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필중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진필중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br][[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3.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5년 한국시리즈|{{{#ffffff 1995}}}]]''' || '''[[2001년 한국시리즈|{{{#FFD700 2001}}}]]''' || ---- ||
[br]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c63 동메달}}}''' || || '''[[김응룡호/2000년|{{{#ffffff 2000}}}]]''' || ---- [include(틀:KBO 사랑의 골든글러브)] ---- [include(틀:KBO 리그 역대 구원왕)] ---- [include(틀:KBO 리그 투수 마일스톤 기록)] ---- ||<-5> '''{{{#fff [[OB 베어스|{{{#ffffff OB}}}]]{{{/}}}[[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5번}}}''' || || [[강병규]][br](1991~1994) || {{{+1 →}}} || '''{{{#000 진필중[br](1995~2002)}}}''' || {{{+1 →}}} || [[박진철(야구선수)|박진철]][br](2004)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35번}}}''' || || [[소소경]][br](2000~2002) || {{{+1 →}}} || '''{{{#f01e23 진필중[br](2003)}}}''' || {{{+1 →}}} || 주창훈[br](2004)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35번}}}''' || || [[장준관]][br](2000~2003) || {{{+1 →}}} || '''{{{#fff 진필중[br](2004~2007)}}}''' || {{{+1 →}}} || [[이형종]][br](2008) || ||<-5> '''{{{#fff [[우리 히어로즈|'''{{{#fff 우리}}}''']] / [[서울 히어로즈|'''{{{#fff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39번}}}''' || || 팀 창단 || {{{+1 →}}} || '''{{{#fff 진필중[br](2008)}}}''' || {{{+1 →}}} || [[전인환]][br](200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5번}}}''' || || [[이동훈(1981)|이동훈]][br](2014~2015) || {{{+1 →}}} || '''{{{#fff 진필중[br](2016~2017)}}}''' || {{{+1 →}}} || [[김도규]][br](2018)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주성노호/1999 야구선수권대회 엔트리)] ---- [include(틀:김응룡호/2000 시드니 올림픽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필중.jpg|width=100%]]}}} || ||<-2> '''{{{+2 진필중}}}[br]陳弼重 | Jin Piljung''' || ||<|2> '''출생''' ||[[1972년]] [[10월 13일]] ([age(1972-10-13)]세) || ||[[서울특별시]] [[강남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역삼초 - [[휘문중학교|휘문중]] -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 83회 졸업생] -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 || || '''신체''' ||180cm, 91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한국프로야구/1995년/신인 드래프트#s-3.2|1995년 2차 2라운드]] (전체 11번, [[OB 베어스|OB]]) || || '''소속팀'''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 (1995~2002)'''[br][[KIA 타이거즈]] (2003) [br] [[LG 트윈스]] (2004~2007) [br] [[우리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 (2008) || || '''지도자''' ||[[한민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09~2011)[* 정식 등록 코치는 아니었다.] [br] [[경찰 야구단]] 투수코치 (2012~2013) [br] [[롯데 자이언츠]] 3군 투수코치 (2016)[* ~8월 17일][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2016)[* 8월 18일~] [br] [[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불펜코치 (2017~2018) [br] [[동원대학교 야구부]] 감독[* 공식 경기를 치르지 못한 채 물러났다.] (2021) [br]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24~) || || '''해설위원''' ||[[XTM]] 야구 해설위원 (2014) [br][[SPOTV]] 야구 해설위원 (2015)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우리 히어로즈]] 소속의 투수. 