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쪽샘 44호 고분 비단벌레 금동 장식품1.jpg]]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1207000238|사진 출처 : '신라왕족 여성 무덤' 쪽샘지구 신라고분 44호서 금장신구·바둑돌 등 발굴]] [목차] == 개요 == 2020년 12월에 [[경상북도]] [[경주시]] [[쪽샘지구 44호분]]에서 발견된 5세기 경 [[신라]]시대의 [[여성]]용 [[비단벌레]]날개 황금 장식품 수십여점.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쪽샘 44호 고분 비단벌레 금동 장식품2.jpg]] [[http://www.gj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808|사진 출처 : 경주 포커스 - 쪽샘 44호 고분, 금귀걸이 금은 팔찌 등 신라여성 호화장신구 무더기 출토]] 2020년 12월에 경주 황오동 내 [[쪽샘지구 44호분]]에서 출토된 5세기 경 신라시대의 황금 유물들이다. 당시 신라인들이 [[비단벌레]] 날개를 사용하여 아름답게 꾸민 장식품으로, 이와 비슷한 형태의 신라 유물로는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띠드리개]],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말안장 뒷가리개]],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발걸이]],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허리띠 꾸미개]], [[황남대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화살통 장신구 및 멜빵]], [[호우총 비단벌레 장식 금동 귀면문 화살통]] 등이 있다. 이 장식품 수십여점은 [[황금]]으로 만든 맞새김판 아래에 [[비단벌레]]의 날개를 촘촘히 깔아 황금빛과 비단벌레 특유의 영롱한 초록빛이 화려하게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장식한 것으로, 이러한 장식법은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것으로 신라시대 최상위의 계층만을 위해 사용한 기법이다. 추가적인 내용은 [[쪽샘지구 44호분]] 문서 참고. == 사건 사고 == || [youtube(rOEDByeOJes)] || 경주 쪽샘지구는 4~6세기 [[신라]] 왕실의 무덤이 밀집된 곳으로, 44호분 외에도 현재까지 신라 왕릉 약 150여 기가 발견되었다.[[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43885&cid=40942&categoryId=37713|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8258&cid=43667&categoryId=43667|네이버백과]] 아직 대부분 고분이 기초적인 발굴조사조차 되지 않았기에, [[문화재청]]과 [[경주시]]는 20여 년에 걸쳐 고분들의 1차 발굴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본 항목의 유물들이 발견되기 바로 한달 전인 2020년 11월 18일, 44호분 바로 근처에 있는 쪽샘지구 79호분에 한 사람이 [[기아 스포티지|SUV 차량]]을 타고 올라가 차를 주차하면서 봉분을 훼손하여 많은 이들을 황당하게 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3053094|중앙일보 : 경주 신라 왕족 고분 위 주차된 흰색 SUV···시민들 경악하다]] [[선을 넘는 녀석들]]에서 방영했다. [[분류:신라의 금제유물]] [[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