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LevelAndAromaticCoast, 합의사항1=표제어를 '찰라르 쇠윈쥐'로 하기)] [include(틀: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0000 0%, #FF0000 30%, #FF0000 70%, #AA0000);" {{{#ffffff '''찰라르 쇠윈쥐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19-20 PFA 올해의 팀|[[파일:PFA_UK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2019-20 PFA 올해의 팀|{{{#c18e33 '''2019-20 PFA 올해의 팀'''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YUNCU_23/24.pn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E343F, #DD2938 18%, transparent 18%),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5%, #fff 15%, #fff 25%, transparent 25%, transparent 35%, #fff 35%, #fff 45%, transparent 45%, transparent 55%, #fff 55%, #fff 65%, transparent 65%, transparent 75%, #fff 75%, #fff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to bottom, #EE343F, #C0172C, #C0172C)" '''{{{#!html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No. 4}}}''' }}} || ||<-3> {{{#fff '''{{{+1 찰라르 쇠윈쥐}}}[br]Çağlar Söyüncü'''}}} || ||<|2><-2> '''출생''' ||[[1996년]] [[5월 23일]] ([age(1996-05-23)]세) || ||{{{-1 [[에게 해]] 지역 [[이즈미르|이즈미르주]] [[이즈미르]] }}}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2> '''신체''' ||[[키(신체)|키]] 185cm / [[체중]] 82kg || ||<-2> '''포지션''' ||[[센터백]] || ||<-2> '''주발''' ||오른발 (양발) || ||<|2> '''소속''' || '''유스''' ||메네멘 벨레디예스포르 (2006~2011)[br]부자스포르 (2011~2013)[br]알리아아스포르 (2013~2014) || || '''선수''' ||알트노르두 FK (2014~2016)[br][[SC 프라이부르크]] (2016~2018)[br] '''[[레스터 시티 FC]] (2018~2023)'''[b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3~) || ||<-2> '''국가대표''' ||55경기 2골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 2016~ )^^ || ||<-2> '''SNS''' ||[[https://www.instagram.com/syncagla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yncaglar, 크기=20)]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등번호'''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대표팀]] - 4번 [br] [[레스터 시티 FC]] - 4번 [br]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4번 || ||<-2> '''후원사''' ||[[나이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소속의 [[튀르키예]]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 클럽 경력 == === [[SC 프라이부르크]] === 2016-17시즌 [[크리스티안 슈트라이히]]감독에 의해 막 [[분데스리가]]로 승격한 [[SC 프라이부르크]]로 이적했다. 