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분류: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include(틀: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목차] == 개요 == 진천터미널을 출발해서 진천읍 내부를 종점으로 삼는 노선에 대해 서술한다. 보통 백곡, 초평이나 문백, 이월, 덕산 쪽 방면 노선들이 가지 못하는 곳을 이어준다. == 노선 == === 진천 - 문봉. 연곡 === ||<-6> {{{#ffffff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문봉. 연곡}}} || ||<-2> 기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보탑사) || ||<|2> 종점행 || 첫차 || 06:50 ||<|2> 기점행 || 첫차 || 07:20 || || 막차 || 18:40 || 막차 || 19:20 || ||<-2> 운수사명 || [[진천여객]][br][[음성교통]] ||<-2> 배차간격 || 1일 4회 || ||<-2> 노선 ||<-4>[[진천종합터미널]] - (산호A ← 진천여중 ← 읍내4리 ←) - (진천시장/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한전 앞 - 진천군청 - 교성리 - 잣고개 - 사석 - 여사 - 성암초 - 지암2리 - 연곡삼거리 - (용소 - 율목 - '''문봉''') - 안평 - 하목 - 보탑사('''연곡''')|| [[천안 버스 410~463|천안 410]],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문백면|진천 - 계산]] 노선과 [[청주 버스 711|711번]]처럼 사석을 향해 내려가다가 사석삼거리에서 우회전, 연곡리로 향한다. 오전 2회는 진천으로 올 때, 오후 2회는 연곡으로 갈 때 백곡으로 이어지는 고개를 올라가다 문봉리에서 회차한다. 첫차는 진천경찰서를 지나 신협으로 가지않고 읍내4리를 경유해서 산호A까지 간 후에 운행을 종료한다. 이 때, 학기 중 평일에는 진천여중을 경유한다. ||<-4> {{{#ffffff 진천 - 연곡 시간표}}} || || 횟수 || 진천 || 연곡 || 번호 || || 1 || 06:50 || 07:10 문봉[br]진여중(평일), 산호A || 230 || || 2 || 09:50 || 10:20 문봉 || 230 || || 3 || 14:40 문봉 || 15:10 || 231 || || 4 || 18:40 문봉 || 19:20 || 231 || === 진천 - 행정. 구봉(순환) === ||<-6> {{{#ffffff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행정}}} || ||<-2> 기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행정리(행정) || ||<|2> 종점행 || 첫차 || 07:30 ||<|2> 기점행 || 첫차 || 07:40 || || 막차 || 19:30 || 막차 || 19:40 || ||<-2> 운수사명 || [[진천여객]][br][[음성교통]] ||<-2> 배차간격 || 1일 8회 || ||<-2> 노선 ||<-4>[[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 → 진천신협 → 교성리 → 적현 → 내동 → 취적('''행정''') → 내동 → 원장관 → 구봉 → 장관부영A → 우주동백A → 벽암휴먼시아A → 진천군청 → 진천읍사무소 → 진천경찰서 → 진천신협 → (읍내4리 → 진천여중) → 진천종합터미널|| 진천읍내를 한바퀴 돌아 교성리 주유소 앞에서 빠져서 적현리로 들어간다. 이후 내동을 지나 취적(행정)에서 회차하는데, 회차한 후에 다시 적현으로 가는 대신 구봉리를 경유하여 진천으로 향한다. 첫차는 학기 중 평일에만 진천으로 갈 때 진천경찰서에서 신협으로가는 대신 읍내4리를 지나 진천여중까지 운행한다. ||<-4> {{{#ffffff 진천 - 행정 시간표}}} || || 횟수 || 진천 || 행정 || 번호 || || 1 || 07:30 || 07:40[br]진여중 || 261 || || 2 || 08:40 || 08:50 || 260 || || 3 || 10:40 || 10:50 || 260 || || 4 || 12:20 || 12:30 || 260 || || 5 || 13:50 || 14:00 || 260 || || 6 || 16:10 || 16:20 || 260 || || 7 || 17:30 || 17:40 || 260 || || 8 || 19:30 || 19:40 || 260 || === 진천 - 독바위.우렁터 === ||<-6> {{{#ffffff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독바위.