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柴灣站 | Chai Wan Station}}} ||<-6><)>[[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차이완}}}[br]{{{+1 柴灣 | Chai Wan}}}}}}|| ||<-6>|| ||<:><-2>[[케네디타운역|{{{-1 {{{#585858,#dddddd 케네디타운 방면}}}}}}]][br][[항파췬역|항파췬]][br]← 1.2 ㎞||<-2><:>[[홍콩섬선|{{{#ffffff 홍콩섬선}}}]]||<:><-2>{{{#585858,#dddddd 시종착}}}|| ||<-6>[include(틀:지도,장소=MTR Chai Wan Station,너비=100%,높이=225px)]|| ||<:><-6>{{{#ffffff,#000000 '''주소'''}}}|| ||<:><-6> [[홍콩]] [[홍콩 섬]] [[동구(홍콩)|동구]] 차이완[br]Kut Shing Street[br]near New Jade Garden[*한문 香港香港島東區柴灣 吉勝街新翠花園旁][*영문 Kut Shing Street near New Jade Garden, Chai Wan, Eastern District, Hong Kong] || ||<:><-6>{{{#ffffff,#000000 '''개업일'''}}}|| ||<:><-2>[[홍콩섬선|{{{#ffffff 홍콩섬선}}}]]||<:><-4>[[1985년]] [[5월 31일]]|| ||[[파일:차이완역 승강장.jpg|width=360]]|| ||<:>{{{#ffffff '''차이완역 승강장 모습.'''}}}|| ||[[파일:차이완역.jpg|width=360]]|| ||<:>{{{#ffffff '''차이완역 외관.'''}}}||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 섬]] [[동구(홍콩)|동구]]에 위치한 [[MTR]] [[홍콩섬선]]의 동단 종착역으로, [[1985년]] [[5월 31일]]에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의 구조를 갖추고 있는 역으로, 양쪽 승강장 모두 사용하는지라 승강장에 설치되어있는 어느 쪽 승강장 열차가 먼저 출발하는지 알려주는 전광판을 확인하고 타는 것이 좋다. 역명인 차이완은 이 역이 위치한 지역인 차이완에서 따온 것이다. 직역하면 땔감 바닷가라는 뜻으로, 이 역 일대도 다른 [[홍콩섬선]] 역들과 마찬가지로 바닷가로 둘어싸여 있었으나 꾸준히 간척되고 개발된 덕에 현재와 같이 해안선이 북쪽으로 올라간 형태가 되었다. 역 주변은 주거지역과 산업시설들이 혼재된 형태로, 원래 이 산업시설들은 현재 [[항파췬역]] 인근에 있던 것들을 바닷가 주변을 간척하면서 이쪽으로 옮겨온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이곳에도 주거단지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난지라, 서서히 산업지구의 규모도 줄어들고 주거지구나 상업지구로 재개발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역이 커버하는 역세권 자체는 아파트 단지가 전부로 별볼일 없으나, 미니버스 등으로 커버하는 것까지 감안하면 이 역 동쪽으로 있는 시우사이완 지역까지 커버를 하는데 원래대로라면 거기까지도 홍콩섬선이 들어갈 예정이었으며, 시우사이완을 넘어 [[남구(홍콩)|남구]] 내의 스탠리, 리펄스베이까지 들어갈 계획이었으나, 공사 도중에 [[중영공동선언]]으로 [[홍콩 반환]]이 결정되면서 혼란한데다 남구 인구가 너무 절망적으로 적어 결국 계획이 날아갔다. 이러한 연장 시도 흔적은 이 역 이후로 지어진 인상선으로 남아있다. 사실 차이완에서 스탠리를 가는 쪽은 차이완 뒤쪽에 있는 [[홍콩 섬]] 동남부의 높은 산들인 소마 산과 드래곤스 백(Dragon's Back), 버틀러 산 등을 뚫고 가야 하기에 대심도로 지어야 해서 공사 난이도가 [[1980년]] 이 노선을 처음 건설할 때는 굉장히 빡셌다. 지금도 차이완-스탠리 간 타이탐 [[댐]]을 거치는 [[마을버스]]는 [[강원도]] 시골길을 방불케하는 산복도로와 1차선으로 되어 있는 타이탐 [[댐]] 위 도로를 묘기를 벌이며 통과할 정도로 길이 없다. 그마저도 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평지 따위 없는 지역이다. 지금도 섹오를 가기 힘든 이유가 이러한 극악한 도로 사정이 원인이다. 거기다가 [[홍콩 섬]] 남동부 섹오와 타이탐은 인구 밀도가 절망적으로 적고 스탠리도 마찬가지인지라, 굳이 이러한 난공사를 감안하고 지을 가치가 없다 판단되어 조용히 나가리 되었다. 대신 그나마 비교적 인구가 많은 편인 시우사이완역까지 한 정거장 연장하자는 이야기는 아직도 자주 언급되는 쉰 떡밥 중 하나.[* 실제로 [[MTR]] 사에서도 [[2001년]]에 언급을 했고, [[2005년]]부터 계획을 시작했으나, [[2014년]]에 계획을 철회했다.] 그러나 차이완역의 인상선이 하필 상가 건물을 향해 나 있어서 차이완에서 직결은 불가능하고 항파췬에서 지하로 따로 빼야 하는데 실용성이 높지 않아 실현가능성은 없다. == 역 내부 시설 == || [[파일:차이완역 안내도.jpg|width=540]]|| ||<:>{{{#ffffff '''차이완역 시설 안내도.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layouts/chw.pdf|원본(PDF)]]'''}}}|| 평범한 고가역의 구조로, 역시나 화장실이 없다. 대신 역의 C번 출구 바로 앞에 공중화장실이 있고, D번 출구와 연결되는 육교를 타고 내려가면 나오는 차이완 공원에 공중화장실이 있으니 급할 경우 이곳을 이용하면 된다. == 역 주변 정보 == || [[파일:차이완역 주변안내도.jpg|width=540]]|| ||<:>{{{#ffffff '''차이완역 주변 안내도. 필요할 경우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maps/chw.pdf|원본 PDF 파일]]을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쇼핑몰]] bossini, 과거 [[객가인]]들이 살던 집을 개조한 [[박물관]]인 로욱민속박물관(Law Uk Folk Museum) /로욱민속박물관 [[공원]] 및 [[미식축구]] [[경기장]]인 Hard-surface Pitches, Chai Wan Park가 위치해 있다. 이 역 근처에는 보세창고 및 아파트형 공장이 많으며, 근처 시우사이완 단지에는 아파트가 잔뜩 들어서 있어 주거지구 반 공단 반이다. 중국의 개혁개방 및 홍콩 주권반환으로 대부분의 생산공장들이 중국으로 올라간 지금도 차이완에 여전히 인쇄공장이나 전자제품 공장, 식품공장 등이 남아 있고, 일부 옛 공장으로 쓰던 아파트형 공장은 공동사무공간 등으로 개조했다. 그리고 차이완 항구도 컨테이너가 오가는 관계로 냉동창고, 보세창고 등 수출입을 위한 창고들도 많다. 덕분에 출퇴근 시간에 통근하는 직장인 수요가 꽤 나온다. [[분류:MTR 홍콩섬선]][[분류:홍콩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1985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