그리고 프라이부르크에서 좋은 활약으로 팀을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시키기도 했다. 분데스리가에서의 좋은 모습으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레스터 시티 FC]] 이적 링크가 나오고 있다. === [[레스터 시티 FC]] === 2018년 8월 10일, 레스터 시티와 5년 계약에 성공하였다. ==== [[레스터 시티 FC/2018-19 시즌|2018-19 시즌]] ==== 워크퍼밋으로 인해 이적이 늦게되었고, 그 후에 부상으로 인해 9월 말까지 출전하지 못하고 10R, 웨스트햄과의 홈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PL 데뷔 시즌인데다 잉글랜드에 오기 전까지 영어를 전혀 할 줄 몰라 동료들과 의사소통 문제까지 겪으며 굉장히 불안한 모습을 많이 노출하였다. 여기에 WBA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던 에반스까지 부진하면서 매과이어의 파트너는 노장 수비수 [[웨스 모건]]에게 돌아간다. 후반기 로저스 감독 부임 쯤에 이르러 에반스는 폼을 회복해 매과이어와 센터백을 듀오를 이뤘으나 쇠윈쥐는 여전히 하락한 폼을 보이며 많은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런 모습 때문에 구단쪽도 쇠윈쥐에게 반신반의 했었다. 마음 떠난 매과이어를 한화로 천억 불러가며 지키려 했고, 맨유의 돈공세에 끝내 떠나자 새로운 센터백 영입을 위해 여기저기 접촉했다. 브라이튼의 [[루이스 덩크]], 번리의 [[제임스 타코우스키]]와 본머스의 [[나단 아케]]인데 타코우스키는 바이아웃이 걸려 있었고(50m) 루이스 덩크와 나단 아케는 아쉬울 것 없는 그들의 소속팀이 이적료를 각 45m(한화 667억원), 75m(한화 1,109억원)을 불러 무산되었다. 쇠윈쥐는 겨우 새시즌에도 기회를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신의 한수가 되었다. ==== [[레스터 시티 FC/2019-20 시즌|2019-20 시즌]]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로 떠난 [[해리 매과이어]]가 그립지 않을 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다. 이 선수마저 뚫리면 실점이다 라고 말할정도로 최종의 최종 수비이자, 4R에서 환상적인 볼 키핑 능력도 보여주었다. 6R 토트넘전에서도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었다. [[손흥민]]의 돌파 시도를 모두 차단했으며, 이 외에도 상대 공격을 모두 막아내는 모습이었다. 경기 종료 1분 전에 상대 진영까지 들어가 압박하는 모습도 압권이었다. 최근 리그 탑급 센터백이라고 해도 손색없을 활약들을 보여주고있다. 11R 크리스탈 팰리스전에서 매디슨의 코너킥을 헤더로 득점하였다. 이쯤이면 레스터의 보물. 매과이어의 맨유 이적으로 주전이 되어 빛을 보게되었다. 2019-20 시즌 [[제임스 매디슨(축구선수)|제임스 매디슨]], [[벤 칠웰]]과 함께 레스터 시티 최고 히트상품이다. 이러한 활약으로 수비수중 유일하게 11월 이 달의 선수후보로 선정되었다. 하지만 박싱데이 이후 팀이 무너지며 자신의 폼도 하락하고있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로 인한 리그 휴식과 리그 재개 이후 다시 폼을 회복한 모습을 보였다. 35R 본머스전에서 역전골을 허용한 뒤 칼럼 윌슨에게 로우킥을 날리는 행위를 보여 다이렉트 퇴장을 당했다. 추가 징계까지 예상되는 만큼 레스터의 잔여 일정에도 치명타를 입은 상황이다. 이때문에 38R 맨유전까지 결장이 불가피한데, '''하필이면 직전 R에서 토트넘에게 0:3으로 털리며 최종전이 멸망전이 되었다.''' 그리고 결국 맨유에게 2:0으로 패배하며 챔피언스리그 진출에 실패했다. 