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진영화)] [목차] == 상반기 == 2011년에는 별다른 활약도 못 하고 이대로 묻히는가 싶었지만, 2월 16일에 [[공군 ACE]]를 상대로 3킬. 1세트에 바로 견제용 선다템을 갔는데, 감이 죽어버린 [[서지훈]]이 캐치하지 못해서 무난히 승. 2세트 [[변형태]]와의 경기에서도 무난하게 아비터로 제압. 이제 같은 팀 아니라고 '3중 연속' 아비터 리'''필'''에 자기얼음땡 세레머니까지... ~~얘가 막 나가네?!~~ 3세트마저 [[테란]] [[이성은]]이 튀어나왔기 때문에 캐리어 리콜을 하면서 진정한 하이엔드 [[프로토스]], 제대로 대접받는 캐리어로 마침 중계를 하던 [[김캐리]]의 마음에 불을 질렀다. 2월 26일에는 [[MBC GAME HERO]]를 상대로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을 해내며 다시 팬들을 설레게 하였다. 3월 3일에 열린 [[ABC마트 MSL]] 예선 8조에 [[김기현(프로게이머)|김기현]], [[최용주]], [[김도욱]]과 같이 배치되었다. 당시에는 이들이 모두 이름 없는 신인들이었기 때문에 진영화에게는 쉬운 조가 될 것 같았는데, 조가 발표된 후 김기현과 최용주가 그 무렵에 [[위너스 리그]]에서 둘 다 3킬을 올려버리는 바람에 어째 졸지에 [[죽음의 조]]가 돼 버렸다. 일단 [[김도욱]]은 2:0으로 잡았으나, 김기현에게 1:2로 패하면서 이번에는 아예 [[서바이버 토너먼트]]조차도 못 가고 망해버리고 말았다. 3월 14일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과의 경기에서 선봉으로 나와 [[도재욱]]을 잡고 뒤이어 나온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을 거의 압살하다시피 잡아버렸다. 이로써 당시까지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에서 [[테프전/스타크래프트|테프전]] 9승 1패, 승률 90%로 [[프로토스]] 선수들 중 최고 성적을 기록 중이었다. 이어서 나온 [[잉여라인|티원저그]] [[이승석]]에게 초반 저글링에 큰 피해를 입은 뒤 꽤 선전했으나, 결국 격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패배하며 2킬에 그쳐야 했다. 팀은 차봉으로 출전한 [[신상문]]이 [[이승석]]과 [[김택용]]을 연속으로 잡아내면서 4:1로 승리. 3월 26일,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에서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의 3킬로 팀이 3:1로 밀리는 상황에서 대장으로 출전, 트리플 커맨드로 배를 짼 정명훈에게 타이밍 러시로 모든 병력을 잡아먹고 압도적으로 유리한 상황을 만드는 했으나 벌처에게 멀티가 털리고, 패스트 캐리어를 간 타이밍에 들어온 정명훈의 타이밍 러시에 6시 멀티와 미네랄 멀티가 밀렸다. 그 후 소수의 캐리어와 병력을 가지고 분전했으나 결국 3시 멀티가 밀리면서 자원적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패배. 그리고 이 패배 하나로 인하여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팀]]도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5월 11일 [[화승 오즈|화승]]과의 경기에서는 [[김태균(프로게이머)#s-1|김태균]]을 상대로 초반 전투에서 이기면서 승리했다. 5월 14일 [[SouL|STX]]와의 경기에서는 [[김구현]]을 상대하여 승리했다. 5월 17일 T1전에서는 [[어윤수]]를 상대로 섬멀티까지 안전하게 지키며 승리를 거두어냈다. 이로써 팀의 4:0 [[셧아웃(스타크래프트)|셧아웃]] 승에 3회 연속 달성이라는 사건에 한몫을 톡톡히 해낸다. 5월 21일 [[삼성전자 칸]]과의 경기에서는 [[김기현(프로게이머)|김기현]]과 상대하여 승리. 그러나 팀은 패배. 6월 4일 화승전에서 4세트 출전. [[구성훈]]을 상대로 리버 견제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테란]]의 한방 병력에 밀렸다. 다행히 팀은 승리를 챙겼다. 6월 7일 공군전에서 [[김태훈(1987)|김태훈]]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6월 12일 [[MBC GAME HERO]]와의 경기에서는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6월 14일 [[위메이드 폭스]]와의 경기에서는 5세트에 출전해서 [[저그]]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에게 승리를 거둔다. 6월 17일에 열린 마이 스타리그([[진에어 스타리그 2011]]) 프로-암 예선전에서 [[주영달]]을 2:1, 정재우를 2:0으로 이겼으나, [[신노열]]에게 0:2로 패했다.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배 와일드 카드 전에서 김성운을 이겼으나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에게 져서 탈락하면서[* 저그 4명을 만나서 3승 1패를 거둬 와일드카드전 8강까지 갔는데, 8강에서 정작 테란에게 져서 탈락했다.] [[MSL]]에 이어 [[온게임넷 스타리그]]도 듀얼 토너먼트조차도 못 가고 또 망해버렸다. 참고로, 6월 17일 기준 공식전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승률이 61.2%로 유일한 6할대 게이머이다. 