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덕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의두합'''}}}[br]{{{-1 昌德宮 倚斗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의두합,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 || ||<-2> {{{#ffd700 '''건축시기'''}}} || [[1827년]] {{{-1 (창건)}}} || ||<-2> {{{#ffd700 '''이명'''}}} || 기오헌(寄傲軒)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의두합.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덕궁_후원권역_기오헌과_의두합.jpg|width=100%]]}}} || || {{{#gold ''' 의두합 전경. 왼쪽이 의두합, 오른쪽이 부속건물 운경거이다.[* [[http://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5959&bbsId=BBSMSTR_1214&pageIndex=1&pageUnit=10&searchCnd=&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mn=NS_01_24|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br][[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3889&ccbaKdcd=13&ccbaAsno=0122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toX0TOziO0)]}}} || || {{{#gold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의두합 3D 영상. 애련정과 같이 다룬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덕궁#s-5.4.4|창덕궁 후원 애련지 권역]]의 [[건물]]이다. [[창덕궁 애련정|애련정]]의 남쪽에 있다. 서쪽에 부속 건물 운경거가 있다. [[순조]]의 [[왕세자|세자]] [[효명세자]]가 [[대리청정]]할 당시에 [[독서]]와 [[공부]]를 하려고 지은 [[서재]]이다. == 이름 == '의두(倚斗)' 뜻은 '북두성(斗)에 기대어(倚) [[서울]]의 번화함을 바라본다'이다. [[당나라]] [[시인(문학)|시인]] 두보의 [[시]] 《밤》에서 따왔다. '기오헌(寄傲軒)'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기오(寄傲)' 뜻은 '거침없이(傲) 호방한 마음을 기댄다(寄)'이다. [[중국]] [[동진]]의 [[시인(문학)|시인]] [[도연명]]이 쓴 [[시]] 《귀거래사》의 구절에서 따왔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qa9khbIuzJ1AEBG2k7D2KcK19r1dFrfHEpx04ZlFnoJ1J9YS4s8nRTkAarfQNs7n.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3299§ionId=ocp&pageIndex=11&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 >倚南窓以寄傲 (의남창이기오) >남쪽 창에 기대어 멋대로 호방함을 부려보니 > >審容膝之易安 (심용슬지이안) >좁은 집이지만 편안함을 알겠노라 > >◎ [[도연명]] 《귀거래사》 중 일부 두 이름 뜻의 공통점은 '기댄다' 이다. [[효명세자]]가 할아버지 [[정조(조선)|정조]]의 뜻에 기대어 좋은 [[정치]]를 하려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동궐도]]》에는 '이안재(易安齋)'란 이름으로 나온다. 역시 위의 《귀거래사》 구절에서 따왔다. --이름 부자-- == 역사 ==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하던 1827년([[순조]] 27년)에 지었다. 《궁궐지》에는 예전에 있던 책 읽던 자리에 고쳐 지었다고 나온다.[[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jsessionid=qa9khbIuzJ1AEBG2k7D2KcK19r1dFrfHEpx04ZlFnoJ1J9YS4s8nRTkAarfQNs7n.cha-was02_servlet_engine1?newsItemId=155693299§ionId=ocp&pageIndex=11&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 이후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궐도 의두합.png|width=100%]]}}} || || {{{#gold ''' 《동궐도》의 의두합. 후술할 운경거와 나란히 있는 모습이다. '''}}} || == 구조 == * [[궁궐]] 건물들 중 유일하게 북향(北向)이다. 책읽고 공부하는데 햇볕 잘 드는 남향으로 지으면 편해질까봐 일부러 북향으로 지었다고 한다. [[단청]]도 칠하지 않았다. 그리고 장대석 한 단 위에 사고석 4단을 쌓고 그 위에 다시 장대석 1단을 두어 축대를 만드는 등, 다른 [[궁궐]] [[건물]]에선 볼 수 없는 부분이 많다. * [[기단]]은 1단을 쌓았으며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이다. 