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폭우]] [include(틀:기상 현황)]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DR_CMI_201009211550.png|width=10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95, #3594D3)" '''{{{#fff {{{-1 [[2010년|{{{#fff 2010년}}}]] [[9월 21일|{{{#fff 9월 21일}}}]], [[추석|{{{#fff 추석}}}]] 연휴에 발생한 [[대한민국|{{{#fff 한국}}}]] [[수도권(대한민국)|{{{#fff 수도권}}}]]의 집중호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호우 범람.jpg|width=100%]]}}}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95, #3594D3)" '''{{{#fff {{{-1 [[인도|{{{#fff 인도}}}]] [[구자라트|{{{#fff 구자라트}}}]] 지역의 집중호우로 인한 강 범람}}}}}}'''}}} ||}}} [목차] [clearfix] == 개요 == '''집중호우'''([[集]][[中]][[豪]][[雨]]) 또는 '''호우'''(豪雨, heavy rainfall)는 짧은 시간 동안 좁은 면적의 지역에서 줄기차게 내리는 [[비(날씨)|큰비]]를 이른다. == 명칭 ==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호우(豪雨, heavy rainfall)', '집중호우(集中豪雨, localized rainfall)'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며, 3시간 동안 60 mm 이상 또는 12시간 동안 110 mm 이상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때에 호우주의보를 발효하고, 3시간 동안 90 mm 이상 또는 12시간 동안 180 mm 이상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는 때 호우경보를 발효한다. 보다 대중적으로는 '폭우(暴雨, downpour)'라는 표현도 사용된다. 순우리말로는 '장대비'라 부르기도 하며, 이 밖에 유의어로 '대우(大雨)', '다우(多雨)' 등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집중호우를 가리키는 표현 가운데 '게릴라성 호우' 또는 '게릴라 호우(ゲリラ豪雨)'는 과거 [[일본 기상청]]에서 집중호우를 묘사하며 사용했던 표현으로, 특히 예측하기 어려운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리고 사라지는 형태의 호우를 말한다. 보통 시간당 100 mm 이상의 초단기 [[극한호우]]에 붙여지며, 한국에도 일본어 기사를 번역하는 언론 및 기상학 서적을 통해 이 용어가 수입되어 쓰이기 시작했다. 또 다른 말로는 '선상강수대(線状降水帯)'라는 표현도 쓰이기도 한다. 이렇게 일본의 기상학 관련 시사용어 중에는 특히 대비가 필요한 경우 심각한 표현을 통해 대중에게 충격을 주어 뇌리에 각인시키려는 시도가 많은데, 다른 예시로 '폭탄 저기압(爆弾低気圧)'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일본 기상청에서도 공식적으로 이들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국지적 대우(局地的大雨)'라는 일반적인 명칭으로만 표현한다. 이유는 전쟁을 연상시키는 과격하고 폭력적인 표현이기 때문. [[https://www.rbbtoday.com/article/2020/10/31/183489.html|#]] 세간에서는 이미 이러한 표현이 널리 보급된 탓에 일본 내의 언론 등 미디어를 중심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한편, 독자적인 순우리말 느낌의 표현이 많은 북한에서도 기상 용어로 [[https://www.youtube.com/watch?v=SoS-sL6N9pw|폭우]]를 사용한다. 북한 기상수문국은 '폭우경보'와 '홍수경보'를 발령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무더기비'는 무더기로 내리는 비라고 하여 1~3일간 200mm 이상 내리는 비를 가리키는 개념인데 '무더기'는 단순히 수효가 많음을 의미하기에 '좁은 면적'이라는 개념은 없다. 중국에서는 24시간 내에 50mm 이상 내리는 비를 폭우(暴雨, bàoyŭ)라고 정의한다. == 원인 == 집중호우의 원인은 강한 상승기류로 인해 만들어지는 [[적란운]]이다. 적란운은 [[수증기]]가 많은 곳에서 발생한다. 