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37MS.png|width=40]] 937 [[파라블레이즈]] || [[파일:938MS.png|width=40]] '''{{{#000,#fff 938 빈나두[br][[파일:939MS.png|width=40]] 939 찌리배리}}}''' || [[파일:940MS.png|width=40]] 940 [[찌리비]]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 [[파일:340MS.png|width=40]] 169 [[메깅]] || [[파일:938MS.png|width=40]] '''170 빈나두'''[br][[파일:939MS.png|width=40]] '''171 찌리배리''' || [[파일:704MS.png|width=40]] 172 [[미끄메라]]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38 빈나두 dex.png|width=70%]] || [[파일:939 찌리배리.png|width=70%]] || || 빈나두 || 찌리배리 || [anchor(앵커-기본 정보)] ||<-4> {{{#white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2>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938MS.png|width=50]][br]'''빈나두''' [br] ズピカ(즈피카) [br] Tadbulb || 전국: 938[br] 팔데아: 170 ||<|2> [include(틀:전기타입)] || || [[파일:939MS.png|width=50]][br]'''찌리배리''' [br] ハラバリー(하라바리) [br] Bellibolt || 전국: 939[br] 팔데아: 171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br]{{{#white (숨겨진 특성은 *)}}} || ||<|2> (공통) || [[포켓몬스터/특성/ㅈ#정전기|정전기]] || 접촉한 상대를 30% 확률로 마비시킨다. || || *[[포켓몬스터/특성/ㅅ#습기|습기]] || [[자폭]], [[대폭발]]과 유폭 특성을 무효화한다. || || 빈나두 || [[포켓몬스터/특성/ㅁ#마이페이스|마이페이스]] || 혼란 상태가 되지 않는다. || || 찌리배리 || [[포켓몬스터/특성/ㅈ#전기로바꾸기|전기로바꾸기]] || 공격을 받을 시 충전 상태가 되어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을 높인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white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938 빈나두 || 전기올챙이 포켓몬 || 0.3m || 0.4㎏ || 190 || || 939 찌리배리 || 전기개구리 포켓몬 || 1.2m || 113.0㎏ || 5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수중 1 || 5,120걸음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fbb917><-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fbb917> {{{#FFFFFF 진화}}} || [[파일:938.png|width=80]] [br]938 빈나두 || [[파일:천둥의돌.png|width=24]] [br] 천둥의돌[br]→ || [[파일:939.png|width=80]] [br]939 찌리배리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white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white 2배}}} || {{{#white 1배}}} || {{{#white 0.5배}}} || || [include(틀:땅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br]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풀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강철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38MS.png|width=50]][br]빈나두 || 61 || 31 || 41 || 59 || 35 || 45 || 272 || || [[파일:939MS.png|width=50]][br]찌리배리 || 109 || 64 || 91 || 103 || 83 || 45 || 49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38MS.png|width=50]][br]{{{#FFFFFF 빈나두}}} || ||<#ffffff,#000000><-2><:>{{{#!HTML}}}|| ||<-2> [[파일:939MS.png|width=50]][br]{{{#FFFFFF 찌리배리}}}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찌리배리#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38MS.png|width=50]][br]{{{#white 938 빈나두}}} || || 스칼렛 ||꼬리를 흔들어서 전기를 발생시킨다. 