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농구코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0805 진상원.jpg|width=100%]]}}} || ||<-3> '''{{{+2 {{{#000000 진상원}}}}}}[br]{{{#000000 陳相沅}}}''' || ||<-2> {{{#000000 ''' 출생 ''' }}} ||[[1982년]] [[12월 23일]] ([age(1982-12-23)]세) || ||<-2> {{{#000000 ''' 국적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2> {{{#000000 ''' 종교 ''' }}} ||[[불교]] || ||<-2> {{{#000000 ''' 신체 ''' }}} ||[[키(신체)|키]] 194cm|[[체중]] 88kg || ||<-2> {{{#000000 ''' 직업 ''' }}} ||농구선수([[가드(농구)|가드]]/ ^^은퇴^^)[br][[코치(스포츠)|농구코치]] || ||<-2> {{{#000000 ''' 학력 ''' }}} ||[[휘문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졸업)}}} || ||<-2> {{{#000000 ''' 병역''' }}} ||[[전시근로역]][* 무릎인대 파열] || ||<-2> {{{#000000 ''' 프로 입단 ''' }}} ||[[2005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05년 드래프트]] {{{-2 (2라운드 2순위, [[전주 KCC 이지스|전주 KCC]])}}}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전주 KCC 이지스]] (2005~2006) || || {{{#000000,#e5e5e5 '''코치''' }}} ||[[휘문고등학교]] (2011~2012)[br]연세대학교 (2012~2017)[br][[목포대학교]] (2017~2021)[br]양정중학교 (2021~)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농구선수이자 現 농구 지도자이다. == 아마추어 및 선수 시절 == 휘문고 시절 동기 [[방성윤]]과 함께 에이스로서의 맹활약을 펼치며 [[스몰 포워드]]와 가드를 왼손잡이로서 두루 커버할 수 있었다. 특히 고등학교 3학년 때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장기 남녀초중고농구대회에서 [[구로고등학교]]를 상대로 3점슛 2개를 포함해 최다 26득점을 넣은 기록을 세웠다. [[파일:연세대 진상원과 고려대 신제록.jpg|align=center]] 이후 [[김남기]] 감독이 이끈 연세대학교로 진학해 졸업을 앞둔 4학년 때 [[2004 농구대잔치|제21회 산업은행배 농구대잔치]]에서 [[전정규]], [[김태술]], [[양희종]], [[이광재(농구)|이광재]] 등과 함께 무적 독수리 부대를 이끌며 [[중앙대학교]]를 꺾고 모교의 3연패에도 기여했다. [[파일:전주 KCC 12번 진상원.png|align=center]] 졸업 후, 2라운드 12순위로 [[전주 KCC 이지스]]에 입단했지만, 연습 중 무릎 십자인대 및 내측인대가 파열되었고, 거기에 잦은 부상으로 재활기간이 길어지게 되면서 만 25세라는 나이에 커리어를 마감했다. == 지도자 시절 == 2008년에는 공부에만 전념하기 위해 일본으로 유학길에 올랐다가, 2010년 말에 돌아와 [[연세대]] 시절 코치와 제자로 인연을 맺었던 [[석주일]]의 제의로 2011년 [[휘문고등학교]] 코치로 들어와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가, 1년 뒤인 2012년에는 2005년부터 2년간 KCC에서 코치를 맡았던 [[정재근(농구)|정재근]] 감독을 따라 모교인 [[연세대학교]] 코치에 합류했다. 그러나 2014년 제1회 아시아 퍼시픽 대학농구 결승전 [[고려대학교]]와의 경기에서 [[정재근(농구)|정재근]] 감독이 선수들에게 욕을 퍼부은 데다 심판에게 거센 항의와 박치기를 해 5년 직무 정지를 받고 물러난 이후, 신임 감독인 [[은희석]]이 들어올 때까지 감독대행을 맡았다. 2017 시즌이 끝난 뒤, 대학교 2년차 선배인 [[윤호진]]에게 코치 자리를 넘기고 [[목포대학교]]에서 코치를 맡았다. 2021년 8월에 [[송태영(농구)|송태영]] 코치의 계약기간 만료로 인해 [[양정중학교]]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 기타 == * 아버지도 운동선수였지만 농구가 아닌 배구 종목에서 뛰었다.[* 배구선수 출신 아버지와 농구선수 출신 아들의 사례로는 1980년대 배구계 슈퍼스타였던 [[장윤창]]과 촉망 받던 포워드 유망주 [[장민국]]이 있다.] 그의 아버지는 전직 배구선수 및 전직 배구감독이었던 [[진준택]]이다.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부산 KCC 이지스/선수단]] * [[진준택]]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82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2007년 은퇴]][[분류:슈팅 가드]][[분류:스몰 포워드]][[분류:전주 KCC 이지스/은퇴, 이적]][[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감독 대행/농구]][[분류:여양 진씨]][[분류:배구 선수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