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 {{{#fff '''진대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지사 후보)] ---- [include(틀: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열린우리당 후보)] ---- [include(틀:삼성전자의 역대 대표이사)] ---- [include(틀:삼성전자의 인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 #003764 20%, #003764 80%, #003764)" '''[[과학기술정보통신부|{{{#fff 대한민국 제49대 정보통신부 장관}}}]][br]{{{#fff {{{+1 진대제}}}[br]陳大濟 | Chin Dae-je}}}'''}}}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진대제 공식 사진.jpg|width=100%]]}}} || ||<|2> '''출생''' ||[[1952년]] [[1월 20일]] ([age(1952-01-20)]세)||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여배리[*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01012906921|#]]]|| || '''본관''' ||[[여양 진씨]] 매호공파|| || '''현직'''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회장|| ||<|2> {{{#fff '''재임기간'''}}} ||제49대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정보통신부]] [[장관]] || ||[[2003년]] [[2월 27일]] ~ [[2006년]] [[3월 22일]][* 상당히 긴 시간동안 재임했다.] || || '''링크''' ||[[https://ko-kr.facebook.com/ChinDaej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현재 모든 게시글을 내렸다.] --[[https://blog.naver.com/djchin839|[[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현재 접속 불가 상태이다. 방영 시간이 9시 10분 정도까지였음에도 당일 300명이 방문이었다가 방영 이후 약 9시 30분까지 4000명 방문으로 변했다. 이후 다음날부터 접속 불가.]||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경운중학교(대구)|경북중학교]] {{{-2 (졸업)}}}[br][[경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전자공학 / 학사 · 석사)}}}[br][[매사추세츠 대학교]] {{{-2 (전자공학 / 석사)}}}[br] [[스탠퍼드 대학교]] {{{-2 (전자공학 / 박사)}}} || || '''배우자''' ||김혜경 || || '''자녀''' ||장남 진상국, 장녀 진수정, 차녀 진미정 || || '''약력''' ||[[휴렛팩커드]] IC LAB 연구원[br][[IBM]] 왓슨 연구소 연구원[br][[삼성전자]] 미국법인 수석연구원[br][[삼성전자]] 반도체 상무이사[br][[삼성전자]] System LSI 사업부장 대표이사 부사장[br][[삼성전자]] 중앙연구소장[br][[삼성전자]] 디지털미디어총괄 대표이사 사장[br]제49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정보통신부 장관]] {{{-2 ([[참여정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업인]]이다. [[삼성전자]] 출신으로 [[참여정부]]에서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했다. 퇴임 후에는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정계를 은퇴했으나 [[2021년 재보궐선거]] 국면에서 [[국민의힘]] 소속 [[나경원]] 전 의원의 선거캠프 고문으로 영입되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2021/02/08/LL7X7HUHERDKVI5EPDSZKHYYEI/|#]] == 생애 == 1952년 1월 20일,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여배리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경북중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로 상경해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전자공학 학사학위, [[서울대학교]]와 [[매사추세츠 대학교]][* [[MIT]]가 아니라 매사추세츠 주립대학이다.]에서 전자공학 석사학위, [[스탠퍼드 대학교]]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비유학]] 1기(1977년) 합격자다. === 기업인 생활 === >'''"삼성에 천재급 인재는 없어도, 준천재급 인재는 세 명이 있다.''' >'''이윤우[* 1946년생. 이 쪽도 진대제급인데, 1966년 삼성전관(현 [[삼성SDI]])에 입사하여, 1977년에는 삼성전자로 이직했고, 이후 30대에 상무와 전무(기흥연구소장이 전무급 대우였다.)를 거치며 폭풍 승진을 거쳤고, 1984년 삼성반도체 이사를 거쳐, 1992년 메모리사업총괄 부사장과 1996년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대표이사 사장, 2004년 총괄대표이사 겸 대외협력담당 부회장([[삼성종합기술원]](SAIT) 원장도 겸직), 2008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2009년에는 CEO 자리를 최지성에게 물려주며 이사회 의장을 맡았었고, 2010년 다시 한 번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을 맡았다. 