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남도 남해군의 고등학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전경.png|width=100%]]}}}|| || 학교 전경 || ||||
'''{{{+1 창선고등학교}}}[br]昌善高等學校[br]Changseon High School''' || |||| [[파일:창선고로고2.jpg|width=50%]] || |||| [include(틀:지도, 장소= (창선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개교''' || [[1956년]] [[4월 3일]]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br]농어촌 자율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사립]] || || '''학교법인''' || 창선학원 || || '''교장''' || 최성기 || || '''교감''' || 한창호 || || '''교훈''' || 성실 || || '''교화''' || 국화 || || '''교목''' || 유자나무 || || '''학생 수''' || 163명[*기준 2023년 3월 1일][*성비 남 59%, 여 41%] || || '''교직원 수''' || 21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경상남도교육청]] || || '''주소''' ||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로 97-12 || || '''관련 사이트''' || [[http://changseon-h.gne.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EC%B0%BD%EC%84%A0%EA%B3%A0%EC%98%A8%EB%9D%BC%EC%9D%B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cafe.daum.net/changseon-hs2021|[[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선고등학교는 농어촌 지역의 열악한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참 교육애의 실천과 미래 지향적인 인재를 육성한다는 원대한 꿈과 사랑의 가르침으로 자율 창의 인성을 겸비한 인재 육성을 건학이념으로 한다. 학령 인구 감소로 학급 수 감축의 위기에 놓여있던 창선고등학교는 남해해성고를 전국적인 명문 고등학교로 만든 주역 최성기 교장을 창선고등학교장으로 초빙해‘미래의 명문고 도약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성과를 거두고 있다. 기숙학교라는 창선고의 강점을 살려 사교육 없는 공교육 학교로 그리고 배움과 성장 중심의 수업 혁신을 통해 교과별 50%~60% 이상을 학생 중심 토론, 발표, 협업 수업으로 구성해 학생들의 학업 역량을 꾸준히 높이고 있다. 학생부종합전형과 수능이라는 투 트랙 관리 시스템을 통해 진로 밀착형 독서교육, CEDA 토론, 학습 플래너 쓰기, 교과융합프로젝트 활동 등 자기주도학습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과 심화, 학생 선택권을 보장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등 질높은 교육활동을 운영중이다.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1950년]] [[4월 4일]] : 창선학원 설립 [[1956년]] [[2월 8일]] : 창선고등학교 설립 인가 [[1956년]] [[4월 3일]] : 창선고등학교 개교 [[1978년]] [[11월 28일]] : 창선종합고등학교로 개편 인가 [[1999년]] [[3월 1일]] : 창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0년]] [[11월 28일]] : 박영안 이사장 취임 [[2018년]] [[3월 1일]] : 최성기 교장 취임 [[2022년]] [[2월 11일]] : 제64회 졸업식(총계 6,731명) [[2022년]] [[3월 1일]] : 2022학년도 입학식 == 교훈 및 상징 == === 교가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 교가 파일.png|width=100%]]}}}|| || 창선고등학교 교가 || == 학교 시설 == === 급식소 (유자관)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급식소.jpg|width=100%]]}}}|| || 급식소 (유자관) || === 기숙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한마음학사.jpg|width=100%]]}}}|| || 한마음학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해담학사.jpg|width=100%]]}}}|| || 해담학사 || === 다목적실 (꿈터)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꿈터.jpg|width=100%]]}}}|| || 다목적실 (꿈터) || === 도서실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도서실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도서실2.jpg|width=100%]]}}}|| || 본관 도서관 || === 운동장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운동장.jpg|width=100%]]}}}|| || 운동장 || === 체육관 (해원관)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해원관1.jpg|width=100%]]}}}|| || 체육관 (해원관) 입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해원관2.jpg|width=100%]]}}}|| || 체육관 내부 || ==== 체력단련실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체력단련실1.jpg|width=100%]]}}}|| || 체력단련실 (해원관 2층)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사제동행 SPORTS FESTIVAL 매년 5월, 학생회가 주축이 되어 행사를 기획하고 종목 선정부터 출전 선수 선정, 각종 부스 운영까지 모두 학생들이 책임을 맡아 주도한다. 전선생님들과 학생들이 함께 단합을 도모하며, 작은 학교의 최대 장점이 빛나는 행사이다. * 동아리 학술제 & 유자예술제 '동아리학술제 & 유자예술제'는 학생들이 한 해 동안 학교생활을 하면서 평소 관심 있는 주제를 탐구한 결과를 발표하고, 동아리 활동을 통해 개개인의 능력을 갈고 닦은 자신들의 끼를 마음껏 발산하는 교육활동이다. '주제탐구 발표', 반별 경연 대회, 합창, 공연, 동아리 부스도 다양하게 운영된다. '유자예술제&동아리학술제'는 학생회가 중심이 돼 기획에서 실행 단계까지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1년 교육활동의 마무리 활동이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창선고 학술제 예술제.png|width=100%]]}}}|| || 창선고등학교 동아리 학술제와 유자예술제 || * 토론대회 * 영어 토론대회 * 과학 토론대회 == 출신 인물 == [[박홍수]] : 前 농림부 장관 [[양대웅]] : 前 서울특별시 구로구청장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삼천포➡️남해 지족 25번 (04:50,06:10,07:52,09:50,11:20,12:50,15:20,16:51,17:50) 지족➡️삼천포 25번 (05:20,07:00,08:30,10:30,12:00,13:30,16:05,17:30) 남흥여객 지족➡️대방동 07:00(장포 경유 후 창선고 근처 도착 07:35분,어시장 행) 08:20 09:00(장포 경유 후 창선고 근처 도착 09:35분) 10:20(어시장 행) 대방동➡️지족 07:55(어시장 출발) 09:50 10:50(어시장 출발,요금 비쌈) 10:55 25번(삼포교통),남흥여객을 타고 창선면사무소 하차 후 직진 == 둘러보기 == [[분류:1950년 개교]][[분류:남해군의 고등학교]][[분류:자율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