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영성) 군주)] |||||| '''{{{#ece5b6 진(秦)나라 초대 국군[br]{{{+1 양공}}}[br]襄公}}}''' || |||| '''[[성씨|{{{#ece5b6 성}}}]]''' || 영(嬴) || |||| '''[[본관|{{{#ece5b6 씨}}}]]''' || 조(趙) || |||| '''[[휘|{{{#ece5b6 휘}}}]]''' || ?[* 소설 동주열국지에서는 개(開)란 이름이 주어졌다.] || |||| '''{{{#ece5b6 아버지}}}''' || [[진장공]](秦莊公) 영기(嬴其)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766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778년 ~ 기원전 766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춘추시대]] [[진(영성)|진(秦)나라]]의 초대 [[군주]]. [[진장공|진 장공]]의 아들. [[진문공(영성)|진 문공]]의 아버지. 진 장공이 견융 땅에서 죽자, 그 뒤를 이어 형인 세보(世父)와 함께 견융과 전투를 벌였다. == 생애 == 진 양공 원년(기원전 778년), 그는 풍왕(豐王)에게 여동생 목영(繆瀛)을 시집보냈다. 진 양공 2년(기원전 777년), 견구로 천도했는데, 서융족이 견구를 포위하니 형 세보가 그것을 막다가 서융의 포로가 되었다. 진 양공 3년(기원전 776년), 세보가 다시 돌아왔다. 진 양공 7년(기원전 770년), 신후가 [[견융]]족으로 하여금 호경을 공략하게 해[* 그 이유는 자신의 딸과 외손자를 괄시한 것에 대해 앙심을 품어서였다.] [[유왕]]과 [[정환공]]이 여산에서 전사했다. 진 양공은 병사를 거느리고 주나라를 구하러 왔다. [[평왕]]이 낙읍[* 지금의 [[낙양]]이다.]으로 동천하자 진 양공이 그를 호위했다. 그 덕택에 진나라의 '''백작'''이 되었다. 평왕이 구도 호경 주위를 하사하니 진나라는 강성해졌다. 진 양공 12년(기원전 766년), 양공이 서융을 토벌하다가 죽고 서수 땅에 묻혔다. 그리고 그 아들이 진나라 군주가 되니 그가 바로 [[진문공(영성)|진 문공]]이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진양공, version=4)] [각주] [[분류:진(秦)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766년 사망]][[분류:중국의 객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