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징계]] [목차] == 개요 == 스포츠 협회가 팀이나 선수에게 하는 징계이다. 사법(私法)상 [[징계]]에 속한다. == 선수 개인에 대한 징계 == 개인징계는 보통 하나만 내리지 않고 여러개를 병과한다. * 제재금 * 자격 정지 - 대개 몇 경기 내지 몇 년 단위로 징계를 내린다. * [[영구제명]] * [[사회봉사명령]] == 팀 단위 징계 == * [[홈 앤드 어웨이]] 경기에서 홈 경기 금지 * [[무관중 경기|무관중 징계]] * [[몰수패]] * 득점 / 승점 삭감 * 강등 - 등급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 [[국제올림픽위원회]] 및 [[국제패럴림픽위원회]] == * 러시아 대표팀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참조. *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 2022년 12월까지 모든 경기에 중립 선수단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2016 리우 패럴림픽]]에서는 아예 출전이 금지되었고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부터 비장애인처럼 중립 선수단 참여로 변경되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국제올림픽위원회에서 퇴출되었다. * 벨라루스 대표팀 - 우크라이나 침공 협조로 인해 퇴출되었다. == [[FIFA]] 및 그 산하 대륙연맹 == * [[AFC 챔피언스 리그/2011년/4강 2경기 1차전]]: [[수원 삼성 블루윙즈]] [[고종수]] 코치와 [[스테보]] 선수, [[알 사드]]의 [[알리 수하일 사베르]] 코치가 6경기 출장 정지를 당했다. * [[AFC 챔피언스 리그/2017년]] 조별리그: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팬이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서 욱일기를 내건 이유로 제재금 1만 5천달러 처분을 받았다.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예선]]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 브라질 출신 선수들의 국가대표 자격 부정 취득으로 인해 3점차 이상으로 패한 3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몰수패 처리되었다. 추가로 A조 꼴지 자격으로 진출한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예선 플레이오프 말레이시아전 2경기도 모두 몰수패 되었고, 여기에 더해 다음 대회인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2차 예선 진출권도 박탈되었는데, 이미 1차 예선에서 말레이시아 대표단에게 12:2로 대패해 실효성은 없어졌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북중미카리브)/최종예선|2022 카타르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최종예선]]에서 멕시코 대표팀이 동성애 증오 발언을 응원 문구로 써서 홈 경기 2회를 무관중으로 치르게 되었다. * [[UEFA 유로파 리그/2022-23 시즌/결승전]]에서 분노한 [[AS 로마]]의 팬이 부다페스트 공항에서 [[앤서니 테일러]]와 가족에게 [[협박]]한 사실에 대해서 징계를 내렸다. 바로 '''9월에 열릴 유로파리그 첫 번째 홈경기 좌석 중 6,000석 규모의 두 구역을 폐쇄할 것'''이었다. 사실상 [[AS 로마]] 팬의 입장을 불허한 셈이며 무관중 징계 중 하나가 됐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11&aid=0001607670|출처]] == 국내 스포츠 협회 == === [[한국프로축구연맹]] === * [[경남 FC 심판매수 사건]](2015): 경남 FC가 승점 10점 삭감에 벌금 7천만원 처분을 받았다. * [[강원 FC/사건사고#김병수의 박효진 폭행|강원 FC 김병수 감독의 코치 폭행 사건]](2021.7.5): 김 감독이 구단으로부터 제재금 4천만원 징계를 받았다. * [[강원 FC 볼보이 시간 지연 논란]](2021.12.12): 강원 FC가 