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목차] == 소개 == [[파일:진보시외버스터미널.jpg|width=100%]]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보로 110-11 (舊 진안리 423-27)에 위치한 터미널이다. 청송군의 주요 터미널 중 한 곳이다. 주로 영양군이나 청송군 북부지역 사람들이 이용한다. == 운송회사 == [[코리아와이드 경북]][* 임동, [[안동대학교|안동대]], [[용상동|용상]], 안동초교, 태화오거리, [[안동터미널|안동]], 일직, 단촌,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 방전직행, 입암직행, [[영양버스정류장|영양직행]], --일월, [[수비정류소|수비]]방면--], [[경기고속]][* 임동, 안동대, 용상, 안동초교, 태화오거리, [[안동터미널|안동]], [[동서울터미널|동서울]], 방전직행, 입암직행, [[영양버스정류장|영양직행]], 파천, [[청송버스터미널|청송]], [[주왕산]]행은 진보-파천, 청송, 주왕산간 구간승차 불가(청송군 농어촌버스 이용. 과거에는 구간승차 가능한 시외버스 노선이 있었다.).], [[아성고속]][*A [[영덕터미널|영덕직행]], [[포항터미널|포항]]행], [[천마고속]][*A], [[청송버스]][* 청송군 농어촌버스 담당.], [[영양동행버스]][* 입암완행, [[영양버스정류장|영양완행]], 재산행, 석보행 담당.], [[영덕버스]][* [[영덕 버스 190, 191, 192|영덕완행]] 담당.] 버스터미널 건물은 20:50 영양완행 막차가 떠나면 문을 닫는다. 따라서 이후 시간에 출발하는 21:40, 22:50 [[코리아와이드 경북]] 영양직행 버스의 경우 터미널 밖으로 나와서 도로 변에서 승차를 해야하며 하차도 도로변에서 한다. 표는 20:50 이전에 미리 끊거나 20:50 이전에 끊지 못한 경우 기사에게 현금으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참고로 22:50 영양행의 경우 심야요금을 받지 않는다. 운행차량은 일반 72.8%, 우등 27.2%로 일반이 훨씬 더 많이 들어온다. == 운영노선 == === 수도권 === 전회우등인 경우 {{{#orange 주황색}}}으로 표시 ||<:> {{{#ffffff '''행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ffffff '''운행 횟수'''}}} ||<:> {{{#ffffff '''비고'''}}} || ||<|2><:>[[동서울터미널|{{{#orange 동서울}}}]] |||||||| || 3:40 || ₩ 30,600 ||<:> 1일 7회 || {{{#0000ff 시외우등}}}[br]안동 경유[br][[시외버스 동서울-안동]] 참조. || === 영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ffffff '''운행 횟수'''}}} ||<:> {{{#ffffff '''비고'''}}} || ||<|2><:>[[북부정류장|대구]] |||||||||| || 2:30 || ₩ 14,200 ||<:> 1일 10회 || 안동 경유[br][[시외버스 대구북부-안동]] 참조. || ||<|2><:>[[안동터미널|{{{#skyblue 안동}}}]] |||||||||||| || 0:50 || ₩ 6,100[br]₩ 7,900({{{#0000ff 우등}}}) ||<:> 1일 19회 || || ||<|2><:>[[포항터미널|포항]]|||||||||||| || 1:50 || ₩ 12,300 ||<:> 1일 1회 || 영덕 경유 || ||<|2><:>[[영덕터미널|영덕]]|||||||||||| || 0:40(시외버스)[br]1:05(농어촌버스) || ₩ 5,800(시외버스)[br]₩ 2,600(농어촌버스) ||<:> 1일 5회(시외 2회, 농어촌 3회) || [* 동일 노선에 [[영덕버스|영덕군 농어촌버스]]로도 운행중이다.][* 2023년 1월 12일 부터 농어촌버스가 2회에서 3회로 증회되었다.] || ||<|2><:>[[영양버스정류장|영양]]|||||||||||| || 0:25 || ₩ 2,900 ||<:> 1일 10회 || [* 동일 노선에 [[영양동행버스|영양군 농어촌버스]]로도 운행중이다.] || ||<|2><:>[[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 || 1:40 || ₩ 10,400 ||<:> 1일 4회 || 임동, [[안동대학교|안동대]], [[용상동|용상]], 안동초교, 태화오거리, [[안동터미널|안동]], 일직, 단촌 경유[* 1일 4회에 불과하므로 시간이 안 맞으면 [[안동터미널|안동]]행 버스를 이용해서 [[안동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해 [[의성역]]에 내리거나, [[안동터미널|안동]]에서 [[구미종합터미널|구미완행]]/[[대구북부정류장|대구완행]] 노선을 이용해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의성]]에 내려야 한다.] || ==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 == 부남, 도평, 안덕, [[화목버스터미널|화목]], 불로, 자천, 삼창, [[영천버스터미널|영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시외버스 동대구-청송]]의 연장선으로, [[주왕산]]행을 제외하고 모두 진보까지 운행하던 걸 2011년에 1회로 대폭 감회되었으며, 2019년 8월 26일 폐선되었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포항, 영덕을 경유하는 노선인데 2020년 2월 11일 포항으로 단축되었다. 신촌직행, 원전직행, [[신안정류장|신안직행]]: 2020년 2월 11일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안동터미널|안동]]완행 노선이 진보-[[영덕터미널|영덕]] 구간은 [[서산영덕고속도로]] 경유 무정차직통으로 바뀌고 [[포항터미널|포항]]으로 단축되면서 경유하지 않는다.[* 이들 지역까지는 하루 2번 정도 있는 [[영덕버스|농어촌버스]]를 타면된다.] [[도리원시외버스정류장|도리원]],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군위]], [[효령정류소|효령]], [[천평정류장|천평]]: 이 중 천평은 2018년 6월 11일에 천평정류장 폐쇄로 폐지되었으며, 효령-군위-도리원은 2018년 11월 23일 코리아와이드 노선 대거 감축으로 폐지되었다. [[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청송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