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창원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창원시 간선버스 171번}}} || ||<-2><:>기점||<:>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퇴촌동(창원대학교종점) ||<-2><:>종점||<:>경상남도 김해시 삼문동(장유석봉마을) || ||<|2><:>종점행||<:>첫차||<:>?||<|2><:>기점행||<:>첫차||<:>?|| ||<:>막차||<:>?||<:>막차||<:>?|| ||<-2><:>평일배차||<:>?분||<-2><:>주말배차||<:>?분|| ||<-2><:>운수사명||<:>[[대운교통(창원)|대운교통]], [[동양교통(창원)|동양교통]], [[창원버스]]||<-2><:>인가대수||<:>?대|| ||<-2><:>노선||<-4><:>[[창원대학교]]종점 - 도립미술관 - [[경상남도청]] - 검찰청 - 법원 - 사파동주민센터 - 대방그린빌아파트 - 대방동성아파트 - 성산구청 - [[창원터널]] - 장유도서관 - (← 능동중 ←) - 갑오마을 - 대청초교 - 장유쌍용예가 - 장유농협 - 대동1단지 - 장유초교 → 대동2단지 → 장유고 → 장유석봉마을 → 장유초교 → 이후 역순|| == 개요 == 과거 운행했었던 창원 - 김해장유간 간선버스 노선. == 역사 == * 구 58번이 전신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구 97번(현 김해 97번)에 더 가깝다. 58번은 [[창원 버스 170|59번]]과 함께 원래 창원시 순환노선으로, '대방동 → 창원대 → 창원터미널 → 상남동 → 대방동'을 순환하는 노선이었다. 개편 전 97번과 98번이 '창원 - 김해장유' 구간을 김해시와 공동배차하고 있었으나, 김해시에서 독단적으로 김해시에서 97번과 98번을 김해시내로 연장하자, 창원시에서는 97번과 98번에서 철수하고 이 노선과 59번을 장유로 연장시키기 시작했다. 그런데 김해시에서 이 노선에 숟가락을 얹더니 97, 98번과 똑같이 시내로 연장시켜 버린다(...). * 그 상태로 대개편을 맞았고, 원래 순환하던 방식과 다르게 59번은 [[창원 버스 170|170번]][*A 현재는 [[창원 버스 770|770번]]]으로 개편되어 순환 구간의 남서쪽 구간을, 58번은 이 노선으로 개편되어 순환 구간의 북동쪽 구간을 왕복하기 시작한다. * 그러나 도심을 지나가지 않아 수요는 거의 없었고, 결국 2006년 10월 1일에 [[창원 버스 170|170번]][*A 현재는 [[창원 버스 770|770번]]]에 통폐합되었다. 참고로 이 노선과 공동배차하던 [[김해 버스 58|김해 58번]]은 멀쩡히 시내까지 연장된 이후 그대로 살아있으며, 창원시 노선과 공동배차하던 다른 김해시 버스들인 [[김해 버스 59|59번]], [[김해 버스 97|97번]], [[김해 버스 98|98번]]도 살아남아 김해시내 - 창원시내를 이어주고 있다. == 특징 == * 170번과 달리 경남도청과 대방동으로 바로 갔다.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창원시의 간선버스]][[분류:200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06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