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60807 '''{{{+1 찬실이는 복도 많지 }}}''' (2020)[br]''Lucky Chan-si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찬실포스터.jpg|width=100%]]}}} || || '''{{{#060807 장르}}}''' || [[드라마]], [[멜로]], [[로맨스]], [[판타지]] || || '''{{{#060807 감독 | 각본}}}''' || 김초희 || || '''{{{#060807 촬영}}}''' || 지상빈 || || '''{{{#060807 조명}}}''' || 강지현 || || '''{{{#060807 음악}}}''' || [[이날치|정중엽]] || || '''{{{#060807 의상}}}''' || 강동율 || || '''{{{#060807 조감독}}}''' || 강태우 || || '''{{{#060807 편집}}}''' || 손연지 || || '''{{{#060807 출연}}}''' || [[강말금]], [[윤여정]], [[김영민(배우)|김영민]], [[윤승아]], [[배유람]] 외 || || '''{{{#060807 제작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지이프로덕션, 사이드미러 || || '''{{{#060807 배급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찬란]] || || '''{{{#060807 개봉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3월 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11월 26일]] {{{-2 (재개봉)}}} || || '''{{{#060807 상영 시간}}}''' || 95분 || || '''{{{#060807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29,453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60807 상영 등급}}}]]''' ||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초기.svg|height=30]] {{{#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단편 영화 《겨울의 피아니스트》, 《우리순이》, 《산나물 처녀》 등으로 주목받은 김초희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은 장편 영화 데뷔작이다. [[강말금]], [[윤여정]], [[윤승아]], [[배유람]] 주연으로 [[2020년]] [[3월 5일]]에 개봉했다. [[2020년]] [[11월 26일]]에 재개봉했다. == 시놉시스 == 영화 프로듀서 이찬실이 참석한 감독, 주연배우들과의 술자리에서 감독이 과음으로 급사한다... 그로 인해 영화는 엎어지고 실직한 찬실은 이태원 산동네의 한 하숙집에 살게 되는데... == 예고편 == ||
[youtube(s8Gdl-71igQ)] {{{#060807 '''메인 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ckychansil_티저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ckychansil_메인포스터.jpg|width=100%]]}}} || || {{{#060807 '''티저 포스터'''}}} || {{{#060807 '''메인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ckychansil_리뷰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uckychansil_재개봉 포스터.jpg|width=100%]]}}} || || {{{#060807 '''리뷰 포스터'''}}} || {{{#060807 '''재개봉 스페셜 포스터'''}}} || == 등장인물 == * [[강말금]] - 이찬실 역 * [[윤여정]] - 할머니 역 * [[김영민(배우)|김영민]] - 장국영 역 * [[윤승아]] - 소피 역 * [[배유람]] - 김영 역 * [[최화정]] - 박 대표 역 (특별출연) * [[이영진(배우)|이영진]] - 여배우 역 (특별출연) == 명대사 == >'''"외로운 건 그냥 외로운 거예요... 사랑이 아니에요."''' >'''"지금보다 훨씬 더 젊었을 때... 저는 늘 목말랐던 거 같아요. 사랑은 몰라서 못했지만... 저는 제가 좋아하는 일이 저를 꽉 채워줄거라고 믿었어요. 근데 잘못 생각했어요. 채워도 채워도 그런 걸로는 갈증이 가시지가 않더라고요. 목이 말라서 꾸는 꿈은 행복이 아니에요. ...저요, 사는 게 뭔지 진짜 궁금해졌어요. 그 안에 영화도 있어요."''' >'''"사람도 꽃처럼 다시 돌아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자기가 정말 원하는 게 뭔지 모르는 게 문제죠."''' >~~그래도 전... [[크리스토퍼 놀란]] 영화 좋아해요~~ >~~놀란?!~~ == 평가 == === 평론가 평 === >★★★☆ >'''웃을 일 적은 세상에 이 사랑스러운 영화가 전하는 작은 복.''' >- [[이동진]] >★★★☆ >'''복덩이 강말금과 손전등을 켠 김초희''' >- [[박평식]] ([[씨네21]]) == 기타 == * 감독인 김초희는 [[홍상수]]의 영화 스태프로 영화 제작에 참여해오다 내놓은 첫 작품이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영진위 KOBIS]]의 영화사 정보에 '(주)영화제작전원사'를 조회해보면 아직도 김초희 감독의 이름이 담당자 정보에 기재되어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홍상수의 여러 작품의 프로듀서 크레딧에 감독의 본명인 '김경희'라는 이름으로 올라가있다.] * 찬실 아버지가 편지를 보낸 부분은 감독의 아버지가 직접 읽은 것이다. 실제로 이 작품에 작가 본인의 삶을 많이 투영한 것으로 보인다. 감독 본인이 밝히길 할머니가 [[일본인]]인 [[한일혼혈]] 가정이라고 한다. * 이 영화에는 다른 영화의 레퍼런스가 엮여있다. 지 감독은 [[홍상수]]를 뜻하고, [[아비정전]], [[집시의 시간]], [[오즈 야스지로]]의 [[동경이야기]]가 직간접적으로 언급된다. * 주인공에 초반에 "이 풍진 세상을~"이라며 흥얼거리고 말미에 아코디언으로 연주하는 곡은 [[희망가]]다. * 일본에서는 2021년 1월 8일, 휴먼트러스트시네마 시부야, 유라쿠쵸, 우메다에서 개봉했다. 일본판 타이틀은 [[https://youtu.be/ErbpcOYxDO4|찬실씨에게는 복이 많네(チャンシルさんには福が多いね)]] 한국 독립영화는 일본에서는 화제작이 아닌 이상 수입되지 않는데, 흥행과 평이 좋았던데다 [[김영민(배우)|김영민]]이 조연으로 출연한 [[사랑의 불시착]]이 일본에서 대히트를 쳤기 때문에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 영화의 후반부에 등장하는 극장은 [[한국영상자료원|한국영상자료원 시네마테크KOFA 2관]]이다. [[분류:2020년 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로맨스 영화]][[분류:한국의 독립영화]][[분류:한국의 판타지 영화]][[분류:가치봄]][[분류:영화를 소재로 한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