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83년 출생]][[분류:파인블러프 출신 인물]][[분류:2009년 데뷔]][[분류:2020년 은퇴]]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28768128.jpg.0.jpg|width=100%]]}}} || || '''{{{#white 이름}}}''' ||찰스 드웨인 버드 주니어[br](Charles Dewayne Byrd Jr.) || || '''{{{#white 국적}}}'''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white 출생지}}}''' ||파인 블러프, [[아칸소]] || || '''{{{#white 생년월일}}}''' ||[[1983년]] [[10월 11일]] ([age(1983-10-11)]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Charles-Byrd-51234| 17전 10승 7패]] || || '''{{{#white 승}}}''' ||3KO, 5SUB, 2판정 || || '''{{{#white 패}}}''' ||3KO, 2SUB, 1판정, 1실격 || || '''{{{#white 체격}}}''' ||178cm / 84kg / 185cm || || '''{{{#white 링네임}}}''' ||Kid Dynamite || || '''{{{#white SNS}}}''' ||[[https://instagram.com/dynamitebyrdmma?igshid=YmMyMTA2M2Y=|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UFC]] 미들급 종합격투기 선수. == 전적 == * 주요 승 : 크리스 트래멀, 가브리엘 바스케스, 로버트 에이지, 아이라 보이드, 마이크 재스퍼, 에반 톰슨, 쿠엔틴 헨리, [[제이미 피켓]], 랜들 월리스, [[존 필립스]] * 주요 패 : 도니옐 윈로우, 마르셀루 아제베두, [[데릭 크란츠]], [[보얀 벨리코비치]], [[대런 스튜어트]], [[에드먼 셰바지언]], [[마키 피톨로]] == 커리어 == 아마추어 전적 2승 무패를 거두고 2009년 프로로 데뷔해 7승 4패의 전적을 거둔다. [[데이나 화이트 컨텐더 시리즈]] 1에 출전해 [[제이미 피켓]]을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실신시키나 계약엔 실패했다. [[데이나 화이트 컨텐더 시리즈]] 6에서 랜들 월리스를 경기 초반 테이크다운당하고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끝날 뻔했으나 대처를 잘했고 2라운드부터 버드가 분위기를 가져왔고 리어네이키드 초크로 탭을 받아내 UFC와 계약했다. UFN 127에서 [[존 필립스]] 필립스의 약점인 그래플링을 잘 공략해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3연패를 하며 퇴출과 함게 은퇴하였다. == 파이팅 스타일 == 잽으로 압박하다가 펀치러쉬로 붙어 케이지에서 클린치로 컨트롤하다가 상대를 그라운드로 끌고가 백을 탄 후 [[리어 네이키드 초크]]로 탭을 받아내어 승리를 챙기는 스타일이다.[* 정작 5번의 서브미션 승리 중 RNC로 승리한 것은 2번 밖에 안된다, 두 번은 암 트라이앵글이며, 나머지 한 번은 넥 크랭크로 끝냈다.]가드패스에도 능하고 상위압박이나 파운드 실력도 준수하다. 타격에서의 움직임도 생각보다 변칙적이며 위빙이나 헤드킥을 활용하기도 한다. 단점은 공격의 궤적이 커서 접근과정에서 카운터를 의외로 허용하는 점. 테이크다운을 잘 허용한다는 점. 컨텐더 시리즈에서도 승리하고 계약에 성공했으나 이런 부분에서 약점을 꽤나 노출했었다. == 여담 == 아칸소주에서 태어났지만 성장은 텍사스주에서 성장했다. 슬하에 딸 하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