우렁터 (순환)}}} || ||<-2> 기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신리(우렁터) || ||<|2> 종점행 || 첫차 || 07:30 ||<|2> 기점행 || 첫차 || 07:50 || || 막차 || 19:00 || 막차 || 19:20 || ||<-2> 운수사명 || [[진천여객]][br][[음성교통]] ||<-2> 배차간격 || 1일 4회 || ||<-2> 노선 ||<-4>[[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 → 읍내4리 → 괸돌 → 옹암('''독바위''') → 새터 → 하덕 → 산척리 → 장척 → 이상설생가 → '''우렁터''' → 상신리 → 진천 I.C → 진천여중 → 읍내4리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경찰서 → 진천신협 → 진천종합터미널|| ||<-6> {{{#ffffff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우렁터.독바위 (순환)}}} || ||<-2> 기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신리(우렁터) || ||<|2> 종점행 || 첫차 || 09:20 ||<|2> 기점행 || 첫차 || 09:40 || || 막차 || 11:30 || 막차 || 11:50 || ||<-2> 운수사명 || [[진천여객]][br][[음성교통]] ||<-2> 배차간격 || 1일 2회 || ||<-2> 노선 ||<-4>[[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 → 읍내4리 → 진천여중 → 진천 I.C → 상신리 → '''우렁터''' → 이상설생가 → 장척 → 산척리 → 하덕 → 새터 → 옹암('''독바위''') → 괸돌 → 읍내4리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경찰서 → 진천신협 → 진천종합터미널|| ||<-6> {{{#ffffff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가산}}} || ||<-2> 기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가산) || ||<|2> 종점행 || 첫차 || 17:00 ||<|2> 기점행 || 첫차 || 17:30 || || 막차 || - || 막차 || - || ||<-2> 운수사명 || [[진천여객]][br][[음성교통]]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괸돌 → 옹암('''독바위''') → 새터 → 하덕 → 산척리 → 장척 → 이상설생가 → '''우렁터''' → 상신리 - 진천 I.C - 가암 - 주구마을('''가산''') - 진밭골(산정마을) - CJ - 사송정 - 산호오크빌아파트 - 읍내4리 - 진천읍내 순환 - 진천종합터미널 || 진천터미널을 출발하여 독바위. 우렁터 일대를 순환하는 노선. 시간대에 따라 주구마을(가산)을 경유하기도 하며, 우렁터→독바위로 순환하거나 독바위→우렁터로 순환한다. 7시 30분에는 진천에서 가산과 독바위→우렁터 차량이 동시에 출발한다. [[파일:진천-가산.cj.jpg]] 노선도에서 파란색 구간이 우렁터행 노선의 구간이며, 독바위->우렁터 노선은 상신리 경유 후 진천IC 옆길에서 좌회전 해 진천여중 으로 가고, 우렁터->독바위 노선은 진천IC 옆길로 우회전해 상신리로 들어간다. 가산리 지원운행 시간대는 독바위->우렁터 노선대로 가다가 진천IC 옆길에서 우회전해 가산, 진밭골(CJ) 경유 후 산호오크빌아파트 방향으로 간다. 진천 17시 출발 차량은 가산(주구마을)에서 17:30분에 회차해 산정 정류장을 지나 U턴 후 진천 - 진밭 노선처럼 CJ → 진밭골 → 진천중을 경유하여 진천으로 간다. [[2020년]]부터 해당 시간대에 송두산업단지(CJ)를 경유하게끔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6> {{{#ffffff 진천 - 독바위.우렁터 통합 시간표}}} || || 횟수 || 진천 || 경유지 || 종점 || 경유지 || 번호 || || 1 || 07:30 || 독바위 || 우렁터 07:50 || || 80 || || 2 || 09:20 || 우렁터 || 독바위 09:40 || || 83 || || 3 || 11:30 || 우렁터 || 독바위 11:50 || || 83 || || 4 || 13:20 || 독바위 || 우렁터 13:40 || || 80 || || 5 || 15:20 || 독바위 || 우렁터 15:40 || || 80 || || 6 || 17:00 || 독바위 || 우렁터 17:20 || 가산 17:30 || 82 || || 7 || 19:00 || 독바위 || 우렁터 19:20 || || 80 || === 진천 - 진밭골. CJ(송두산업단지) === [[파일:가산.jpg]] 진천-가산(CJ) 노선. ||<-6> {{{#ffffff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진밭골}}} || ||<-2> 