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 제국의 주요 정당)] ||<-2> {{{#fff '''Прогрессивная партия'''}}} || || '''영어''' ||Progressive Party || || '''한글 명칭''' ||진보당 || || '''주요 당수''' ||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br]이반 예프리예모프 || || '''창당일''' ||[[1912년]] || || '''해산일''' ||[[1917년]] [[12월 12일]] || || '''이념''' ||[[고전적 자유주의]][br][[보수자유주의]][br]의회주권주의[br][[입헌군주제|입헌군주주의]][* 2월혁명 이전][br]정치적 다원주의 || || '''스펙트럼''' ||[[중도주의|중도]] ~ [[중도우파]]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제국]] 말기부터 [[러시아 혁명]]기까지 존재했던 정당. 정치적으로는 [[입헌민주당(러시아)|입헌민주당]]과 [[10월 17일 연합|10월당]]의 중간 즈음에 위치했다. == 창립과 역사 == 이 당의 기원은 1906년 [[부르주아]]들을 중심으로 10월당 내 좌파와 입헌당 내 우파가 모여 만든 평화개조당(party of peaceful renovation)이다. 이후 1912년 두마 총선을 앞두고 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 등을 중심으로 진보당으로 재편되었다. 1912년 국가두마 선거에서 10월당과 카데츠에 이어 48석을 얻어 원내 3당이 되었으며, 정치적으로는 저 두 당의 중간 위치로써 의견을 조율하는 역할도 했다. 그러다 1차대전 이후 입헌민주당, 10월당 내 좌파와 연합해 진보 블록(Progressive bloc)을 조직해 여러 개혁을 요구했는데, 이는 정치범의 사면, 민족과 신앙(특히 [[폴란드]])의 제한 철폐, 노조 결성의 자유 등 자유주의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이 개혁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했으나 정부가 두마를 일시적으로 해산한 뒤 1916년이 되어서야 다시 소집해 사실상 거부되었다. 1916년, 러시아는 [[1차 세계대전]]의 장기화로 국내외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었고, 러시아군이 삽질을 거듭하자 국내에서는 정치적 불안정이 커지기 시작하며 혁명을 외치는 목소리가 대두되었다. 이에 [[니콜라이 2세]]는 두마 재소집을 결심하고는 두마 재소집에 반대하는 총리를 끌어내린 뒤 새로 두마 소집에 찬성하는 보리스 슈튀르머를 총리로 임명했다. 두마가 재소집되자 진보 블록은 이 총리가 자신들의 개혁 요구를 승인할 것을 요구했으나, 그는 외부전쟁 중에 내부 대개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거부했다. 진보당은 급기야 정부의 책임을 요구한 뒤 이 블록을 떠나버렸고, 이에 슈튀르머와 프로토포프와 같은 정부 인사들은 두마 해체를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 전임 러시아 국가두마 의장이었던 알렉산드르 구치코프는 케렌스키를 위시로 한 진보당 소속 의원 5명의 쿠데타 가능성을 보고하기도 했으나 정부는 이에 대한 별다른 조치나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 다만, 쿠데타는 러시아군 전선군 총사령관이었던 니콜라이 대공[* [[니콜라이 1세]]의 손자. 1차대전 당시 독일, 오헝, 오스만과의 전쟁을 총괄했으나, 성과가 미흡해 경질되었다. 이후 러시아 내전 당시 캅카스에서 일부 백군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다. 이후 프랑스로 망명해 1929년 사망했다. ]이 쿠데타 지지를 거부했기에 실제로 벌어지지는 않았다. 이후 [[러시아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자[* 일부 사학자들에 따르면 진보당과 카데츠, 10월당이 니콜라이 2세에게 평화로운 퇴위를 권유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입헌군주제를 지지했던 이들은 니콜라이 2세의 동생 알렉세이 대공의 옹립을 지지했으나, 결국 군주제가 폐지되고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면서 이 블록 역시 해산되고 [[러시아 공화국]]이 성립되자 진보당은 여기에 참여한다. 그러나 10월 혁명으로 임시정부가 무너진 후 소비에트가 제헌의회까지 해산하자 진보당도 해산된다. 이후 [[러시아 내전]]기에 일부 전 진보당 당원들이 반볼셰비키 세력으로써 [[백군]]에서 싸웠다. == 같이 보기 == * [[러시아의 자유주의]] [[분류:러시아의 없어진 정당]] [[분류:보수자유주의 정당]] [[분류:1912년 정당]] [[분류:1917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