7할은 [[김택용]] 혼자... 6월 20일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와의 경기에서는 4세트에 출전하여 [[임정현(프로게이머)|임정현]]을 상대로 단독 셔틀을 본진에 밀어넣어 스파이어를 파괴한 효과로 타이밍을 잡아 공격을 감행, 승리를 챙긴다. 해당 세트의 출전 맵이 [[얼터너티브(스타크래프트)|얼터너티브]]였는데, 이 맵의 프로토스 승률이 높은 이유는 바로 [[김택용]]과 이 선수 때문이라는 해설진들의 설명이 경기 진행 도중 나왔었다. 6월 22일 삼성전에서 선봉 출전하여 승리를 따냈으나, 안타깝게도 팀은 패를 기록했다. 고질병이라던 [[프프전/스타크래프트|프프전]]도 당시에 많이 안정화가 되어 보였다. 6월 30일에 열린 [[2011 MSL 시즌 2]] 서바이버 예선에서 김도욱, [[노준규]]를 모두 2:0으로 이기고 2시즌만에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하반기 == 팀은 2위로 시즌을 마친 상태여서 플레이오프만 치르면 되었기에 여유가 꽤 있었고, 6강 플레이오프를 시작으로 플레이오프까지 올라온 팀은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로 결정되었다. 플레이오프는 7월 23일과 24일 양일간 열렸고[* 만약 3차전까지 간다면 26일도 포함.], 두 경기에 모두 출전했다. 23일 상대는 포스트시즌에서 1승 이후 5연패 중이었던 [[김성대]]. 반면 자신은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프전]] 8연승을 달리고 있었고, 게다가 진영화는 스타계의 저그전에 강한 토스 중 하나. 그래서 진영화의 무난한 승리가 예상되는 상황이었으나, 오버센스를 보여줬다가 졌다. 그래도 이때까지는 경기력이 나쁘지 않아 아직 다음날은 기대할 만하다 했으나, 24일에는 [[고강민]]의 6저글링에 본진 난입을 허용하고 프로브를 컨트롤도 하지 않아 대량으로 헌납하는 [[OME]]를 보여주고 참패하고 엄청 까였다. 올해의 [[역적라인]] 감이라고... 덤으로 팀도 결승 진출 실패[* 더 심각한 건 비단 진영화 뿐만 아니라 이 날 CJ의 패자들의 [[평점]]들이 죄다 [[D]]가 나왔을 정도로 하나같이 경기력들이 심각했다는 것으로, 진영화도 결코 예외는 아니었다. 오죽하면 이 경기에서의 어이없는 패배로 인하여 검색어 순위에 '진영화 [[조작]]'이 떴을 정도다. 게다가 진영화를 포함하여 CJ의 토스라인은 이경민만 23일 경기에서 겨우 1승을 거두는 데 그쳤을 뿐 그 외의 경기들은 다 패했을 정도로 하나같이 부진했다. 진영화의 2패 포함하여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1승 1패, [[장윤철]] 1패로 도합 '''5전 1승 4패'''.]. 확실히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지난 시즌]]도 그렇고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지지난 시즌]]도 그렇고 유독 [[포스트시즌]]만 왔다 하면 성적이 [[영 좋지 않다]][* 이후 진영화의 그 다음 포스트시즌 출전은 다다음 시즌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에서 [[도재욱]]을 상대로 마지막으로 이뤄졌는데, 여기서도 패하면서 막판까지 포스트시즌과는 인연이 없음을 보여주고 말았다. 게다가 해당 시즌 도재욱은 정규 시즌 [[스타크래프트]] 전패였는데, 그런 도재욱에게 스타크래프트에서 붙어서 졌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진영화가 [[은퇴]]하면서 도재욱과의 경기가 영원한 마지막 공식전 경기가 되었다.]. 7월 30일에 열린 [[2011 MSL 시즌 2]] 서바이버 토너먼트 9조 2경기에서 [[민찬기]]를 이기고 승자전에서 [[조일장]]에게 패한 후 최종전에서 [[정윤종]]에게 승리하여 [[하나대투증권 MSL]] 이후 4시즌만에 MSL 본선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정작 본선은 열리지 못했고, 게다가 [[MBC GAME]]도 [[MBC M|음악 방송으로 바뀌면서]] [[MBC GAME 스타리그]] 자체까지 폐지되어 버리면서 완전히 의미가 없어지고 말았다. 이후 5개월 동안은 어떠한 방송 경기에도 나오지 못하고 있다가[* [[경남-STX컵 마스터즈]]가 8월에 치러지기는 했지만, 정작 본인은 한 경기도 못 나왔고, 게다가 팀도 4강에서 탈락했다.] 같은 해 11월에야 새 시즌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이 개막했지만, 거기서도 1주차와 2주차에는 시즌 개막 이후에도 한 번도 안 나왔다가 3주차 날이었던 12월 8일에야 겨우 첫 출전을 했다. 팀은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스타크래프트|삼성전자 칸]], 상대는 [[송병구]]. 하지만 패배로 출발했고, 4주차일인 12월 18일에는 역시 안 나왔다가 5주차였던 12월 24일에 제8게임단(後 [[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진에어 그린윙스]])의 [[염보성]]을 이기면서 마침내 첫 승. 사흘 후인 12월 27일에는 [[웅진 스타즈]]의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도 꺾으면서 2연승째. 하지만 2011년 마지막날이었던 12월 31일에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의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한테 패하면서 기세를 이어가지 못했고, 이렇게 2011년을 마쳤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진영화,version=507)] [각주] [[분류:진영화/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