출입은 북쪽 칸 가운데 2칸으로 할 수 있으며, 기단에서 건물로 오르내리는 디딤돌은 1단이다. * [[현판]]은 동쪽(정면 기준 왼쪽)에서 2번째 칸의 교창에 달려있다.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이다. 현판에는 '의두합(倚斗閤)'이 아닌 '기오헌(寄傲軒)'으로 써두었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이다.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없는 민도리집이다. 지붕 측면의 합각은 벽돌로 마감했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기와]]로 쌓았으며 내림마루 끝에는 막새기와를 얹었다. * 정면 4칸, 측면 3칸이다. 동쪽 끝면에는 누마루 3칸이 있고, 서쪽으로 대청 1칸, [[온돌|온돌방]] 2칸이 있다. 대청과 온돌방의 전면과 후면은 툇마루이다. * 건물 외벽은 각 칸마다 다르다. 서쪽 끝 칸 온돌방 정면 외벽은, 가운데에 [[창문]]이 달려있고 나머지 부분은 [[벽]]이며 하단에 머름을 설치하고 머름 아래에 [[벽돌]]로 고막이벽을 둔 형태이다. 정면 가운데 두 칸의 외벽에는 아무 것도 달려있지 않으며 [[문]]은 툇간 뒤에 달려있다. [[대청]] 칸 면에는 사분합문과 교창이 달려있으나, 온돌방 칸의 면은 서쪽 끝 칸 온돌방 정면 외벽과 같은 모습이다.[br][br]서쪽 칸 측면 외벽은, 기둥 사이에 중인방을 두고 위 아래를 벽으로 마감한 형태이다. 서측면 가운데 칸의 중인방은 북쪽 칸보다 낮으며 중인방 아랫 벽 가운데에는 [[나무]] [[판]][[문]]이 달려있다. 서측면 남쪽 칸은 벽체 없이 외부와 통해있다. * 의두합 남쪽은 언덕이다. 언덕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고 계단 끝에 [[문]]이 있다. 그 문을 지나면 [[창덕궁 주합루|주합루]]가 나온다. == 운경거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s-2|{{{#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 ||<-3> {{{#ffd700 {{{+1 '''창덕궁 운경거'''}}}[br]{{{-1 昌德宮 韻磬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창덕궁 의두합,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서울)|율곡로]] 99 ([[와룡동(종로구)|와룡동]] 2-71) || ||<-2> {{{#ffd700 '''건축시기'''}}} || [[1827년]] {{{-1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juhim.co.kr/03-3-udukak.jpg|width=100%]]}}} || || {{{#gold ''' 운경거 '''}}} || === 개요 === 의두합 서쪽에 있는 건물이다. 의두합과 같이 지었다. [[효명세자]]는 이곳도 [[책]]읽는 곳으로 사용했으며 [[책]]과 [[악기]]를 보관하는 용도로도 썼다. === 이름 === '운(韻)' 뜻은 '음운', '운치', '정취'이고 '경(磬)' 뜻은 '경쇠', '중국의 고대 악기'이다. === 구조 === * 의두합과 마찬가지로 북향(北向)이며 [[단청]]도 칠하지 않았다. * [[기단]]은 1단을 쌓았으며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이다. * 정면 2칸, 측면 1칸, 총 2칸이나 말이 2칸이지 마루가 반 칸. [[온돌|온돌방]]이 한 칸인 소박한 건물이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홑처마이다.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없는 민도리집이다. 지붕 측면의 합각은 [[벽돌]]로 마감했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기와]]로 쌓았다. * [[주춧돌]] 사이에는 [[벽돌]]로 고막이벽을 설치했고, 고막이벽 사이에 둥근 구멍을 5개 뚫어놓았다. 보관하던 [[책]]과 [[악기]]가 좀슬지 않게 환기와 통풍을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 * 마루방 겉면에는 띠살문을 설치했다. 온돌방 외벽은 면마다 다르다. 정면 외벽은, 문상방과 문선을 설치한 뒤 문선 안에 창을 두고 나머지는 벽으로 마감한 형태이다. 그러나 서측면 외벽은 그냥 [[벽]]이다.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nIwD9sIffA)]}}} || || {{{#gold ''' 국립국악원 360 VR 영상: 〈기오헌 춘앵전(Chunaengjeon)〉 '''}}} || 2019년 5월 11일부터 6월 9일까지 기오헌과 운경거 앞에서 [[효명세자]]가 창작한 무용 춘앵전 공연이 열렸다. [[문화재청]]과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했던 행사 〈문화공간음악회, 창덕궁〉의 [[프로그램]]이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2020년 7월에 [[VR]] 컨텐츠를 통해 기오헌에서 하는 춘앵전 공연 영상을 공개했다. [[분류:창덕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