위험을 감지하면 머리를 깜빡여서 동료에게 알린다. || || 바이올렛 ||몸에 비축된 전력으로 부유한다. 뇌운이 있을 때는 평소보다 높게 떠오른다고 한다. || ||<-2> [[파일:939MS.png|width=50]][br]{{{#white 939 찌리배리}}} || || 스칼렛 ||말랑말랑한 몸을 늘였다 줄였다 하면 배에 달린 배꼽 발전기가 큰 전력을 발생시킨다. || || 바이올렛 ||눈알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 배에 달린 배꼽 발전기로 만들어 낸 전기를 발사하는 방전 기관이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배꼽 발전기」로 큰 전력을 발생시킨다.''' 탄성이 뛰어난 몸을 늘였다 줄였다 하면 배꼽처럼 보이는 기관에서 전기가 만들어집니다. 발생한 큰 전력의 에너지를 머리 좌우에 달린 눈알처럼 생긴 혹을 통해 방출합니다. 진짜 눈은 작고 귀여워서, 위압감을 주고 싶을 때 눈알처럼 생긴 혹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공격당하기 전까지 눈치채지 못하는 느긋한 성격''' 먼저 공격받지 않아도 싸울 수 있도록 의욕을 심어 주기가 매우 어려운 포켓몬입니다. 찌리배리의 서식지에서는 일몰 후에 “꼬륵~ 꼬륵~”하는 이상한 소리가 들립니다. 이는 울음소리가 아닌 배에서 나오는 소리로, 배가 고파서 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새로운 특성 「전기로바꾸기」''' 찌리배리가 가진 특성 「전기로바꾸기」는, 본작에서부터 등장하는 새로운 특성입니다. 공격을 받으면 「충전 상태」가 되어, 한 번에 한해 전기타입 기술의 위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706&mode=view|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찌리배리 소개 페이지]]에서||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등장한 9세대 포켓몬. 모티브는 빈나두는 올챙이+전구, 찌리베리는 [[https://m.blog.naver.com/wsshimtw/221289193777|네눈박이 개구리]] + [[발전기]]. == 포획 == 빈나두는 강가에 널려있다. 드래곤 주인 포켓몬 근처 섬에서 테라스탈 찌리배리를 잡을 수 있다. == 대전 == 종족값은 꽤 깔끔한 분배를 보여주는 편. 공격과 스피드를 깔끔하게 포기하고 특공과 내구에 분배되었다. 109라는 높은 체력에 양 내구는 91/83으로, 무보정 기준 물리내구 49693, 특수내구는 46111이다. 타입이 의외로 전기 단일이기 때문에 약점이 땅 1개뿐인 것도 의외로 우수한 부분. 신 특성 전기로바꾸기는 공격에 피격당하면 1회 한정으로 전기 타입 기술의 위력을 올리는 것으로, 기술 [[충전(포켓몬스터)|충전]]을 특방 랭크 상승을 제거하고 특성화한 것이다. [[레지에레키]]의 트랜지스터와 비교하면 트랜지스터 쪽이 상시 위력 증가 보정을 받아 범용성이 높지만, 어차피 레지에레키는 말이 안 되게 빠른 스피드로 선공하는 유리대포고, 찌리배리는 내구형이기 때문에 그럭저럭 괜찮은 내구로 버티면서 위력이 오른 전기 기술로 반격하는 딜탱으로 쓴다면 적당히 쓸만하다. 2번째 특성 정전기도 물리막이 딜탱으로 쓰기 딱 좋다. 정전기 특성으로 인해 물리 어태커들은 찌리배리를 공격하는 데 부담이 매우 크다. 반면 숨겨진 특성인 습기는 무효화하는 범위가 매우 좁은 만큼 유용하게 쓸 만한 특성은 아니다. 자속기로는 [[10만볼트]], [[번개(포켓몬스터)|번개]], [[방전(포켓몬스터)|방전]], [[파라볼라차지]]를 배우며, 수생생물이 모티브여서인지 [[물의파동]], [[찬물끼얹기]], [[탁류(포켓몬스터)|탁류]]를 배울 수 있지만 아쉽게도 [[파도타기]]나 [[하이드로펌프]]는 배울 수 없다. 다른 공격기로는 [[머드숏]]과 [[하이퍼보이스]], [[웨더볼]], [[애시드봄]], 그리고 선공기인 [[기습(포켓몬스터)|기습]]을 배운다. 