그런데 수증기를 내포한 공기는 산악 지형에서 상승하는 일이 잦기 때문에 산악 지형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도시에 집중호우가 빈발하고 있다. 물론 위의 조건 말고 다른 조건으로도 집중호우가 발생한다. [[온대저기압|커다란 공기가 만나는 전선]]이나 수렴대가 그것이다. == 동아시아의 집중호우 == === 시기 === [[대한민국]], [[중국]] 등 아시아 대륙 동안은 주로 북태평양 기단과 열대성 저기압이 북상하는 6월에서 [[장마]] 시기, 늦으면 9월까지 집중호우의 위험이 상존한다. 드물지만 5월이나 10월에 내리는 경우도 있다. 기후 이상으로 4월에 발생하는 사태도 종종 관측된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623464|4월 폭우에 팔당댐 첫 수문 개방…오늘 오전 차차 갬]]], 11월[* [[http://v.media.daum.net/v/20201120030403722|車 떠내려가고.. 컨테이너 쓰러지고.. 104년 만의 '11월 폭우']]] 12이나 3월에도 이상 고온이 갑작스럽게 풀리며 호우가 쏟아지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2002년 1월 14~15일에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 피해 === [[폭염]]과 함께 [[동아시아]]의 [[여름]]을 묘사하는 전형적 특징 가운데 하나. 여름철 숨막히는 고온 속에 내리는 비는 푹푹 찌는 습도를 동반하기 때문에 야외 활동을 제한시키고 불쾌지수를 높이는 주범이고 심할 경우 홍수, 침수 따위를 야기해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 이점 === 반면 동아시아 기후 특성상 여름철에 내리는 비는 1년 강수량의 60~70 %를 책임지며 대기를 깨끗하게 정화시켜주고[* 강수가 없는 겨울~봄에 해마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날아온다는 걸 생각해 보자.] 고기 값, 달걀 값을 안정시켜주기[* [[구제역]]과 [[조류 인플루엔자]] 문서로.] 때문에 고마운 존재이기도 하다. 그야말로 애증의 존재. 만일 여름철 강수량이 다른 계절과 비슷하거나 적다면 극심한 물 부족으로 사람의 활동에 심각한 제약을 야기했을 것이다. === 지역별 === ==== [[집중호우/한반도|한반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집중호우/한반도)] ==== 중국 ==== * [[1931년 중국 대홍수]] * [[2020년 중국 폭우 사태]] * [[2021년 중국 허난성 폭우 사태]] ==== 일본 ==== * [[2018년 7월 일본 호우]] * [[2020년 일본 서남부 폭우 사태]] * [[2021년 서일본 폭우 사태]] ==== 남아시아에서 ==== * [[2020년 남아시아 폭우 사태]] * [[2022년 파키스탄 폭우 사태]] ==== 서유럽에서 ==== 반대로 서유럽에서는 11월~3월에 집중호우의 위험이 높다. 겨울철 [[온대저기압]]의 극단적 변형인 [[날씨폭탄]](유러피언 윈드스톰)이 찾아와 폭우가 오며, 계절적 특성상 기온이 더 내려가면 [[폭설]]로 바뀌기도 한다. 겨울철 한국이 가뭄일 때 유럽 쪽 해외토픽을 보면 [[문화충격]]을 느낄 만한 수준이다. * [[1953년 북해 홍수]] * [[라스 니에베스 캠핑장 홍수]] * [[2021년 독일·베네룩스 폭우 사태]] - 서유럽에서 보기 드문 여름 폭우 사태였다. ==== 기타 지역 ==== * [[빅 톰슨 홍수]] * [[2023년 리비아 대홍수]] - 집중호우와는 한참 거리가 먼 북아프리카 지역임에도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 [[강우량#s-4|세계 기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우량, 문단=4)] == [[다우지|세계의 다우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다우지)] == 관련 문서 == * [[:분류:폭우]] * [[극한호우]] * [[대한민국 기상청]] * [[장마]] * [[침수]] * [[태풍]] * [[마트모]] - [[차모로어]]로 집중호우를 뜻한다. * [[홍수]] * [[사건 사고 관련 정보]] * [[재난]] * [[한국사]] * [[2004년 한국시리즈/9차전]][* '''사상 최악의 11월 폭우''' 속에서 치러진 '''전세계 야구 역사에 남을 최악의 야구 수중전''']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호우, version=216, paragraph=1)]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태풍, version=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