후반 아쉬운 뒷심으로 챔피언스리그 진출에는 안타깝게 실패했지만 쇠윈쥐 본인은 올 시즌 내내 출중한 기량을 선보이며 팀 동료인 [[제이미 바디]]와 함께 '''[[PFA 올해의 팀]]'''에 선정이 되며 최고의 시즌으로 남게 됐다. ==== [[레스터 시티 FC/2019-20 시즌|2020-21 시즌]] ==== 10월 말 터키 국대로 차출된 A매치 기간에 사타구니 부상을 당해 회복에 3개월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인다. 12월 4일 유로파리그 조별리그 5차전에서 선발 출장하며 부상에서 복귀했으나 전반 17분만에 부상이 재발하며 교체아웃 되었다. 리그 17R 뉴캐슬전에 벤치명단에 들며 복귀했다. 부상 때문에 포파나가 그동안 대신 출전 하였는데 오히려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주전에서 밀린 듯 하다. 이후에는 팀이 백3 시스템으로 회귀하면서 다시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다. 왼쪽에 서든 오른쪽에 서든 자유자재로 빌드업을 해낼 수 있고 소윤주 기용 이후 세트피스 실점이 급격히 줄어든 탓에 더욱 신뢰감을 얻고 있다. 그러나 리그 35R 뉴캐슬전에서 조 윌록의 선제 득점에 관여하며 패배의 주역이 되었다. 리그 36R 맨유전에서 동점 상황에서 헤더골을 넣어 2:1라는 스코어를 만들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FA컵 결승전에서 루크 토마스와 함께 왼쪽에서 철옹성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팀은 창단 첫 FA컵 우승에 성공했다. 리그 37R 첼시전과 리그 38R 토트넘전에서도 소윤주만큼은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시즌을 전체적으로 돌아보자면 사타구니 부상으로 인해 굉장히 고생했지만 시즌 말미에 접어들면서 다시 최고의 센터백의 모습으로 돌아왔다고 볼 수 있다. 팀의 FA컵 우승에도 분명 큰 기여를 했고 말이다. 현재 맨유, 맨시티하고 이적시장 링크가 나고있다 ==== [[레스터 시티 FC/2021-22 시즌|2021-22 시즌]] ==== 프리시즌에서 19-20 시즌 때가 기억나는 폼을 보여주고 있다. 커뮤니티실드 맨체스터 시티와의 경기에서 아마티와 함께 헌신적인 수비를 보이며 50년만에 우승하는데 일조했다. 울버햄튼과의 1라운드 경기에서 아마티의 실책을 치워주며 레스터가 클린시트를 기록하는데에 일조했다. 웨스트햄과의 2라운드 경기에서 슈마이켈에게 주려던 백패스를 실수로 안토니오에게 내주며 실점의 빌미를 내주었다. 노리치 시티와의 3라운드 경기에서도 불필요한 태클을 시도하여 PK를 헌납했고, 위험 지역에서 잦은 패스미스를 보이며 워스트급 활약을 펼쳤다. [[SSC 나폴리]]와의 조별리그 1차전에서 후반 교체로 나와 [[빅터 오시멘]]의 타점 높은 헤더를 막아내지 못하고 동점골을 헌납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8라운드 경기에서 빌드업,수비 모두 좋은 모습을 보였다. 팀의 역전골을 뽑아내기도 하며 KOM 후보에도 올랐다. 브렌트포드와의 9라운드 경기에서 토니와 음뵈모를 상대로 공중볼 경합에서 4전 전승, 볼 경합에서 10전 7승을 거두며 좋은 모습을 보였다. 단, 위험한 파울로 옐로카드를 받아 후반전에 교체되었다. 조니 에반스가 돌아온 시점부터는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로저스의 수비 전술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실점은 잦긴 하지만 수비적인 부분에서 개인의 폼은 괜찮아보인다. 리그 17라운드 토트넘과의 순연경기에서 2:1로 앞선 상황에서 그럴대로 무난하게 경기를 하는 듯 했으나 후반 추가 시간에 두 번이나 실점에 관여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하며 패배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 전반전 케인의 득점 장면에서도 성급한 태클로 케인에게 벗겨져 실점의 빌미가 되었다. ==== [[레스터 시티 FC/2022-23 시즌|2022-23 시즌]] ==== 카라바오컵 2R [[스톡포트 카운티 FC]]전에서 이번 시즌 처음으로 출전하게 되었고 상대가 4부리그소속이기는 하지만 클린시트를 기록하게 되었다. 