참고로 그 전에 대외협력을 담당하던 사람이 이수빈 [[삼성생명]] 회장이다. 2011년에는 부회장에서도 물러나며 상임고문에 위촉되었다. [[광주과학기술원]] 이사장과 중동학원 이사장을 삼성 출신으로선 마지막으로 지냈다. 왜 마지막이라고 했냐면, 삼성그룹이 2011년을 마지막으로 중동학원 경영에 손을 뗐기 때문이다. 당시 이사는 김수근 삼성물산 부사장, 감사는 강재영 삼성미소금융 이사장.], 진대제, [[황창규]]다."''' >'''ㅡ [[이건희]]''' >'''"삼성반도체 역사의 결정적 장면 중 첫 번째는 도쿄 선언, 두 번째는 이건희 회장이 정보 저장 공간인 셀(cell)을 늘리기 위해, "스택으로 간다." 세 번째는 1990년 7월 어느 날이다. 전 세계 기업 중 가장 먼저 16M [[DRAM|D램]] 완제품을 선보였다. 일본 회사들보다 서너 달 빨랐다. 일본의 기술을 따라잡은 순간이었다."''' >ㅡ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466100005&ctcd=C05|주간조선]] 인터뷰 中 미국에서 [[휴렛팩커드]] IC LAB 연구원, [[IBM]] 왓슨연구소 연구원을 지냈다. 이후 [[삼성전자]]에 입사하여 미국법인 수석연구원, 반도체부문 상무이사, System LSI 사업부장 대표이사 부사장, 중앙연구소 소장, 디지털미디어총괄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다. 64메가 128메가 1기가 [[DRAM|D램]] 등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며 '삼성 신화'를 일군 주역이 됐다. 1983년에 기흥에 반도체 공장을 세우게 주도한 이가 당시 삼성전자 반도체소재기술그룹 부장을 맡고 있던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이자, 현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학회장이다. 참고로 당시 기흥연구소장(전무급 대우)은 이윤우 전 삼성전자 부회장. 박재근은 그 유명한 전설의 '''수요공정회의'''를 매주 수요일마다 열게한 인물이며, 연구소장 또한 필참시켰다고 한다. 참여정부 당시에는 산업자원부의 주도로 벌어진 차세대 메모리 개발사업 단장을 맡았던 사람도 이 사람이다.[* 훗날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그 당시 신화를 줄줄이 얘기했다.] 진대제는 [[2000년]] [[삼성그룹]] 산하의 미국 벤처기업 디지털 미디어 비즈니스(DMB)[* [[삼성전자]]와 [[인텔]], [[미디어텍]]의 3자 JV 합작법인. 삼성이 51%의 지분을 보유하여 경영권을 가졌다.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었다.]의 CEO를 지내다가 2003년 초 노무현 대통령의 연락을 받고 한국으로 돌아오면서 DMB를 청산한다. 3자 중 인텔의 요구를 삼성이 수용하기에는 삼성의 파운드리 능력이 부실해서 2001년부터 이미 삐걱거리고 있었다고. === 정치인으로 오르다 === 2001년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자문위원을 지냈다. 2003년 2월 25일 [[참여정부]] 출범과 정보통신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당시 진대제는 3월 12일에 삼성전자 7만주의 스톡옵션을 지급받을 예정이었는데, 임명을 수락하면서 이를 지급받지 못하게 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참여정부 출범과 정보통신부 장관을 추천하기 위해 대기업 총수들을 불러 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임명할만한 인사를 추천해달라고 제의했고, [[이건희]]는 "진대제가 제일 좋을 거 같다."며 추천했으며, 다른 기업 총수들도 이에 동의했다고 한다.[* 훗날, [[문재인 정부]]도 범 삼성가 출신을 뽑아갔다. 그 게 바로 [[박양우]] 전 [[CJ그룹]] 이사.] 이후 노무현 대통령의 신임을 받아 2006년까지 최장수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냈으나,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위해 당에 차출되었다. 초기에는 [[서울특별시장]]에 거론되었으나, [[강금실]] 법무부 장관의 [[서울특별시장]] 지지도가 더 높게 나오자 [[열린우리당]]에서는 서울시장에 [[강금실]], [[경기도지사]]에 진대제를 공천하기로 결정하였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당시 여당이던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소속 [[김문수]]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공천된 강금실 또한 한나라당 소속 [[오세훈]]에게 밀려 낙선하고 만다. 낙선 이후, [[조선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치는 아무나 못 하는 거 같다. 정계 도전을 위해 경기도지사에 뛰어들어봤더니 굉장히 어렵더라. 정치에 소질도 적성도 없는 거 같다. 정치는 하는 분들이나 하는 거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거 같다."고 셀프디스(...)를 하며, "다시 경제계로 복귀해보니 그야말로 신바람이 난다."고 인터뷰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1/31/2007013100709.html|#]] 이후, 민주당계 정당의 경기도지사 탈환은 이 보다 12년이 더 지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후 2006년 수준까지는 아니여도 민주당계 정당이 폭망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경기도지사는 민주당이 지켜내는 등 경기도는 비호남권 최대의 민주당 텃밭이 된다. 민주당의 선택과 집중이 결실을 맺은 셈.] === 정계 은퇴 이후 === 광운대학교 석좌교수, 제2대 천세계도시엑스포 조직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자문위원을 역임하였다. 