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산둥성의 행정구역)] [목차] == 개요 == {{{+1 曹县 }}} [[영어]] Chao County [[산둥성]] [[허쩌시]]의 현. [[황하]] 남안의 평원에 위치한다. 인구는 약 140만명으로, 현 치고 매우 많다. == 역사 == 상고 시기 신나라 (莘)와 관나라 (貫)가 있었고, 박읍 (亳邑)으로도 불렸다. [[상나라]] 시기 박성 (亳城)은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서주]] 시기 [[송나라]] 및 [[위나라]] (衛)에 분봉되었고, [[춘추시대]]에 [[조나라]] (曹)에 속했다. [[전국시대]]에는 [[위나라]]와 [[초나라]]의 접경지이다 [[진나라]]의 통일 후 탕군 (碭郡)과 동군 (東郡)에 속했다. [[전한]] 시기에는 양국 (梁國)에 속했다. 현 시가지 남쪽 10km 지점의 투산지촌 (土山集村)에 박현(薄縣), 동남쪽 20km 지점의 추톈진촌 (楚天集村)에 이씨현 (已氏縣)이 설치되었다. 박현은 기원전 145년 양국에서 분리된 산양군(山陽郡)으로 이관되었다가, [[후한]] 시기 양국 혹은 양군 (梁郡)으로 환원되었다. 이씨현은 계속 양국에 있다가 후한 시기 제음군 (濟陰郡)으로 이관되며 기씨현 (己氏縣)으로 개칭되었다. [[조위]] 시기 박현은 폐지되었고, [[조조]]의 손자이자 [[조거]]의 아들 조종 (曹琮)이 기씨후로 봉해졌다. [[5호 16국]] 시기 제음군은 325년 [[후조]], 351년 [[염위]]를 거쳐 352년 [[은호]]의 북벌로 [[동진]]이 수복했다가 359년 [[전연]], 370년 [[전진]]이 점령했다. [[비수대전]] 후 384년에 [[사현]]의 북벌로 동진이 수복했다가 377년 정령부가 점령해 [[적위]]령이 되었고, 392년 [[후연]]이 정복했다. 398년 후연이 붕괴하는 혼란기에 서주 소속 4개 군[* 노군, 태산군, 고평군, 동평군]과 청주 소속 제남군과 연주 소속 진류, 제음군이 동진에 수복되었다. 다만 430년경 [[북위]]가 기씨현을 포함한 제음군의 7개현[* 定陶、冤句、城陽、句陽、乘氏、離狐、己氏]을 점령하였다. [[유송]]은 남은 단부와 성무 2개 현으로 북제음군을 편성했으나 그마저 466년 점령되었다. 이후 제음군은 신설된 서연주 (西兗州)에, 북제음군은 서주에 소속되었다. 북위 치하에서 제음군의 치소는 당시 기준으로는 기존의 정도현 (定陶縣) 소속이지만 현 시가지 북쪽인 좌성 (左城)으로 정해졌다.[* 이후 句陽,城陽 2현이 복양군으로 이관되었다] 494년, 제음군은 동연주가 서연주을 병합하며 통합된 연주로 이관되었다. 527년, 서연주가 제음 및 복양군의 단 2개 군을 관할에 둔 채로 재설치되었다. 534년 복양군이 사주로 이관된 후 제음군은 서연주의 전부였다. 그 무렵, 기씨현에서 고성현 (考城縣)이 분리되었다. [[동위]] 시기인 540년, 노성 및 기씨현은 제음군에서 분리되어 패군 (沛郡)으로 자립하였다.[* 제음군에 남은 4현: 定陶、離狐、冤句、乘氏] [[북제]] 시기인 556년, 패군이 제음군에 병합됨과 함께 기씨현은 폐지되었다.[* 따라서 노성현에서 고성현을 거쳐 개칭된 성안현만 더해졌다] 그리고 [[북제]] 시기인 578년, 서연주는 조주 (曹州)로 개편되었다. [[수나라]] 시기인 583년, 제음군이 폐지되어 9개현[* 濟陰、外黃、濟陽、成武、冤句、乘氏、定陶、單父、金鄉]은 조주에 직속되었다. 606년 조주를 제음군, 617년 다시 조주, 618년 다시 제음군으로 되돌렸다가 [[당나라]] 시기인 621년에 조주로 재편되었다. 742년 재차 제음군, 756년 조주, 757년 제음군, 758년 조주, 759년 제음군으로 바뀌다가 761년 조주로 고정되었다. [[북송]] 시기에도 조주로 유지되다가 1105년경 경동서로 (京東西路) 산하 흥인부 (興仁府)로 승격되었다. 다만 [[금나라]]의 정복 직후인 1130년, 다시 조주로 격하되었다. [[원나라]] 시기에는 중서성 (中书省) 산하 제녕로 (濟寧路)에 속했다. [[명나라]] 시기인 1371년, 조주는 다시 조현 (曹縣)으로 격하되어 제녕부 (濟寧府)에 속했다. 1385년 제녕부는 제녕주 (濟寧州)가 되었다. 그러다 1445년, 조현을 중심으로 조주가 재설치되었다. [[청나라]] 시기인 1735년, 조주는 조주부 (曹州府)로 승격되었다. [[신해혁명]] 후 조주부가 폐지되며 재차 조현이 되었고, 연기조제도 (兗沂曹濟道)에 속하다가 1913년 대남도 (岱南道)로 개편되었다. 이듬해 대남도는 제녕도 (濟寧道)로 바뀌었고, 1928년 도제가 폐지되며 산동성에 직속되었다. 1937년 조현은 산동성 제10전구에 속했고, 이듬해 산동성 제11행정독찰구로 개편되었다. 1940년부터 조현에는 중국 공산당의 항일 정부가 들어섰고, 1941년 기노예변구 (冀鲁豫邊區) 제3전구에 속했다. 1943년에는 산동성 서부의 항일 투쟁을 이끌던 유제빈 (류치빈)을 기리기 위해 그의 고향인 조현 서북부 일대에 제빈현 (濟滨縣)을 신설하였다. 동시에 조현과 성무현의 일부를 합쳐 성조현 (成曹縣)을 신설하였다. 1948년 9월, 인민해방군이 진주하였다. 이듬해 차오현은 핑위안성 (平原省) 산하 허쩌전구 (菏泽专区)에 소속되었다. 동시에 치빈현이 차오현에 병합되었고 농촌 지역 일부가 딩타오, 허쩌, 딩타오현 등으로 이관되었다. 1952년 핑위안성의 폐지로 차오현은 산둥성 허쩌전구에 속했고, 1956년 청현 (程县)의 폐지 시에 그 관할지 대부분을 병합했다. 1958년 허쩌전구의 폐지 후 차오현은 지닝전구 (济宁专区)에 소속되었다가 이듬해 허쩌전구가 재설치되며 다시 돌아갔다. 1967년 허쩌전구는 허쩌지구로 개편되었고, 2000년 허쩌시가 설립되었다. [[분류:산둥성의 현]][[분류:중국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