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찰리사(察理使)는, 조선시대에 3품에 해당하는 관리가 군무(軍務)로 지방에 파견될 때 제수하던 군직이다. == 설명 == 전시에 주로 임명되었으며, 정1품 [[도체찰사]], 종1품 [[체찰사]], 정2품 [[도순찰사]], 종2품 [[순찰사]] 등과 같이 파견된 지역의 군권과 행정권을 총괄하였다. 1601년(선조 34년) [[곽재우]](郭再祐)와 1787년(정조 11년) 원주에 파견된 이시수(李時秀) 등이 대표적인 [[찰리사]]를 역임한 관료이다. 보통 지방관에 대한 천거가 [[비변사]]에서 이루어지는데 반해 찰리사에 대한 추천은 선무사(宣撫使)·안핵사(按覈使)·위유사(慰諭使)·어사(御事) 등과 함께 의정부에서 주관하였다. [각주] [[분류:조선군]] [[분류:조선의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