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수학]][[분류:수학 용어]][[분류:한자어]] [목차] == 개요 == {{{+1 次順}}} 차수를 기준으로 하여, 차례대로 배열하는 일. 차순 단독으로 쓰이지는 않고, 오름차순, 내림차순 등 차순 앞에 기준을 붙여서 쓴다. == 종류 == === 오름차순 === 데이터를 작은 것부터 배열한다. 사전식 표기로 이해하면 편하다. 시작점에 가까울수록 작거나 순서가 빠른 것이 온다. 알파벳: ABC...XYZ 한글: ㄱㄴㄷ...ㅋㅌㅎ 숫자: 0123456789... (위에서 아래로)세로쓰기=종서에서는 아래와 같다. A ㄱ 1 B ㄴ 2 C ㄷ 3 ... ... ... Z ㅎ 수학 다항식에서는 차수가 낮은 것부터 차례대로 배열한다. C,,0,, + C,,1,,x^^1^^ + C,,2,,x^^2^^ + C,,3,,x^^3^^ ... + C,,n,,x^^n^^ ... === 내림차순 === 데이터를 큰 것부터 배열한다. 사전식 표기의 역순으로 이해하면 편하다. 시작점에 가까울수록 크거나 순서가 나중인 것이 온다. 알파벳: ZYX...CBA 한글: ㅎㅌㅋ...ㄷㄴㄱ 숫자: ...987654321 (위에서 아래로)세로쓰기=종서에서는 아래와 같다. Z ㅎ ... Y ㅍ 4 X ㅌ 3 ... ... 2 A ㄱ 1 수학 다항식에서는 차수가 큰 것부터 차례대로 배열한다.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다면 대개 다항식의 표기는 내림차순으로 한다. C,,n,,x^^n^^ ... + C,,3,,x^^3^^ + C,,2,,x^^2^^ + C,,1,,x^^1^^ + C,,0,, == 관련 문서 == * [[정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