보조기로는 [[전기자석파]], [[리플렉터]], [[빛의장막]], [[괴전파]], [[이상한빛]], [[물붓기]]를 배우며 회복기로 [[게으름피우기]]를 쓸 수 있다. 찬물끼얹기나 괴전파, 벽깔이로 상대의 타점을 낮추면서 전기로바꾸기로 강화된 파라볼라차지로 반격과 회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딜탱이 가장 무난한 형태로 쓰이고 있다. 물붓기를 채용할 경우 물 타입 이외의 상대의 자속 보정을 없애면서 파라볼라차지는 2배로 때릴 수 있다. 하지만 물붓기 사용 전에 [[테라스탈]]해버리면 물 타입으로 바꿀 수 없게 되므로 주의. 파라볼라차지가 아군 포함 전체 공격기인 만큼 더블 배틀에서는 같이 쓸 포켓몬도 주의해서 내보내야 한다. 쓸만 하긴 하지만 막이로는 훨씬 높은 내구를 지닌 [[어써러셔]]과 [[콜로솔트]], 천진 특성을 지닌 [[라우드본]]과 [[토오]] 등이 활약중이기 때문에 결국 경쟁자에 밀린다는 게 문제. 특히 은근히 메이저한 땅 타입 테라스탈에 급격히 취약해진다는 게 큰 단점이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기타 == * [[누룩스시티]]의 체육관 관장인 [[모야모]]의 파트너 포켓몬이다. * 개구리를 기반으로 삼았다곤 하나, 실제 개구리하고는 거리가 먼 신체를 가지고 있으며 개구리보다는 슬라임 혹은 [[앰프]]나 [[스피커]]에 더 가까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 덤으로 개구리임에도 [[독개굴]]처럼 물타입은 붙어 있지 않지만 알 그룹은 수중 1에 속해 있으며, 수영도 할 수 있다. * [[스피커]]와 닮은 생김새를 보면 특성인 전기로바꾸기는 [[압전 효과]]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 이상해꽃, 강챙이, 왕구리, 누오, 독개굴, 두빅굴, 개굴닌자의 뒤를 잇는 양서류를 모티브로 한 포켓몬이다. 또한 통통한 열매를 연상하는 몸과 머드숏을 쓰는 개구리라는 점에서 [[두까비]]와 비슷하다. * 머리 양 옆에 툭 튀어나온 부분은 눈이 아닌 혹이고 [[스컬 크롤러|진짜 눈은 콧구멍처럼 보이는 작고 노란 타원이다.]] 때문에 [[아말도]]와[* 찌리배리와 정반대로 눈처럼 보이는 빨간 점은 무늬이고 양 옆에 툭 튀어나온 부분이 눈이다.] [[자포코일]]과 마찬가지로 진짜 눈이 따로 있음에도 눈처럼 보이는 부분이 존재하는 포켓몬이며, 첫 공개 후 눈으로 착각되는 혹을 보면 [[절벼게]]의 눈이 연상되어 뭔가 무섭다는 반응이 있었으며, 가운데의 진짜 눈을 보면 귀엽다는 상반된 반응이 생겼다. * 눈으로 보이는 혹, 코 처럼 보이는 눈이 [[왕구리]]의 [[:파일:golddemo-199f.png |초기 디자인]]을 연상시킨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왕구리의 초기 디자인을 보면 찌리배리의 혹 부분에 눈이 존재하며 코와 입이 찌리배리의 눈, 입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배에 특이한 무늬가 있다는 것도 공통점으로 보인다고 한다. * 왕구리, [[두빅굴]] 계열과 마찬가지로 올챙이에서 개구리로 진화하는 포켓몬이다.[* [[강챙이]] 계열은 올챙이-올챙이, [[이상해꽃]] & [[독개굴]] &[[개굴닌자]] 계열은 개구리-개구리로 진화하는 구조다.] * 색이 다른 빈나두는 주황색 무늬가 더 진해진 것 외에는 별 차이가 없어 일반 빈나두와 구별하기 어려운데 반해 색이 다른 찌리배리는 몸 색도 노란색으로 바뀌면서 구분하기가 상당히 쉽다. == 삽화 == ||<-2>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38 빈나두 dex.png|width=100%]] || [[파일:939 찌리배리 dex.png|width=100%]] || || '''빈나두''' || '''찌리배리'''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일본어 || ズピカ || 머리 두(頭) + 의성어 ピカピカ || || 한국어 || 빈나두 || 빛나다 + 머리 두(頭) || || 영어 || Tadbulb || Tadpole(올챙이) + Bulb(전구)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일본어 || ハラバリー || ハラ(배) + 의성어 バリバリ || || 한국어 || 찌리배리 || 찌릿찌릿 + 배 + 개구'''리''' 또는 Belly || || 영어 || Bellibolt || Belly(배) + Bolt(벼락)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전기타입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