기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진밭골) || ||<|2> 종점행 || 첫차 || 07:30 ||<|2> 기점행 || 첫차 || 07:50 || || 막차 || 18:40 || 막차 || 19:00 || ||<-2> 운수사명 || [[진천여객]][br][[음성교통]] ||<-2> 배차간격 || 1일 5회 || ||<-2> 노선 ||<-4>[[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농협 → 진천경찰서/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진천시장 ← 진천신협) → 읍내4리 → 진천여중 → 진천 I.C → 가암 → 주구마을 → '''진밭골(산정마을)''' → CJ → 새터 → 산호A → 읍내4리 → 진천신협 → 진천시장 → 진천경찰서 → 진천신협 → 진천종합터미널|| [[파일:진천-가산.cj.jpg]] 노선도 중 빨간색 구간을 경유한다. 중간 경유지인 CJ 정류장이 굉장히 특이하다. 버스정류장을 만드는 대신 임시로 주차금지 판에 버스 정류장이라고 쓴 팻말이 붙어있다(...) [[http://kko.to/ufvRpvzYT|#]] 진천 - CJ. 진밭노선은 [[2020년]]에 송두산업단지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 새로 신설된 노선이며, CJ(송두산업단지). 진밭골로 갈 땐 진천여중을 경유하고 진천으로 내려올 때는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이월면|신월리 노선처럼]] 진천중학교를 경유하는 순환식 노선이다. 2019년 말 당시 ‘송두산단에 버스좀 다니게 해달라’ 라는 민원과 ‘진천중에 버스좀 더 다니게 해달라’ 라는 민원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 두 문제거리를 이 노선으로 한방에 해결했다고 한다. 진밭에는 이 노선 이외에도 독바위. 우렁터 노선이 진천 방향으로 1회 더 들어온다. ||<-4> {{{#ffffff 진천 - 진밭골 시간표}}} || || 횟수 || 진천 || 진밭골 || 번호 || || 1 || 07:30 || 07:50[br]산호A || 81 || || 2 || 09:50 || 10:10 || 81 || || 3 || 13:50 || 14:10 || 81 || || 4 || 15:30 || 15:50 || 81 || || 5 || 17:00[br]독바위.우렁터 || 17:30 || 82 || || 6 || 18:40 || 19:00 || 81 || === 진천 - 소강정 === ||<-6> {{{#ffffff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진천 - 소강정}}} || ||<-2> 기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진천터미널) ||<-2> 종점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신정리(소강정) || ||<|2> 종점행 || 첫차 || 13:00 ||<|2> 기점행 || 첫차 || 13:20 || || 막차 || 13:00 || 막차 || 13:20 || ||<-2> 운수사명 || [[진천여객]][br][[음성교통]]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진천종합터미널]] - (진천신협 → 진천시장/진천신협 ← 진천경찰서) - 옥당 - 신정리 - 하상도로 - 소강정|| 진천터미널 - 소강정 구간을 왕복하는 노선. 진천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들 중에서 가장 운행거리가 짧다. 소강정에는 이 노선 이외에도 [[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문백면|통산. 주락골 노선]]이 왕복으로 1회씩 더 들어온다. ||<-5> {{{#ffffff 진천 - 소강정 통합 시간표}}} || || 횟수 || 진천 || 소강정 || 비고 || 번호 || || 1 || 09:30 || 09:50 || 주락골 10:00[br]진천으로 올 때 경유 || 214 || || 2 || 13:00 || 13:20 || || 215 || || 3 || 16:20 || 16:40 || 진천에서 갈 때 경유 || 211 || === 병천, 동면 방면 === [[천안 버스 410~463|천안 버스 410, 411번]] 문서 참조. 진천 - 문봉. 연곡 노선처럼 보탑사삼거리까지 동일하게 운행하다 병천, 동면 방향으로 빠진다. 411번은 사석까지 운행하는데 여기서 시간대가 잘 맞으면 청주 711번과 같은 다른 노선과 연계가 가능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진천군·음성군 농어촌버스, version=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