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희성) 군주)] |||||| '''{{{#ece5b6 진(晉)나라 6대 국군[br]{{{+1 정후}}}[br]靖侯}}}'''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진(晉) || |||| '''[[휘|{{{#ece5b6 휘}}}]]''' || 의구(宜臼) || |||| '''[[자(이름)|{{{#ece5b6 자}}}]]''' || 희보(喜父) || |||| '''{{{#ece5b6 아버지}}}''' || [[진여후]](晉厲侯) 복(姬福)[* 북마(僰馬)라 하기도 한다]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841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858년 ~ 기원전 84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희성)|진나라]]의 6대 [[군주]]. [[진여후]]의 아들. [[진희후]]의 [[아버지]]. 자는 희보(喜父). == 치세 == 진여후 원년([[기원전]] 858년), 아버지 [[진여후]]가 죽고 그 뒤를 이었다. 진정후 17년(기원전 842년), [[여왕(주)|주 여왕]]이 폭정을 자행해 국인들이 폭동을 일으켜 왕을 쫓아내고 주정공과 소목공이 나라를 대신 다스리는 [[공화]] 시대 때 군주가 되었다.[* 일설에는 공나라 백작인 화가 간왕(干王)을 자칭해 나라를 다스렸다는 말이 있다.][* 거의 3000년 후 일본에서 repulic을 번역 할 때 이 사건을 보고 공화정이라고 번역한다.] 진정후 18년(기원전 841년), 진정후가 사망하고 아들 사도가 뒤를 이었다. 그가 바로 [[진희후]]다. == 여담 == 진정후의 서손 난빈이 훗날 진나라의 유력 가문인 난씨(欒氏)의 시조이다. [각주] [[분류:진(晉)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84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