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짐 타입]][[분류:2015년 HG 건프라]][[분류:2019년 MG 건프라]] [include(틀:유니콘 건담 시리즈)] || {{{#29384d '''RMS-179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br]{{{-1 ジムII・セミストライカー │ GM II Semi-Striker}}}'''}}} || || [[파일:RMS-179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 설정화.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제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형식번호 ||RMS-179 || || 기체형식 ||범용 커스텀 모빌슈트 || || 제작·설계 ||<|2>지구연방군 || || 소속 || || 조종 ||[[리니어 시트]]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 || 배치 ||U.C. 0096. || || 크기 ||두부고: 18.1m[br]전고: 19.1m || || 중량 ||건조: 43.5t[br]전비: 57.5t || || 장갑 ||티타늄 합금 세라믹 복합제+일부 건다리움 합금 || || 엔진 ||초소형 미노프스키 핵융합 엔진 || || 출력 ||1,518 kW || || 추력 ||62,000kg (백팩의 스러스터 15,500kgx4) || || 가속도 ||1.06 G || || 질량비 ||1.29 || || 시스템 ||8,800m 감지 센서 || || 고정무장 ||60mm 발칸x2[br][[빔 사벨]][br]소형 실드 || || 옵션무장 ||트윈 빔 스피어 || || 디자이너 ||[[카토키 하지메]] ||}}}}}}}}} || [목차] == 개요 == [[기동전사 건담 UC]]에 등장하는 모빌슈트. == 특징 == 토링턴 기지에 배치된 [[짐 II]]에 증가장갑을 장착한 현지 개수기. 기존 기체용 보층파츠를 재송한 것에 불과해 독자적인 형식번호는 부여되지 않았지만 양 어깨의 장갑과 사용 무장이 RGM-79FP 짐 스트라이커와 동형이기 때문인지 현지에서는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개수는 OS에도 미치고 있으며, 일정한 근접 전투 모션에 특화된 것으로 재기록되고 있다. 증가장갑은 어깨부가 짐 스트라이커, 왼쪽 팔뚝부가 풀아머 건담과 동형이다. 전자는 오리지널과 달리 폭발반응장갑은 아니지만, 후자는 건다리움 합금제다. OVA에서는 탑승 파일럿이 누구인지 알려진 바 없지만, 건담 에이스에서 연재된 만화 <스트라이커 인 토링톤 Ninja of the Torington Base>에 의하면, 이 세미 스트라이커의 파일럿은 <기동전사 건담 우리는 연방 우련대(機動戦士ガンダム オレら連邦愚連隊)>라는 작품의 주인공인 유지 알카나의 제자 겸 부하라고 한다. 유지를 '교관님'이라 부르며 잘 따르고 그의 전투 스타일을 잘 따라하는 대원이었다고 한다. == 무장 == * 60mm 발칸 머리에 내장되어 있다. * 빔 사벨 트윈 빔 스피어에 장착된 빔 사벨 외에 별도의 빔 사벨이 백팩에 수납되어 있다. * 소형 실드 * 트윈 빔 스피어 [[짐 스트라이커]]용으로 개발된 접근전 무장. 2개의 빔 사벨을 90도까지 접히는 소켓에 장착했다. 찌르기와 참격 등 폭넓은 공격이 가능하다. 다만, 기체 안쪽으로 파고들면 대응이 어렵다. == 작중 행적 == [[파일:기동전사 건담 UC 4화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 VS 이프리트 슈나이드.gif|align=center]] OVA 4화 토링턴 기지 전투에 투입되어 지온 잔당군의 나름 고성능 기체인 [[이프리트 슈나이드]]와 몇 합을 겨루다가 격파당한다. == 모형화 == === 건프라 === ==== HG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UC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 박스아트.png|width=100%]]}}} || ||<-2> 상품구분 || [include(틀: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표시)] || ||<-2>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s-4.1|High Grade Universal Century]] || ||<-2> 스케일 || 1/144 || ||<-2> 발매 || 2015년 10월 || ||<-2> 가격 || 1,600엔 || ||<-2> 링크 || [[https://p-bandai.jp/item/item-1000098879/|제품 페이지]] || ||<|2> 리[br]뷰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http://dalong.net/reviews/cg/cgh078/cgh078_p.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https://gunplapocchi.com/gunpla-gm2-semi-striker/|#1]] [[https://hobbynotoriko.yumenogotoshi.com/hguc-gm-2-ss.html|#2]] [[https://plenum756.com/hguc-premium/gm2-semi-striker/|#3]] [[https://gundam-fun.hatenablog.com/entry/2016/05/27/025610|#4]] || [[짐 II/모형화#HG/|HGUC 짐 II]]를 기반으로 컬러링이 데저트 컬러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변경됐으며, 신규 조형의 어깨 증가장갑, 왼쪽 팔뚝과 고정식 실드, 스러스터가 배치된 다리 아머 파츠가 추가됐다. 그리고 세미 스트라이커의 메인 무장인 트윈 빔 스피어도 부속됐는데, [[짐 스트라이커#HG|HGUC 짐 스트라이커]]의 것과 동일한 사양으로 컬러만 변경됐다. 정크 파츠를 활용해서 데저트 컬러의 짐 II도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데저트 컬러 기반이라서 그런지 호일 씰이 제공되는데, 마킹 씰(테트론 씰)은 부속되지 않았다. ==== MG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G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 박스아트.png|width=100%]]}}} || ||<-2> 상품구분 || [include(틀: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표시)] || ||<-2> 브랜드 || [[마스터 그레이드|Master Grade]] || ||<-2> 스케일 || 1/100 || ||<-2> 발매 || 2019년 1월 || ||<-2> 가격 || 4,200엔 || ||<-2> 링크 || [[https://p-bandai.jp/item/item-1000130158/|제품 페이지]] || ||<|2> 리[br]뷰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https://youtu.be/73U_8tAQlPo|[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http://www.dalong.net/reviews/cg/cgm131/cgm131_p.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http://schizophonic9.com/re5/mg_semistriker.html|#1]] [[http://gundamsblog.net/ガンプラ/mg-ジムⅡ・セミストライカー|#2]] [[https://plakatu.com/2019/02/23/gm2-semi-striker-2/|#3]] || [[짐 II/모형화#MG|MG 짐 II]]를 기반으로 컬러링 변경 및 세미 스트라이커용 신규 조형 파츠이 추가되어 상품화되었다. 색분할은 원본 이상으로 합격점을 넘어서 최고 수준으로 특히 클리어 파츠가 진한 녹색 클리어로 잘 나온 덕분에 굳이 스티커를 붙이지 않아도 예뻐보일 정도로 잘 나왔다. 다만, 잘 재현된 색분할과 트윈 빔 스피어를 제외하면 의외로 내구성 면에서 문제점이 많은 키트인데 대개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부분은 발 파츠로, 발바닥이 잘 결합되지 않거나 발가락이 조립도중 휘기 쉽다는 보고가 자주 나온다. 무엇보다도 팔꿈치 관절 파츠가 최대 가동 범위까지 굽히면 탈골된다. === 완성품 === ==== 식완 ==== * [[https://www.bandai.co.jp/candy/gundam/converge/sharp05/|FW 건담 컨버지 # 제5탄 No.149 짐 II 세미 스트라이커]]: 2017년 1월 발매, 가격 500엔(1개입).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짐 II, version=237, paragraph=5.1, title2=짐 II/모형화, version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