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무려 12년만에 부활한 대항전이다. 2006년에 한 차례 대항전을 벌여 한국의 신성건설이 중국의 상하이이동통신에 3-2로 승리한 적이 있고 이번에 2017년 한국바둑리그 우승팀 정관장 황진단과 중국갑조리그 우승팀 중신(중국신탁) 베이징이 만난다. == 안내 == 대회일정 : 1/19(금) ~ 1/20(토) 대회장소 : 베이징 중국기원 대회스폰 : 진리(중국어로 金立 / 영어로 gionee / [[https://www.gionee.com/|홈페이지]] / 통신장비 회사이다.) 대회상금 : 상금은 우승 15만위안(약 2500만원), 준우승 7만위안(약 1200만원) 경기방식 : 장고 3경기 (제한시간 2시간 초읽기 1분 5회) 속기 1경기 (제한시간 30초 1수 고려시간 1분 10회) - 중국갑조리그룰 채용 == 출전선수 == 대전 정관장 황진단 : [[신진서]] 八단·[[이창호]] 九단·[[김명훈(1997)|김명훈]] 六단·[[한승주(바둑 기사)|한승주]] 四단·[[박진솔]] 八단 중국 중신 베이징 : [[천야오예]] 九단·퉈자시 九단·중원징 六단·한이저우 七단·이링타오 四단·--(한국인용병) 신민준 六단-- 한국용병은 제외되었다. == 중계 == * [[바둑TV]] * [[네이버TV]] * [[김여원]] 캐스터 / [[김성룡(바둑기사)|김성룡]] 九단, 이희성 九단 해설 == 경기결과 == [youtube(9EUK_qpMqfc)] [youtube(qeRqpo7aeqw)] [youtube(7d9vMuyN_Go)] [youtube(_FtJ-AWP47k)] == 대회 진행 == ||<:> 대국 ||<:> 일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결과 || || 1국(장고/주장전) ||<|4> 18.01.19 || '''신진서''' || 퉈자시 || 175수 흑 불계승 || || 2국(장고) || '''이창호''' || 한이저우 || 262수 백 불계승 || || 3국(장고) || '''김명훈''' || 중원징 || 312수 흑 2집반승 || || 4국(속기) || 박진솔 || '''천야오예''' || 129수 흑 불계승 || [youtube(zXfo4NPccmo)] [youtube(0SVrj0QtkiE)] [youtube(sGdKqboQyPY)] [youtube(pMpe7D3lJD8)] ||<:> 대국 ||<:> 일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결과 || || 1국(장고/주장전) ||<|4> 18.01.20 || '''이창호''' || 퉈자시 || 백 불계승[* 김성룡 해설이 대국 중 해설한 내용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장고에 유리한 이창호 선수를 굳이 한 판 뿐인 속기에 내보낸 것을 의아해했는데, 중국갑조리그 룰에 홈 팀이 대국 상대방 한 명을 지정할 수 있는 룰이 있는데 중국에서 열리는 경기니 자기네 홈이라고 우겨 이창호를 속기로 지명했다고 한다. 중국갑조리그 룰을 이용한 대회니 그런 규정이 있다면 잘못된 주장은 아니겠지만, 리그는 홈 앤 어웨이지만 이 경기는 중국에서 2판 다 열리는 대회다(...). 정말 그 이유라면 규정상 꼼수나 떼쓰기로 볼수밖에 없는데, 1일차에 한이저우를 꺾은 것이 크게 충격적이었던듯. 그런데 이창호 선수가 그렇게 억지로 불러낸 속기에서까지 이겨버린다.] || || 2국(장고) || 신진서 || '''천야오예''' || 백 불계승 || || 3국(장고) || '''김명훈''' || 이링타오 || 백 불계승[* 중신베이징 2-5 정관장황진단이 되면서 한국 우승확정.] || || 4국(속기) || 한승주 || '''한이저우''' || 백 불계승 || 총합 스코어 {{{+3 중신 베이징 3-5 대전 정관장황진단}}} [[분류:바둑 기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