무슨 일인지 [[다니엘 아마티]]에게 주전 센터백 자리를 내 주고 5라운드까지 벤치를 지키고 있다. 6라운드부터는 교체명단조차 못들고 있는데 그가 명단에서 빠진 브라이튼, 토트넘전은 5실점, 6실점을 당한데다 후방에서의 불안감을 노출한 끝에 수비진이 그야말로 박살나며 그의 빈자리를 체감케 했다. 교체출전도 없는데, 쇠왼쥐가 아무리 폼이 떨어졌어도 아마티에게 밀릴 정도인지 의문을 가지는 팬들이 있다. 아마티의 경기력을 보면 실수는 당연하고 위치선정이나 볼 간수 및 전개도 안좋은데다가 실점으로 이어지는 실수가 너무 많은데 로저스는 쇠윈쥐보다 아마티를 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튀르키예 리그로 돌아갈 것이라는 보도까지 나오는 등 어수선한 상황. 2022년 9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링크가 뜨고 있다. 아마 다음 시즌에 자유계약으로 이적할듯으로 보인다. 리그 14R 맨시티전 선발 라인업에 포함되며 정말 오랜만에 경기를 뛰게 되었다. 아무래도 상대가 강팀이다보니 그 점을 고려하여 쓰리백 전술을 쓰기 위해 쇠윈쥐를 선발 명단에 포함시킨 것으로 보인다. 그 경기에서 맨시티를 상대로 준수한 모습을 보였고 이후 후반 27분에 포백 전술로 전환되면서 쇠윈쥐는 교체아웃되었고 총 72분을 소화하게 되었다. 2022년 12월, 아틀레티코와 계속해서 링크가 뜨고 있다. 그리고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이 소윤주를 굉장히 원한다고 한다. 이후 25일 보도에 따르면 이미 아틀레티코와 소윤주 모두 2027년까지의 계약에 동의했고 내년 여름에 합류 예정이라고 한다. 빠르면 이번 1월에 합류도 가능하다고 한다. 만약 아틀레티코가 [[펠리페 몬테이루]]를 울버햄튼으로 보낸다면 1월에 합류할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1월에는 잔류했고 다음 여름 이적이 유력해보인다. '''그러나''' 로저스가 4월 2일자로 감독직에서 물러난 이후에, 임시 감독인 딘 스미스 하에선 주전으로 낙점받아 31R 맨체스터 시티, 32R 울버햄튼전 두 경기 선발로 나와 좋은 활약을 보여줬다. 비록 시티전에선 전력차가 컸던 탓에 패배를 막을 순 없었으나 제 역할은 해줬고, 울버햄튼전에선 공중볼 경합 100%의 성공에 상대 공격수인 [[디에고 코스타]]를 철저하게 봉쇄하며 평점 8점을 받고 팀 승리에 일조했다. 이 두 경기를 통해 감독인 로저스와의 불화로 인해 부상 이후에 폼이 올라왔음에도 주전으로 중용을 받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어느정도는 사실로 보인다. 아마티가 계속 팀 패배에 영향을 끼쳤는데도 기용을 안 한 것을 보면… 4월 26일, 로마노의 보도에 따르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행이 확정되었다고 한다. 계약 기간은 2027년까지. 5월 20일 보도에 따르면 이번 시즌이 끝나고 바로 오피셜이 뜰 예정이며, [[파브리지오 로마노]]는 [[디에고 시메오네]] 감독이 쇠윈쥐가 아틀레티코에 자유계약으로 합류하는 것을 직접 인정했다고 보도했다. 시즌이 끝나고 6월 2일에는 BBC에서도 쇠윈쥐의 아틀레티코행을 보도했다. 7월 5일, 메디컬 테스트를 위해 마드리드로 입국했다.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7월 6일, 그렇게 자유 계약으로 아틀레티코로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계약기간은 2027년까지 4년 계약이다. 이후 밝히길 쇠윈쥐는 아틀레티코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다른 구단들의 오퍼를 모두 거절했다고 한다. 등번호는 [[조프레 콩도그비아]]가 떠나고 비어있던 4번을 배정받았다.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2023-24 시즌|2023-24 시즌]] ==== 프리시즌 전 경기에 출전하였고 매 경기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며 가장 기대되는 이적생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1R [[그라나다 CF]]전에서 후반 60분에 교체 투입되며 라리가 데뷔전을 치렀다. 