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목차] == 개요 == {{{+1 질량이 큰 항성 / [[巨]][[大]][[質]][[量]] [[恒]][[星]] / Most massive stars}}} 질량이 큰 항성은 질량이 큰 별의 일종이다. == 상세 == === 형성 계기 === 이들의 기준은 60 태양질량 이상이며 이렇게 극단적인 질량으로 형성된 이유에 대한 주장은 다양하다. 그냥 형성된 천체도 있고, 여러 항성들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 종류 === 이들의 형태는 [[https://spacemath.gsfc.nasa.gov/weekly/7Page22.pdf|나사]] 그리고 [[https://ko.wikipedia.org/wiki/질량이_큰_항성_목록#cite_ref-Doran2013_10-33|위키백과]]를 참고하였다. ---- '''유의사항''' 이들은 태양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질량에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질량이 확실히 입증되었다고 하더라도 별의 형태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주계열성 ==== ===== [[O형 주계열성]] ===== ===== [[B형 주계열성]] ===== ==== [[초거성]]·[[극대거성]] ==== [[웨스터하우트 49-2]]가 이에 해당한다.[* 불확실한 관측 결과이지만 질량이 큰 항성이기엔 충분하다.] ===== [[밝은 청색 변광성]] ===== * [[용골자리 에타]](A) * [[황새치자리 S]] ==== [[볼프 레이에별]] ==== [[R136a1]]이 이에 해당한다. == 관련 문서 == * [[항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초질량 항성, version=20)] [[분류:항성]][[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