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요금문'''}}}[br]{{{-1 昌德宮 曜金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요금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번지) || ||<-2> {{{#ffd700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1 ([[1405년]] 추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fs12.blog.daum.net/486b15c8d9f8f&filename=S5002659.jpg|width=100%]]}}}|| || {{{#gold '''요금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요금소|이게]] 아니다-- [[창덕궁]]의 궁문이다. 서북쪽 궁장에 있다. == 이름 == '요금(曜金)'은 '금빛([[金]])이 빛난다([[曜]])'는 뜻이다. '금(金)'은 오행에서 서쪽을 뜻한다. 즉 서쪽을 빛내는 문이라는 뜻이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aj2um4L2SD6rpinOTFdaZrjD1vOzdMPLGXLtaKhpRjI66DYh432qelGUP0z1TKWw.cha-was01_servlet_engine1?newsItemId=155588792§ionId=ocp&pageIndex=12&mn=NS_01_02&strWhere=&strValue=&sdate=&edate=|#]]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요금문.png|width=100%]]}}}|| || {{{#gold '''〈동궐도〉 요금문''' }}} || 언제 처음 지었는지 모른다. 다만, [[태종(조선)|태종]] 때 [[창덕궁]]을 창건하면서 지은 듯 하다. 처음에는 이름이 없었다. 그러다 1475년([[성종(조선)|성종]] 6년)에 왕명으로 예문관대제학 [[서거정]]이 요금문이란 이름을 지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ia_10608023_007|#]]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 용도 == 내전과 후원 사이에 있는 문이라 그닥 많이 쓰이진 않았으며 평상시에는 닫혀있었다. [[궁궐]] [[주방]]에서 물을 길러 나가거나, 궁궐을 출입하는 여성들의 [[수레]]와 [[말(동물)|말]]이 드나들 때 가끔 열었으며[[http://sillok.history.go.kr/id/kqa_10910020_001|#]][[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요금문(曜金門)|#]], [[궁궐]] 안의 [[환자]]를 밖으로 보낼 때와 [[내시]]와 [[궁녀]]들이 병들거나 늙어 궁내 생활을 마감하고 퇴궐할 때 주로 이용했다.[[http://seoulstory.kr/front/kor/story/view.do?searchCondition=&searchKeyword=&sStatus=9&sDivi=0&sTag=%EB%8B%A8%EB%B4%89%EB%AC%B8&pageIndex=1&idx=1032|#]] == 구조 == * 정면 1칸, 측면 2칸이다.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기와]]를 얹어 마감했고 용마루 위에 용두를 올렸다. [[처마]]는 홑처마이며,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초익공으로 익공의 끝을 둥글게 처리한 몰익공 형식이다. * 문짝은 붉은색 [[나무]][[판]]으로, 중앙 열에 달았다. 양 측면의 칸 마다 중인방을 끼우고 위, 아래 --[[위아래|위위아래]]--를 초록색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했고, [[문]] 위에는 홍살을 두었다. [[단청]]은 긋기단청[* 가칠단청 위에 [[선]]만 그어 마무리한 단청이다. 가칠단청은 무늬없이 단색으로만 칠한 단청이다.]으로 입혔다. * [[현판]] [[바탕]]은 검은색이고 [[글씨]]는 흰색이다. == 여담 == * 1688년(숙종 14년)에 [[인현왕후]]가 폐비당할 때 이 문으로 출궁했고, 6년 뒤 복위될 때에도 이 문으로 들어왔다. * 1884년(고종 21년) [[갑신정변]] 당시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창덕궁]]을 빠져나와 [[경우궁]]으로 갈 때 이 문을 이용했다. * 현재는 근처에 [[주택]]들이 들어서 닫혀있다. 근처 담장까지 민간 [[집]]이나 [[상가]]의 담벼락으로 쓰이고, 한동안은 놀이터까지 있었다.[* 놀이터는 2011년 3월에서 2012년 4월 사이에 철거됐다.] 문 앞에 [[컨테이너|컨테이너 박스]]가 있고 [[쓰레기]]가 쌓이는 등 수난을 겪고 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덕궁, version=526, paragraph=4.1)]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