을 땄던 '신'혈면이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인해 통합되면서 생긴 지명이다. 그리고 2019년 7월에 고양시에서 행정동 신도동을 행정동 삼송동으로 동명을 개명하면서 '신도'라는 명칭은 현재 남아있는 일부 시설물들에서만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서울 신도고등학교, 고양경찰서 신도지구대, 신도농협 등)], [[고려 현종]]이 생명의 은인인 진관 스님을 기려 '진관사'로 개칭하였다. 이 진관사에서 90여년된 [[태극기]]와 독립운동과 관련된 신문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eBXhY072uA|유튜브]] == 변천사 == * [[1906년]] 이전 :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 [[1906년]]-[[1973년]] :[[경기도]] [[고양시|고양군]] 신도면[* 신도초등학교, 신도중학교, 신도고등학교의 명칭에 흔적이 남아있다.] 구파발리, 진관내리, 진관외리 * [[1973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편입, 행정동으로 진관동을 구성 * [[1975년]]: 행정동을 진관내동과 진관외동으로 분할, 진관내동이 구파발동과 진관내동을 관할 * [[2007년]] [[8월]]: 행정동과 법정동을 모두 진관동으로 통합.[* 통합 전 법정동 영역은 구파발동이 3호선 서쪽 지역~구파발사거리 이남, 진관외동은 이말산 이남 지역, 나머지는 진관내동이었다.] 원래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자마자 [[북한산]] 때문에 동의 85%에 이르는 부지가 죄다 30년 이상 그린벨트에 걸린 역사가 있었으며[* 사실 그린벨트를 설정한 [[박정희]] 대통령이 기자들을 싫어해서 기자촌을 형성했던 구파발을 그린벨트로 묶어버렸다고 한다.], [[은평뉴타운]] 개발과 함께 그린벨트가 많이 풀린 상태...라지만 여전히 북한산 근처 지역은 그린벨트로 묶여 있어 여러모로 서울 동네 중에서는 자연친화적인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는 곳.[* 하나고를 넘어서 송추 방향으로 가다 보면 영락없는 외곽 지역의 풍경을 볼 수 있다. 입곡삼거리 넘어가도 고양시 표지판 뜨기 전까지는 진관동이다. [[롯데몰 은평|대형 쇼핑몰]], 최신식 아파트와 상가 건물들이 즐비한 곳에서 차를 끌고 5분만 지나면 은평뉴타운은 어디 갔냐는 듯한 풍경이 나온다. 주민들의 인식이 사실상 진관동=은평뉴타운이라 뉴타운지구를 제외한 북한산 일대 진관동은 가끔씩 고양시나 양주시로 오해받기도 한다. ~~사실 그쪽 동네는 다리 하나로 고양시와 서울시가 나뉜다~~][* 미세먼지 농도도 다른 서울 지역에 비해 낮은 편에 속한다. ~~그리고 매우 춥다~~] 여담으로 은평구 법정동, 행정동 중 가장 큰 면적을 관할하는 동네이다.[* 은평구 전체 면적의 40% 가까이를 차지한다.] 1970년대에는 서울 편입 여부를 두고 시흥군 서면 광명리, 철산리(현 [[광명시]] 광명동, 철산동)와 경합을 했다고 한다. == 관내 교육시설 == === 초등학교 === ||
'''교명''' || '''주소''' || '''비고''' || || 서울북한산초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서문길 42-3 (진관동) || [*A 서울형혁신학교로 지정됨.] || || [[서울신도초등학교]][* 서울 편입 이전에 개교. 서울 편입 당시에는 '서울신도국민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1로 77-23 (진관동) || || || 서울은빛초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3로 73-17 (진관동) || [*A] || || 서울은진초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1로 21-20 (진관동) || || || 서울진관초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4로 78-16 (진관동) || || === 중학교 === ||
'''교명''' || '''주소''' || '''비고''' || || [[신도중학교(서울)|신도중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1로 77-30 (진관동) || || || [[진관중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4로 36 (진관동) || || === 고등학교 === ||
'''교명''' || '''주소''' || '''비고''' || || [[신도고등학교(서울)|신도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961 (진관동) || 공립 일반 || || [[은평메디텍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57-57 (진관동) || 사립 특성화 || || [[진관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4로 26 (진관동) || 공립 일반 || || [[하나고등학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535 (진관동) || 전국단위 자율형사립고 || == 관내 교통 == * [[서울 지하철 3호선]] * [[구파발역]] * [[진관공영차고지]] * [[진관동/도로]] * [[구파발역 환승센터]] == 관내 주거 == === 아파트 === 이곳의 아파트는 모두 은평뉴타운 지구에 속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은평뉴타운, 문단=3.1)] === 오피스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은평뉴타운, 문단=3.2)] === 단독 주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은평뉴타운, 문단=3.3)] == 기타 시설 == *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 [[한국고전번역원]] * [[방패교육대]] * [[은평소방서]] * [[서울소방학교]] * [[서울은평우체국]] * [[스타벅스 더북한산점]]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지명]] * [[서울특별시]] * [[은평구]] * [[효자동(덕양구)]][* [[고양시]]의 행정구역이 왜 관련문서인가 생각할 수 있지만, 해당 동의 행정복지센터가 진관동에 있기 때문이다.] [[분류:은평구의 법정동]][[분류:은평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