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E8B83C,#dddddd '''{{{+1 찬란한 내일로}}}''' (2023)[br]Il sol dell'avveni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3 미래의 태양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코미디]], [[드라마]] || || '''감독''' ||[[난니 모레티]] || || '''각본''' ||[[난니 모레티]], 발리아 산텔라, 프란체스카 마르치아노, 페데리카 폰트레몰리, || || '''제작''' ||[[난니 모레티]], 도메니코 프로카치 || || '''출연''' ||[[난니 모레티]], 마르게리타 부이, 실비오 올란도, 바보라 보불로바, [[마티유 아말릭]], 알바 로르바케르 ,,외,, || || '''촬영''' ||미켈레 다타나시오 || || '''편집''' ||클렐리오 베네벤토 || || '''미술''' ||알레산드로 반누치 || || '''음악''' ||프랑코 피어상티 || || '''의상''' ||실비아 세골로니 || || '''제작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사케르 필름[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판당고[br][[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라이 시네마 || || '''수입사''' ||[[파일:국기.svg|width=20]] ○○ || || '''배급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01 Distribution || || '''개봉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2023년 4월 20일[br][[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2023년 5월 24일 || || '''화면비''' ||1.85 : 1 || || '''상영 시간''' ||1시간 35분 || || '''제작비''' ||'''1228만 유로''' || || '''월드 박스오피스''' ||'''$3,800,311''' || || '''북미 박스오피스''' ||'''○○''' || || '''상영 등급'''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난니 모레티]] 감독의 2023년작 이탈리아 영화. [[제76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작.[* 칸 영화제가 총애하는 [[난니 모레티]] 감독 영화답게 월드 프리미어 상영이 아닌 자국에서 이미 개봉한 작품임에도 경쟁 부문에 초청받았다.]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영화감독 조반니는 프로듀서인 아내와 관계가 썩 좋지 않고, 존 치버의 소설 '헤엄치는 사람'을 영화화하는 과정에서도 난항을 겪으며 영화를 제작중이다. == 등장인물 == * [[난니 모레티]] - 조반니 역 * 마르게리타 부이 - 파올라 역 * 실비오 오를란도 - 엔니오 역 * 바르보라 보불로바 - 베라 역 * [[마티유 아말릭]] - 피에르 역 * 알바 로르바케르 *유선희 - 한국인 통역사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brighter-tomorrow, critic=XX, user=X.X)]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il_sol_dellavvenire, tomato=XX, popcorn=XX)] [include(틀:평가/IMDb, code=tt16731908, user=7.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코드, presse=X.X, spectateurs=X.X)]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영화코드, MYMOVIES=X.XX, CRITICA=X.XX, PUBBLICO=X.XX)]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코드, light=XX.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XX)]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X±)]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RogerEbert.com,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코드, user=X.XX)] [include(틀:평가/크런치롤, code=영화코드, user=X.XX)]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영화코드, user=X.XX)] 이탈리아 현지에서는 개봉 후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 난니 모레티의 21세기 작품들보다는 94년작 [[나의 즐거운 일기]]에 더 가까운 톤을 가지고 있으며, 영화를 만드는 영화일 뿐만 아니라 그 제작 과정에서 이탈리아의 역사와 정치까지 아우르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칸 영화제에서는 공개 후 영미권 비평가들은 대체적으로 혹평을 했고, 프랑스 등 유럽권 비평가들은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XX-XX-XX. 1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7> 2주차 ||20XX-XX-XX. 8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7>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7>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북미]] ([[미국]]·[[캐나다]]) === === [[중국]] === === [[대만]] === === [[일본]] === === [[영국]] === === 기타 국가 === == 기타 == * 영화의 제목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레시스텐자]] [[빨치산]]들이 불렀던 노래 'Fischia il vento'의 한 구절에서 따왔다. * 영화의 주된 내용이 영화 제작인 만큼 [[페데리코 펠리니]], [[막스 오퓔스]], [[자끄 드미]],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존 카사베츠]], 존 랜디스[* 유명 뮤직비디오 감독이자 영화감독으로, [[블루스 브라더스]], [[런던의 늑대인간]] 등의 영화와 [[마이클 잭슨]]의 [[Thriller(노래)|Thriller]], [[Black or White]] 뮤직비디오를 연출했다.] 등 유명 감독들의 작품이 레퍼런스로 등장한다고 한다. * 한국계 이탈리아 교포들이 나온다. 이탈리아에서 활동 중인 피아니스트 겸 배우 유선희는 한국인 통역사 역할로 나온다. [[https://www.news1.kr/articles/?5193287|인터뷰]] [[분류:이탈리아의 코미디 영화]][[분류:이탈리아의 드라마 영화]][[분류:2023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