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창모]][[분류:대한민국의 인물별 논란]][[분류:대구 지하철 참사]]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창모)] [include(틀:창모)]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래퍼 [[창모]]의 논란과 사건 사고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 SNS 관련 논란 == === [[San E]] 비하 논란 === [[파일:sggssg.jpg]] > '''알지 다 봤어 나 받은 비판 감추지 않을게 빼지도 않고 힙합 right shout out to my teacher [[San E|산]] 나보다 위이시니 들리지 않겠지만''' >---- > [[https://www.youtube.com/watch?v=G-fb5uTjFAI|5AM Freestyle]] 中 2014년, 창모는 [[SHOW ME THE MONEY 3]] 1차 예선을 보기 위해 오전 10시부터 대기하였고, [[San E]]에게 1차 예선을 봤으나 3~4마디만 하고 광탈했다. 자신의 실력을 보여주지 못해 아쉬웠는지 본인의 SNS를 통해 [[San E]]를 공개적으로 깎아내려 논란이 되었다. 당시 리스너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고 있었던 산이었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리스너들은 창모를 비판했다.[* 당시 창모는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제로였다. 하지만 [[허클베리피|헉피]], [[딥플로우]]의 샤라웃으로 대부분의 리스너들에게는 루키 래퍼로 인지도가 어느 정도 있었다.] 대부분의 반응은 "자기가 못해서 떨어졌으면서 왜 심사위원을 탓하냐", "차라리 대놓고 욕하던가 디스곡을 내지 왜 저렇게 조롱하냐"는 반응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이후 2015년 공개한 믹스테입 ‘I n c o m p l e t e’의 수록곡 ‘5AM Freestyle’ 가사에서 '''알지 다 봤어 나 받은 비판 감추지 않을게 빼지도 않고 힙합 right shout out to my teacher [[San E|산]] 나보다 위이시니 들리지 않겠지만'''라는 내용을 통해 본인이 받은 비판에 대해 반성함과 동시에 [[San E]]를 샤라웃했다. 또한 2016년, [[돈 벌 시간 2]] 발매 기념으로 진행한 힙플라디오에서 “당시 나는 너무 자만했다”는 반성의 말을 했다. ===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악플에 대한 과민반응 논란]] === 문서에 기재된 논란의 대부분은 사실 창모의 SNS에서 시작된 논란들이다. 애초에 SNS만 아니었어도 생길 일이 없었을 산이 저격 논란부터 맞춤법 논란 등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는 일들에도 비속어를 쓰는 것과 같이 예민하게 대응을 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악플러들뿐만 아니라 SNS 관련해서 문제가 생기는 창모를 걱정하는 팬들의 일부 정중한 댓글들에도 과하게 날선 반응을 보였기에 별 관심이 없던 대중들에게까지 창모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인식되며 이전의 가사 논란까지 다시 재발굴되며 악순환을 낳고 있다. 창모는 SNS로 큰 사고를 친 적은 없었지만, 다른 래퍼들에 비해 유독 SNS로 인한 폭주가 잦은 편이다. SNS로 논란을 일으킨 래퍼들은 여럿이지만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는 일들마저 비속어와 더불어 과하게 날이 선 반응을 보이며 공격적으로 대응하는 편이기에 다른 의미로 논란을 키우는 경향이 있다. 더 콰이엇이 SNS를 금지시킬 정도였다. 2022년 2월 7일 새벽, 인스타그램에 술을 마신 후 오해의 소지가 다분한 스토리를 연달아 올리며 창모의 [[트인낭]] 기질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루저의 난|루저 새끼들 특: 180 이하]], 돈 못 범" "남녀 싸우면 XX들이다, 서로 존중과 사랑 좀 나눠라" 등. 특히 루저 발언 스토리는 상당히 뜬끔없는 저격글이었기에, 일각에서는 다른 래퍼들을 디스한 게 아니냐는 글도 나오고 있다. >[[파일:855601F1-CFC7-4E10-A133-209418E5E5E9.png]] >---- >2월 8일 13시 경 창모의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사과문 결국 2월 8일 13시 경에 사과문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업로드하였다. 