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의 일반철도망)] [include(틀:저장성의 대중교통)] ||<-2> [[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height=20]][br]{{{+1 '''金甬铁路'''}}}[br]Jinhua-Ningbo Railway[br]진융철도 || ||<-2> '''노선 정보''' || || '''분류''' ||지선|| || '''기점''' ||[[진화역]]|| || '''종점''' ||[[닝보역]]|| || '''개업일''' ||202년 월(예정)|| || '''운영자''' ||[[중국국가철로집단|[[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width=150]][br]{{{#226699 중국국가철로집단}}}]]|| || '''사용차량''' ||CRH 전 차량, 이외 일반열차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상행 본선 185.6km[br]하행 본선 188.3km|| || '''궤간''' ||1,435mm [[표준궤]] || ||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철도)|복선]]|| || '''설계속도''' ||160km/h (최대 200km/h)|| || '''운영속도''' ||160km/h||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융철도.pn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진융철도는 [[저장성]] 중부의 동서를 잇는 [[객차]]&[[화차(철도)|화차]] 철도 노선이다. 설계 속도는 160km/h로, 향후의 고속화 공사로 200km/h에 도달할 여건을 보류했다. 진융철도의 신설 구간은 [[이우역]] - [[윈룽역]]으로, 노선 구간에 총 9개의 정거장이 위치해 있다. [[이우역]]은 기존의 정거장을 사용하며, [[펑화역]], [[윈룽역]]은 기존의 정거장에서 개조 공사를 거친다. == 의의 == [[진화시]]-[[닝보시]] 직통 노선의 개통으로, [[항저우시]]를 우회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했고, 특히 핵심 항구인 닝보저우산항의 물류 운송 능력을 대폭 개선하였다. == 역 목록 == || 한국어 || 중국어 ||<-2> 소재지 || 환승 노선 || ||[[진화역]] ||金华站 ||<|5> [[진화시]] || [[우청구]] ||[[후쿤고속철도]][br][[진첸철도]][br][[진원철도]][br][[진젠철도]][br][[진화 도시철도 진이둥선]] || ||둥샤오역 ||东孝站 ||<|2> [[진둥구]] ||[[진원철도]][br][[진원화물철도]] || ||탕야역 ||塘雅站 || || ||이우시역 ||义乌西站 ||<|2> [[이우시]] || || ||[[이우역]] ||义乌站 ||[[후쿤고속철도]][br][[항원고속철도]][br][[진화 도시철도 진이둥선]] || ||<-5> ▲ [[후쿤철도]]와 연결 ▲ || ||허톈[[신호소]] ||鹤田线路所 ||<|4> [[진화시]] ||<|2> [[이우시]] ||[[후쿤철도]] || ||쑤시역 ||苏溪站 || || ||둥양역 ||东阳站 ||<|2> [[둥양시]] || || ||후루역(보류) ||虎鹿站(预留) || || ||난산후역 ||南山湖站 ||<|2> [[사오싱시]] ||<|2> [[성저우시]] || || ||[[성저우신창역]] ||嵊州新昌站 || || ||시커우역 ||溪口站 ||<|3> [[닝보시]] ||<|2> [[펑화구]] || || ||[[펑화역]] ||奉化站 ||[[융타이원철도]] || ||윈룽역 ||云龙站 || [[인저우구]] ||[[융타이원철도]][br]닝보지선철도 || ||<-5> ▼ [[융타이원철도]]와 연결 ▼ || ||닝보둥역 ||宁波东站 ||<|2> [[닝보시]] || [[인저우구]] ||[[닝보 지하철 4호선]][br]닝보지선철도 || ||[[닝보역]] ||宁波站 || [[하이수구]] ||[[항푸선고속철도]][br][[항융철도]][br][[닝보 지하철 2호선]][br][[닝보 지하철 4호선]] || [[분류:중국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