2006년 말부터 중소·벤처기업에 투자하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스카이레이크인큐베스트에서 [[http://www.skylakeincuvest.com/|2006년부터]] 대표를 지내고 있다.[*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코리아]]를 인수해 4배 가까운 금액으로 치킨 프레인차이즈 [[BHC]] 그룹에 매각한 사모펀드다.] 2019년에는 일선에서 서서히 손을 뗄 것이라고 한다. 2019년 기준 펀드 운용 자산은 2조 정도. 2013년에 1호 펀드를 청산하고 투자자들에게 원금과 수익금을 돌려줬더니 전직 장관에게 뜯긴 돈을 돌려받은 (...) 투자자들이 매우 놀랐다고 한다. 아마 전직 장관 중 가장 부유한 인물일 것이다. AUM 대비 %로 연봉을 챙겨가는 사모펀드 특성 상 '''진대제의 재산은 최소 수천억 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미 2011년 재산신고에서 진대제의 재산은 3426억 원으로 신고됐다. 지금은 더 많을 수도 있다는 말.] 또한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1년간 한국블록체인협회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즈음하여 진대제의 삼성 복귀 이야기도 있었으나 [[이재용]] 부회장과 진대제 전 장관 사이의 만남이 이뤄지지 않아서 삼성 복귀는 없는 일이 된 듯하다. 이후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 회장으로서 경영에 전념을 하는듯 했으나 [[2021년]] [[2월 8일]], [[국민의힘]] [[나경원]] 서울시장 예비후보 캠프에 '1호 전문가 고문'으로 영입되었다는 사실이 발표됐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208145600001|#]] 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이에 대해 "민주당 후보로 서울시장을 꿈꾸던 분이 이곳의 문이 닫히니 열린 곳을 찾아 바삐 움직인 듯하다"고 비판했다.[[https://news.joins.com/article/23989027|##]] 여하튼 여권 출신 인사가 강성 우파 이미지가 강한 나경원 후보 캠프에 합류했다는 사실이 꽤 화제가 되었으나, 정작 나경원 후보가 [[오세훈]] 후보에게 경선에서 패하고 본선 진출이 무산되면서 큰 의미를 가지진 못했다. == 여담 == * 정말로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났지만 밥상을 피고는 한 번도 엉덩이를 떼지 않고 공부하다가 피곤하면 그대로 뒤로 누워 잔 다음, 다시 일어나 공부했을 정도의 독종이었고, 고등학교 시절부터 수학 과외로 생활비를 벌 정도로 명석했다고 한다. 전형적인 노력하는 수재형의 인물. * 당시 경기고에서 전체 6등의 성적으로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입시에서도 당시 최고 명문이던 경기고의 학생들을 입시 성적에서 모두 물리쳤으나 [[중앙고등학교]] 학생에게 수석을 빼았겼다. * 이병철 회장의 구애를 통해 삼성전자에 입사했을 때 왜 입사했냐는 주변 사람들의 질문[* 당시의 삼성전자는 지금 같은 초일류기업이 아니라 일본 전자회사들의 아류에 불과했다.]에 '''"일본 놈들보다 더 좋은 반도체를 더 빨리 개발하려고."'''라는 취지의 대답을 했다고 한다. 삼성에서는 진대제를 미국에서 스카우트해 삼성반도체 미국법인 4M D램 개발팀장을 맡겼는데, 진대제는 자신의 지위로는 제대로 된 연구개발 및 상품 출시가 힘들다고 판단하여 삼성 측에 한국 법인 임원직을 '''요구'''했고, [[이병철]]은 '''승인'''했다.[* 쉽게 말해서 일개 직원이 삼성에 임원으로 '''셀프 승진'''을(...) 요청한 셈. 삼성 회장이던 이병철은 흥미롭게 여겨 면담을 하였고 진대제의 청사진을 듣고는 꿈을 펼쳐보라며 즉석에서 셀프 승진을 들어주었다. 둘 다 그릇이 보통 큰 게 아니다.] 진대제는 이로써 35세의 나이로 임원직인 반도체 상무이사로 승진하는 파란을 일으켰다. * 정통부 장관 시절에도 전자전기 공학 관련 논문을 발표하는 등 학자이자 기술자로서의 면모를 제대로 보여줬다. * 일주일 중 6일을 술 마셔도 거뜬했다는 주변인의 증언이 있었다. 신체도 타고난 강골인 듯 하다. * 경기도지사 선거 출마 당시 맞붙은 상대방 후보 [[김문수]] 전 경기지사와는 경북중, 서울대 동기동창 사이다. == 논란 및 사건사고 == === [[강남 쟁골마을 갑질 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남 쟁골마을 갑질 사건)]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기도지사]] || [include(틀:열린우리당)] || 1,124,317 (30.75%) || 낙선 (2위)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6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6 - 현재 || 탈당[* [[2007년]] [[1월]] 당시 [[한나라당]]의 유력 대권주자였던 [[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070130/8401421/1|인터뷰]]를 통해 구 [[열린우리당]] 출신 인사들을 영입 대상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을 보인 적이 있는데 이 때즈음 당적을 정리한 걸로 보인다.][br]정계 은퇴 || == 둘러보기 == [include(틀:참여정부의 국무위원)] [include(틀:삼성전자)] [각주][[분류:삼성전자의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1952년 출생]][[분류:여양 진씨]][[분류:의령군 출신 인물]][[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국비유학 출신]][[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정보통신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