전 [[롯데 자이언츠]] 2군 투수코치. OB-두산 시절에는 기대되는 선발 유망주로 시작해 리그 정상급 클로저로 변신하며 뛰어난 활약을 보여줬으나, 이 시기의 혹사로 인해 빠르게 기량을 잃어 KIA 시절 이후부턴 [[먹튀]]로 전락했다. [[홍현우]] - 진필중 - [[마해영]] - [[박명환]] - [[정현욱(1977)|정현욱]] - [[정상호]] - [[차우찬]]으로 이어지는 [[LG 트윈스]] [[먹튀]] 산맥의 한 축을 담당하며, [[필패|진필패]]라는 별명이 몰락 이후 진필중의 추락해버린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 [[진필중/선수 경력|선수 경력]] == || '''진필중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통합 선수 경력: [[진필중/선수 경력]]''' || ||<-5>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width=5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5326f 45%, #151b54 55%)" [[진필중/선수 경력#s-2|'''{{{#white 베어스 시절}}}''']]}}} || [[진필중/선수 경력#s-4|'''{{{#ffffff KIA 시절}}}''']] || [[진필중/선수 경력#s-5|'''{{{#fff LG 시절}}}''']] || [[진필중/선수 경력#s-6|'''{{{#ffffff 우리 시절}}}''']] || }}}}}}}}} || == 피칭 스타일 == 전형적인 포심-슬라이더의 투피치 불펜투수로 150km/h를 넘나드는 강력하고 묵직한 포심 패스트볼이 주무기이다. 전성기 때만 해도 강력한 구위를 자랑했고 이 덕에 최고의 투수 중 하나로 꼽혔다. 패스트볼의 구위뿐만 아니라 제구까지 좋아 바깥쪽 낮게 들어오는 포심을 잘 구사했다. 포심 패스트볼 외에 슬라이더도 위력적으로 구사했다. 그 외 커브와 포크볼도 사용할 줄 알았으나 비중은 높은 편은 아니였고 사실상 포심-슬라이더 투피치였다. 그러나 계속된 혹사로 인해 구위를 잃어버리면서 바깥쪽 포심은 더이상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로케이션을 다양하게 하기도 하고 심지어 마무리에서 내려와 선발로 전향했으나 포심-슬라이더의 투피치, 완급조절의 부족으로 인해 선발로서도 성공하지 못하며 몰락해 버린 비운의 투수다. 당대 비슷한 사례로는 같은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두산]]에서 뛰었던 [[박명환]]이 있다. 다만 둘의 몰락에는 3년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LG 시절의 [[먹튀/스포츠|먹튀]]+[[삽질#s-1.1]]로 이미지가 크게 떨어졌지만, 두산 시절만 한정하면 지금의 [[오승환]]과 맞먹을 수 있는 특급 [[마무리 투수|마무리]]였다. [[김경원(야구)|김경원]], [[구대성]], [[선동열]]의 아성에 도전했던 몇 안되는 선수. 동시대에 뛰던 대항마로 유일한 마무리는 삼성의 [[임창용]] 정도가 있었다.[* 그나마도 [[임창용]]은 2000년에 관리받으면서 안식년을 갖고 2001년~2003년 3시즌은 선발로 전향했었다. 이후 임창용이 일본에서 특급 마무리로 활약한 뒤 메이저리그까지 찍고 불혹이 넘은 2018년까지 선수생활을 이어간 반면 진필중은 2002년 이후 하락세를 타게 되었고, 결정적으로 LG 시절 먹튀 이미지까지 겹치며 이후 완전히 밀리게 된다.] 야구에 만약은 없지만, 선발로만 계속 뛰었으면 혹은 1이닝 마무리로 철저히 관리받던 시절에 뛰었다면 좀 더 나은 업적을 달성할 수도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선수다. 마무리로 뛴다는 선수가 선발로 등판하여 완투까지 할 정도였으니, 투수들이 철저히 분업화된 2010년대부터의 관점으로 보면 아무리 옛날이라도 상식 밖의 투수 활용이었다. == 지도자 경력 == 교통사고를 당한 이후에도 열심히 재기를 노렸지만 결국 2009년 1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후 2009년 [[한민학교]]의 투수코치로 지도자로 첫 걸음을 내딛었다. "투수코치 진필중"의 첫 작품으로는 포수에서 투수로 전향, 140km/h 중반대의 구속을 던지는 파워 피쳐로 변신하여 [[삼성 라이온즈]]의 [[2010년]] 2라운드 지명을 받은 우완투수 [[김현우(1988)|김현우]]를 꼽을 수 있다. 코치로 만들어낸 첫 선수의 잠재력을 봤을 때, 코치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해 봐도 될 듯했다. 2011년 11월 자로 [[경찰 야구단]]의 투수코치로 부임했다. 재미있게도 [[경찰 야구단]]의 전임 투수코치는 OB 시절의 선배인 [[김경원(야구)|김경원]]이었다. [[김경원(야구)|김경원]] 코치가 [[두산 베어스]]의 투수코치로 옮기면서 진필중이 [[경찰 야구단]]의 투수코치로 들어가게 되었다. == 해설위원 경력 == 2013 시즌을 끝으로 코치직에서 물러난 후 2014 시즌에는 [[XTM]]에서 해설을 맡았고 [[베이스볼 워너B]]에도 출연했다. 2015년에는 [[SPOTV]]의 중계 방송에 해설로 참여했다. === 편파해설 논란 === 해설 수준은 그야말로 최악. 쉽게 말해 마해영의 LG 편파 버전이다. 거기에 본인의 커리어를 칭찬하느라 해설시간을 허비해서 그 수준은 심각했다. 결국 분노한 [[삼성 라이온즈]] 팬들이 [[마해영]] 자르지 말고 진필중도 자르라고 워너B 게시판을 초토화시켰다. [[파일:attachment/jin_1.png]] [[파일:attachment/jin2.png]] [[http://program.interest.me/xtm/wannab/14/Board/List?page=3|분노의 현장]] [[SPOTV]] 유튜브 채널에 [[XTM]] 해설이 나오면 마찬가지 반응인데, 모두들 분노했지만 그 중 한 사람은 20억 먹은 먹튀인데 저 같아도 편파해설 하지요.