제재금 3천만원을 받았고, 상대팀인 [[대전 하나 시티즌]]에서도 한 관중이 물병을 던진 것 때문에 제재금 200만원을 받았다. === [[한국야구위원회]] === 2022년 개정된 규약에 따라 [[음주운전]]으로 면허정지시 70경기 출장정지, 면허취소처분은 1년 실격, 2회 발생은 5년 실격, 3회 이상은 영구 실격 처분을 받는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603135500007|#]] 그 첫 적용 사례가 후술할 하주석 선수이다. ---- * [[2015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 [[오승환]]과 [[임창용]]에게 각각 72경기(정확히는 시즌 전체 경기중 50%) 출장정지를 내렸다. * [[2021년 KBO 리그 코로나19 확산 사태]](KBO 징계+구단 징계) * [[NC 다이노스]] ||[[박석민]]||72+50경기 출장정지, 제재금 1천만원[* 제재금은 모두 KBO 부과]|| ||[[이명기]], [[권희동]],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72+25경기 출장정지|||| * [[키움 히어로즈]]([[한현희]], [[안우진]]) ||[[한현희]]||36+15경기 출장정지, 제재금 500만원+1천만원|| ||[[안우진]]||36+15경기 출장정지, 제재금 500만원+500만원|| * [[한화 이글스]]([[윤대경]], [[주현상]]): 10+10경기 출장정지, 제재금 200만원+700만원 * [[하주석]](2021.6.25.~2022.6.16. 한화 이글스 주장) * 2022년 6월 16일 대전구장 롯데전 8회말에 등판해 심판의 판정에 항의하는 뜻으로 배트를 경기장 바닥에 내던지고, 퇴장하면서 헬멧도 집어던져 같은 팀 코치를 부상입히는 등 난동을 해 10경기 출장정지, 제재금 300만원, 사회봉사 40시간 처분을 받았다.[* 2021년 5월 kt전에서 팀이 이기고 있는데도 개인 기록이 무안타라는 이유로 난동을 부려 주의를 받았고, 불과 40여일전인 4월 30일 NC전에서도 유사한 행위를 했던데다가 이번엔 코치가 맞은걸 알면서도 무심하게 지나쳐버리는 등 죄질이 심했다.] * 2022년 11월 19일에는 위 사안으로 사회봉사를 하던 와중에 음주운전으로 적발되어 70경기 출장정지를 받았다. * [[2023년 WBC 대표팀 음주 논란]]: 연루된 선수 중 최고참인 [[SSG 랜더스]] 소속 [[김광현]]에게 사회봉사 80시간에 제재금 500만원, [[두산 베어스]] 소속 [[정철원]]과 [[NC 다이노스]] 소속 [[이용찬]]에게 사회봉사 40시간에 제재금 300만원 처분을 각각 내렸다. * [[SSG 랜더스 2군 구타 및 가혹행위 사건]](2023): [[이원준(야구선수)|이원준]]은 팀에서 퇴단과 더불어 72경기 출장 정지처분을 받았고, [[이거연]]과 [[최상민]]이 30경기 출장정지 처분을 받았다. 구단 측은 사태를 인지하자마자 신고한 점을 참작해 경고에 그쳤다. * [[배영빈]]: 음주운전으로 적발된 후 구단이나 위원회에 신고하지 않아 1년 실격 및 사회봉사 80시간 징계를 받았다. === 한국프로농구연맹 및 한국여자프로농구연맹 === * [[김주성]](남자농구 DB 프로미 감독): 2023-2024시즌 2라운드 창원전 경기중 심판에게 부적절한 언행을 하여 제재금 50만원 징계를 받았다. [[https://naver.me/5qaoRVdq|#]] === [[대한빙상연맹]] === * [[임효준의 황대헌 강제추행 혐의(무죄) 사건|임효준의 황대헌 강제추행 혐의 사건]]에서 당시 [[임효준]]에게 1년 자격정지 처분을 내렸다. 징계무효확인소송이 있었지만 판결 전에 중국으로 귀화하여 각하된 듯 하다. == 불복 방법 == [[민사소송]]으로 징계무효확인소송을 구할 수 있다. [[2016년 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에서, 이태양은 [[https://lbox.kr/case/%EC%84%9C%EC%9A%B8%EC%A4%91%EC%95%99%EC%A7%80%EB%B0%A9%EB%B2%95%EC%9B%90/2017%EA%B0%80%ED%95%A9550396|서울중앙지방법원 2017가합550396]]호로 [[한국야구위원회]]를 피고로 하여 제기된 영구실격처분 무효 확인의 소를 제기한 바 있다. 그러나 기각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징계, version=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