압도적인 피지컬과 빠른 스피드를 보여주며 안정적인 수비를 펼쳤다. 2023 여름 내한 경기를 포함한 프리시즌 경기들과 라리가 데뷔전을 통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고질적인 문제인 부상으로 인한 수비라인 약화를 해결해 줄 수 있다는 기대감을 심어주기 충분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중이다. 하지만 정작 시즌 개막 후에는 [[마리오 에르모소]], [[호세 히메네스]], [[스테판 사비치]]에게 밀렸고 심지어 무슨 이유 때문에 그런건지 [[악셀 비첼]], [[세사르 아스필리쿠에타]] 등 주 포지션이 센터백이 아닌 선수들에게도 밀려 단 1경기도 선발로 나서지 못하는 등 팀내 입지가 크게 낮아졌다. 설상가상으로 히메네스, 사비치가 부상으로 이탈한 시기에 본인까지 같이 부상으로 1달 넘게 이탈하며 기회가 왔음에도 잡지 못했다. 이로 인해 튀르키예 언론 측에서 겨울 이적시장때 쇠윈쥐가 유로 2024 출전을 위해 6개월 임대를 추진한다는 언론 플레이를 시전했으나 아틀레티코 측 언론에서 [[디에고 시메오네]]는 그를 상당히 신뢰하기 때문에 곧 출전 기회를 줄 예정이라는 등 강하게 부인했다. 그리고 17R [[아틀레틱 클루브]]전에서 3백의 우측 스토퍼 역할를 맡으면서 드디어 첫 선발 출전의 기회를 잡았으나 전반 36분 PK를 허용하는 등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하프타임때 [[호세 히메네스]]와 바로 교체되었다. == 국가대표 경력 == 2015년 11월, [[세르다르 아지즈]]의 부상으로 인해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A 대표팀]]에 처음으로 부름을 받았다. 2015년 11월 17일,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그리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교체 명단에는 들었지만, 출전 기회를 잡지는 못했다. 2016년 3월 24일,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과의 친선 경기에서 후반 45+4분 [[오잔 투판]]과 교체 출전했다. 2016년 9월 1일,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러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는 선발 출전했고, 러시아와 0:0으로 득점없이 비겼다. 2018년 7월 1일,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튀니지]]와의 친선 경기에서 선발 출전해 후반 종료 직전에 득점까지 성공하면서 튀니지와 2:2 무승부를 거두며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 [[UEFA 유로 2020]] 지역예선 기간동안 [[메르트 귀노크]], [[메리흐 데미랄]] 등과 함께 짠물수비를 구사하며 본선 진출에 큰 공을 세웠으나, 정작 본선에서는 예선과는 달리 불안한 수비력을 선보이며 수비의 구멍이 되고 말았다. 결국 그가 흔들리면서 대표팀은 3전 전패 조 최하위로 광탈하고 말았다. == 플레이 스타일 == 레스터 시절에는 '''프리미어리그에서 가장 빠른 선수 중 하나'''라고 불렸을 정도로, 상당히 빠른 발을 보유하고 있다.[* 최고 속도 약 38km/h.] 빠른 발을 이용해 배후 침투하는 상대를 따라가 커버하고 제압하는 데 있어 굉장히 능숙한 모습을 보인다. 빠른 스피드로 상대방에게 달라붙어 수비를 하는 것을 보면 저돌적이고 우악스러운 파이터형 수비수가 연상되지만, 지능적인 플레이에도 능통하다. 자신의 예측을 바탕으로 위치를 빠르게 선점해 인터셉트해낸다. 17-18시즌 경기당 평균 가로채기 2회를 기록했을 정도.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프라이부르크에서 왼발을 꾸준히 연습해 왼발로도 빌드업이 가능해졌다. 빌드업 시에는 주로 3선에 숏패스를 내어주거나, 자신이 직접 전진드리블을 구사한 후 전방으로 찔러주기도 한다. 다만, 저돌적인 선수들이 즐비한 튀르키예 출신답게 경기 중 쉽게 흥분해서 경고를 자주 받는다. 