라고 비꼬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똑같이 편파해설을 한 마해영 전 해설위원은 완전히 퇴출되었으나, 진필중은 2015년까지 해설위원을 했다. == 지도자 경력 2기 == 2015 시즌 후 [[염종석]]의 사퇴로 공석이 된 [[롯데 자이언츠]]의 드림팀(육성군, 3군) 투수코치로 선임됐다. 야구 팬들은 진필중의 해설을 안 듣게 됐다며 환호하는 중. 공교롭게도 [[염종석]] 전 코치는 진필중이 해설위원으로 있던 [[SPOTV]] 해설위원으로 영입되면서 두 사람이 서로 자리를 맞바꾼 셈이 됐다. 2016년 8월 18일 코치진 개편으로 퓨처스(2군) 불펜투수로 올라왔다. 이 날 개편으로 [[크리스 옥스프링]]이 2군 코치에서 1군 투수코치로 올라오고, [[주형광]]이 1군 투수코치에서 3군 투수코치로 보직 이동했다. 2018년 시즌 종료 후 [[양상문]] 체제로 바뀜과 동시에 재계약에 실패하며 롯데 코치직에서 물러났으며, 2019년 1월 7일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에 피칭트레이닝 센터를 오픈했다고 한다. [[https://blog.naver.com/pj0733/221436186161|블로그]] 2021년 4월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동원대학교]] 야구부의 창단 감독으로 선임됐다는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529/0000055015|소식]]이 들려왔다. 하지만 2022년 3월 기준으로 前 KIA 코치였던 [[정회열]]이[* 현재 [[KIA 타이거즈]]에서 뛰고 있는 [[정해영]]의 아버지기도 하다.] 감독으로 소개되고 있는 걸 봐서는 사임한 걸로 보인다. == 연도별 성적 == ||<-12>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이브}}} || {{{#ffffff 홀드}}}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1995 ||<|4> [[OB 베어스]] || 36 || 109⅓ || 6 || 2 || 2 || 0 || 3.21 || 112 || 40 || 50 || || 1996 || 32 || 191 || 13 || 10 || 4 || 0 || 3.11 || 186 || 47 || 69 || || 1997 || 26 || 130⅔ || 7 || 12 || 0 || 0 || 3.72 || 152 || 43 || 72 || || 1998 || '''61''' [br] (5위) || 158⅓ || 8 || 6 || '''19''' [br] (5위) || 0 || '''2.33''' [br] (4위) || 135 || 47 || 100 || || 1999 ||<|4> [[두산 베어스]] || '''73''' [br] (3위) || 114 || '''16''' [br] (4위) || 6 || '''36''' [br] (1위) || 0 || 2.37 || 84 || 41 || 114 || || 2000 || '''59''' [br] (5위) || 73 || 5 || 5 || '''{{{#red,#ff0000 42}}}''' [br] (1위) || 0 || 2.34 || 64 || 25 || 61 || || 2001 || 51 || 89⅓ || 9 || 6 || '''{{{#red,#ff0000 23}}}''' [br] (1위[* 세이브 숫자로는 1위였으나, 당시 세이브왕의 기준은 세이브+승수의 개념인 세이브포인트 제도였고, 신윤호에 비해 승수가 밀리면서 세이브 1위에도 세이브왕을 수상하지는 못했다.]) || 0 || 3.22 || 87 || 41 || 88 || || 2002 || 54 || 62⅓ || 4 || 5 || '''{{{#red,#ff0000 31}}}''' [br] (1위) || 0 || 3.47 || 60 || 19 || 5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이브}}} || {{{#ffffff 홀드}}}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3 || [[KIA 타이거즈]] || 46 || 64⅓ || 4 || 4 || '''19''' [br] (5위) || 0 || 3.08 || 64 || 24 || 7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이브}}} || {{{#ffffff 홀드}}}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4 ||<|4> [[LG 트윈스]] || 34 || 32⅔ || 0 || 4 || 15 || 0 || 5.23 || 49 || 13 || 23 || || 2005 || 13 || 51 || 3 || 7 || 0 || 0 || 5.82 || 58 || 28 || 27 || || 2006 || 25 || 43⅓ || 0 || 3 || 0 || 2 || 3.95 || 54 || 15 || 18 || || 2007 ||<-10> 1군 기록 없음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이브}}} || {{{#ffffff 홀드}}}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2008 || [[키움 히어로즈|우리 히어로즈]] ||<-10>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12시즌) || 510 || 1119⅓ || 75 || 70 || 191 || 2 || 3.20 || 1105 || 383 || 751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72년 출생]][[분류:1995년 데뷔]][[분류:2008년 은퇴]][[분류:강남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분류:KBO 구원왕]][[분류:서울역삼초등학교 출신]][[분류:휘문중학교 출신]][[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