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차마스 팔리하피티야}}}[br]Chamath Palihapitiya'''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차마스 팔리하피티야.jpg|width=100%]]}}}|| ||<|2> '''출생''' ||[[1976년]] [[3월 9일]] ([age(1976-03-09)]세) ||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유년 시절, 스리랑카를 떠나 캐나다로 이민을 왔다. 원래 아버지 직장을 따라서 간 것이었으나, [[스리랑카 내전]]이 발생해서 눌러 앉는다.]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직업''' ||[[벤처 캐피탈|벤처 투자자]], [[기업인]], [[엔지니어]] || || '''현직''' ||소셜 캐피털 {{{-2 (CEO)}}} || || '''학력''' ||[[워털루 대학교]] {{{-2 (전자공학 / 학사)}}}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amath, 크기=24)] | [[https://www.youtube.com/user/allin|[[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호스트로 참여하고 있는 All-In 팟캐스트 주소.] || [목차] [clearfix] == 개요 == 차마스 팔리하피티야는 [[캐나다]]와 [[미국]] 국적의 [[벤처 캐피탈|벤처 투자자]]이다. 과거 [[페이스북]]에서 주요 보직을 맡은 바 있으며, 올인 [[팟캐스트]][* 차마스 외에 Launch라는 엑셀러레이터 창업자인 제이슨 칼라카니스, Yammer 창업자 데이비드 섹스, 엔젤투자자 데이비드 프리드버그가 호스트로 출연한다.]와 [[트위터]] 비롯하여 TV 방송에서 자주 출연하는 등 왕성한 미디어 활동 덕분에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인물이다. == 커리어 == 학사 졸업 이후 [[몬트리올 은행]], [[AOL]], 메이필드 펀드 등을 거친 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페이스북]]에서 주축 팀 중 하나인 성장팀을 이끌며 VP로서 활동했다. [[모바일]] 시대는 페이스북의 큰 1차 위기였는데, [[PC]]와 다르게 스크린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배너광고를 넣기 힘들어 수익이 급감했다. 따라서 그의 주도로 페이스북폰과 페이스북홈, 새로운 [[운영체제]] 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진행했으나, 내부 반대에 못 이겨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규모를 축소시켰고 결과는 폭망이었다. 이로 인해 모바일 주도권을 [[구글]]과 [[애플]]에 넘겨주고, 이는 아직까지도 [[마크 저커버그]]가 자주 언급하는 후회스러운 순간으로 뽑힌다.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퇴사했으며, 페이스북은 2012년 3월에 [[HTML5]] 기반의 페이스웹을 폐기하고 코드를 새로 짠 뒤, 네이티브 앱을 제작하여 모바일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메타:페이스북>이라는 책에 의하면, 독단적이고 불 같은 성격으로 인해 팀원들과 갈등이 매우 컸으며 항상 배척 당했다고 한다. 퇴사 이후에는 왕성한 미디어 활동을 하면서 본격적인 [[벤처캐피탈|벤처 투자자]] 활동을 시작한다. 2011년, 소셜 캐피탈이라는 벤처 투자사를 설립한다. [[슬랙]], Yammer, Box 등에 초기 투자했으며, 2019년 [[버진 갤럭틱]]을 시작으로 [[SPAC]] 플랫폼으로 활동 범위를 넓힌다. 이 외에도 [[소파이]], 오픈도어 등과의 SPAC 합병이 대표적이다. 다만 2021년부터 미국이 경기둔화 사이클을 맞으면서 본인이 투자한 기업의 수익률도 상당한 낙폭을 겪는다. == 기타 == * 퇴사 이후에는 [[페이스북]]에 대한 부정적 언급을 자주 하고, 주활동 [[소셜 미디어]]도 페이스북이 아닌 [[트위터]]를 애용한다. 단기적인 시각에서 성장과 수익성만을 바라보고 회사를 키운 탓에 [[가짜 뉴스]], 광고 남용, 혐오 컨텐츠, 여론 조작 같은 부작용들이 너무 크게 나타나고 있고, 이를 후회하고 있다고 한다. 유저들을 광고주들의 요구에 의해 최적화된 데이터 생성기 정도로 취급했다고 한다. 소셜 미디어는 억 단위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인 만큼, 인류 역사상 유례가 없던 거대 분야라 기술 윤리성을 상당히 간과하고 있던 것이다. [[넷플릭스]] 시리즈 “소셜 딜레마”를 통해 그의 생각을 옅볼 수 있다. [[분류:기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