경기력에 기복이 있어, 경기력이 안 좋은 날에는 정줄을 놓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달려드는 수비를 구사하는데, 애초에 수비 시에도 잘못된 위치선정으로 공간을 더욱 내어준다. 세트피스 상황에서도 헤더 능력이 나쁘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지만, 오히려 위치를 선점하는 능력에 있어서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기에 세트피스 득점이 생각보다 적은 편. == 기록 == === 대회 기록 === * [[레스터 시티 FC]] (2018~2023) * [[FA컵(잉글랜드)|FA컵]]: 2020-21 * [[FA 커뮤니티 실드]]: 2021 === 개인 수상 === * [[PFA 올해의 팀]]: 2019-20 * 튀르키예 올해의 선수: 2019 == 여담 == *한국 축구팬들 사이에서는 긴 머리와 특이한 이름 덕분에 '''"윤주누나"'''라고 불린다. *배우 [[호아킨 피닉스]]를 닮았다는 소리도 나온다. 특히 헤어스타일이 [[조커(2019)]]에서 그가 연기한 [[아서 플렉]]과도 비슷해서 더 닮아 보인다. === 이름의 발음 === 이름의 발음이 정말 난해하여 한국어로 표기하는 방법이 다양하기로 유명하다. 이게 크게 화제가 된 것은 2019년 쇠윈쥐가 완전히 레스터의 주전 수비수가 되고 맹활약을 하여 화제를 얻으면서 그가 유명해졌기 때문이다.[* 그것도 1억 파운드 가량의 엄청난 이적료로 맨유로 떠난 [[해리 매과이어]]의 자리를 전 시즌 후보 선수였던 쇠윈쥐가 완벽히 메꾸면서 더욱 화제가 되었다.] 이러다 보니 그의 이름이 매스컴에 널리 부르게 되었는데 보다시피 철자가 아주 평범하지 않다보니 여러 가지 표기법이 난무한 것. [[케빈 더 브라위너]], [[헨리크 미키타리안]], [[조르지니오 베이날둠]]이 유명해지면서 다양한 표기법이 난무한 것과 비슷하다 보면 된다. 한국어 화자들에게 생소한 터키어, 그중에서도 대단히 어려운 이름이다. 터키어를 한글로 옮겨 적는 데에 정해져 있는 표준은 아직 없으며, 발음을 기준으로 옮기는 것이 원칙이다. ğ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일카이 귄도안]]에서와 같이 한글로 옮기지 않으며, ö와 ü는 각각 ㅚ, ㅟ의 음가를 갖는다. 또한 터키어의 c는 ㅈ 발음에 해당하므로, 이를 종합하면 '찰라르 쇠윈쥐'가 된다. 우선 이름(Çağlar)은 성에 비해 표기가 다양하지 않고 대부분 '찰라르'로 부르는 편이다. 간혹 영어식으로 그대로 읽어 '차글라'로 적는 기자도 있다. 성인 Söyüncü는 sö, yün, cü 모두 한국어 표기가 제각각이다. '''sö는 소, 쇠, 서/ yün은 윈, 왼, 원 / cü는 쿠, 쥐, 지''' 등으로 표기하여 수많은 표기가 혼재되어있는데, 소윤쿠, 쇠윈쥐, 쇠윈지, 쇠왼쥐, 쇠원쥐, 서윤주 ,쇠윤주 등이 모두 사용된다. 네이버 스포츠 뉴스 검색결과 각 표기법을 사용한 기사의 건수는 아래와 같다. (2019년 12월 2일 기준) * 소윤쿠 44건 / * 쇠윤지 0건 * 쇠윈쿠 0건 / 쇠윈주 2건 / 쇠윈쥐 66건 / 쇠윈지 6건 * 쇠왼쿠 0건 / 쇠왼주 0건 / 쇠왼쥐 8건 / 쇠왼지 0건 * 쇠원쿠 0건 / 쇠원주 0건 / 쇠원쥐 3건 / 쇠원지 0건 / 서윤주 0건 (소윈X, 소원X, 소왼X는 사용하지 않는다) 쇠윈쥐 > 쇠왼쥐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소윤주'''로 많이 불리고 있다. 철자만 보면 가장 그럴 듯한 발음이고 발음하기도 쉬우며 무엇보다 '''이 발음이 한국스러워서''' 정확한 표기법과 상관없이 소윤주로 읽는 것이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아틀레티코 마드리드)] [include(틀: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1996년 출생]][[분류:2014년 데뷔]][[분류:이즈미르 출신 인물]][[분류:튀르키예의 축구선수]][[분류:SC 프라이부르크/은퇴, 이적]][[분류:레스터 시티 FC/은퇴, 이적]][[분류:아틀레티코 마드리드/현역]][[분류:튀르키예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