여러 언론에서도 막말 논란이라며 기사를 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208_0001751070&cID=10601&pID=10600|뉴시스]], [[https://star.ytn.co.kr/_sn/0117_202202090932313841|YTN]] == 가사 관련 == === [[대구 지하철 참사]] 거론 가사 논란 === [youtube(ud0ba2R1qf4)] >니들 랩 옷은 '''대구네 참사''' >---- >Dopeman 中 2013년 공개한 믹스테입 '돈 벌 시 간'의 수록곡 'Dopeman'의 가사에서 [[대구 지하철 참사]]를 펀치라인 거리로 이용해 구설에 올랐다. 가사의 내용을 해석하자면, '자신의 랩, 옷이 가장 멋지고 나머지 래퍼들의 랩, 옷은 구리다'라는 내용을 ‘너희들의 랩, 옷은 '''대구 지하철 참사'''처럼 처참하다’라고 표현한 것이다.[* 참고로 '돈 벌 시 간'에는 [[Parental Advisory]] 로고가 붙어있다.] 수백 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구 지하철 참사를 펀치라인 거리로 이용한 창모의 가사는 유가족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고 많은 비난과 비판을 불러왔고 창모의 이미지를 떨어뜨리는 큰 원인이 되었다. [[파일:A13ACD68-364A-40E1-BBD8-746640E4FDE4.jpg|width=400]]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세월호 참사]]가 일어나자 본인의 페이스북[* 현재는 페이스북 계정이 없다.]에 자신의 가사에 대해 사과했다. 하지만 ‘아름다워’, ‘마에스트로’ 등의 곡으로 유명세를 얻은 후 2017년 6월 초, 여러 커뮤니티를 통해 논란이 재점화되었다. ‘소녀'와 'Dopeman'과 관련된 가사 논란에 대해 창모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https://www.instagram.com/p/BVOhxv2h3o_/?utm_source=ig_web_copy_link|사과문]]을 올렸다. 이미 참여하기로 한 공연에서는 공연 시작 전에 가사에 대해 사과를 하고 공연을 시작했다. 2019년 정규 1집 [[Boyhood]]의 마지막 트랙인 'S T A R T'에서 자신의 잘못에 대해 반성하는 가사를 쓰기도 하였으나[* 가사는 “우리가 속한 곳에만 시선이 가 '''[[대구 지하철 참사|다른 곳에 난 상처]]를 들춰 보인 나''' 잔을 들어 위하여 젊음을 위하여 그 모든 이를 위하여 다 큰 어른이 된 나 어린 나에 대한 용서를 빌어 '''고개를 들지 못해 갈 때마다 [[대구시|그 시]]를''' 어떤 별은 띠가 있고 먼지라데 그 띠 안엔 나도 나의 띠를 두른 채로 가야해”로 볼드체 표시된 가사에서 간접적인 언급을 했다.] 인스타그램 사과문과 가사에 모두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 여담으로 이후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3,000만 원을 기부했다. 이후 2023년 1월 18일 창모와 그 동네 친구들이 만든 브랜드인 LIBILLY는 대구에 위치한 eplc과의 콜라보로 대구의 지역번호인 053이 새겨진 셔츠를 비롯한 상품을 한정판매하고 애프터 파티까지 열었다. 이 이벤트에서 직접적으로 이 논란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이것이 리빌리의 첫번째 지역 콜라보인 점과 굳이 그 장소를 가까운 경기도권이 아닌 대구로 설정하고 애프터 파티까지 열었다는 점에서 이 사건과 연고가 있음을 추측할수 있다 === 성적 가사 논란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quealingSoreSordidSmile)] || {{{#ffffff '''토론 합의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000,#eaeaea * 3.1 문단을 '성적 가사 논란'이라는 문단명으로 논란 목록에 추가하고 이에 대한 비판점을 서술할 수 있도록 한다. * 특정 인물을 성희롱하지 않았으며, 실존하는 여고생을 성적 대상화한 것이 아니라고 서술한다. }}} ---- {{{#!wiki style="font-size: 12px; text-align: center" ''참고사항''}}} ||}}}}}}}}} || [youtube(3trB4KO00L8)] >'''"그 덕소년 한번 먹고 싶다고", "덕소고 초록 핑크 교복 입고 해 버려 매일"''' >---- >소녀 中 2014년 공개한 믹스테입 '별 될 준 비'의 수록곡 '소녀'[* 공개할 당시 페이스북 게시글에서는 '(덕)소녀'로 소개되어 있었다.]의 가사와 관련해 선정성 논란이 일었다. 가사에서 '교복', '고등학교' 등의 키워드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소재가 되는 여성의 신체 정보(키와 가슴 사이즈) 등이 적나라하게 노출되는 것이 주된 비판점이다. >Baby 그때가 대체 언제인지 >'''이제 우린 다 큰 년놈으로''' 징그럽게 체인지 >'''너는 성숙한 레이디''' 벗어났지 덕소 그러나 실명 및 개인정보가 등장하지 않아 특정인에 대한 성희롱이라고 볼순 없으며, 여고생을 성적 대상화한 것이 아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모, version=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