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창원시의 좌석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동양_1060_3001.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창원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1번}}} || ||<-2>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방동(대방동종점) ||<-2>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무동리(STX칸1차아파트후문)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00 || 막차 || 23:00 || ||<-2> 배차간격 ||<-4> 평일 31~46분 주말/공휴일 57~75분 || ||<-2> 운수사명 || [[동양교통(창원)|동양교통]] ||<-2> 인가대수 || 4대[* 토요일, 공휴일 3대 운행.] || ||<-2> 노선 ||<-4> 대방동종점 - 남산초등학교 - 남양초등학교(더샵센트럴파크2단지) - [[대동백화점]] - 은아아파트 - 창원시청 - 정우상가(창원시청)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Ⅶ대학|한국폴리텍대학]] - 농업기술센터 - [[창원공업고등학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동서식품 - 중방마을회관 - 감계중학교(푸르지오아파트) - 감계휴먼빌 - 감계입구 - 동전 - 무동입구 - STX칸2차아파트 - 휴먼빌1.2단지 - STX칸1차아파트후문 || == 개요 ==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54.6km다. == 역사 == * 2023년 6월 10일에 창원시 시내버스 노선 전면개편으로 신설되었다. * 2023년 8월 26일 [[창원 버스 19|19번]]의 재운행 개시와 함께 북면온천(신촌리)~무동지구 구간이 단축되고 창원시청~대방동 구간이 연장되었으며, 허앤리병원, 의창구청, 창원역 경유에서 농업기술센터, 창원종합터미널, 동서식품 경유로 변경되었다. == 특징 == * 당초 [[창원 버스 19|19번]]을 급행좌석으로 전환하여 신설된 노선이지만 19번이 폐선에 따른 무동, 감계지구의 반발 끝에 2달만에 운행을 재개하면서 이후로는 무동, 감계지구와 구 창원지역을 빠르게 잇는 급행 노선으로 재편되었다. * 신설 초기 [[창원역]] 경유 [[창원시청]] 종점 시절에는 도계광장에서 시내방향으로 가는데도 일반 시내노선이 정차하는 곳(115302)이 아닌 [[김해 버스 140|140번]], 읍면버스, 마을버스가 정차하는 곳(115304)에 정차했다. * 2023년 8월 26일 이전의 [[창원역]] 경유 [[창원시청]] 종점 노선 시절에는 [[창원 버스 17|17번]]과 많은 구간이 겹치는데다 창원역을 경유하여 소요시간이 길고 급행노선임에도 17번보다 짧은 구간을 운행하여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를 보완하고자 노선을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경유 및 대방동 연장으로 조정한 이후로는 [[북면(창원)|북면]]과 [[창원대로]]를 거쳐 도심으로 바로 연결되어 [[창원종합버스터미널]]과 바로 연계되고[* 17번을 제외하면 창원공고 정류장에 하차하여 갈 수 있긴 한데 도보 거리가 길고 17번이 연계가 안되어 감계, 무동 지역 주민들의 터미널 접근이 불편했다.] 도심 접근에 있어서도 시간경쟁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 [[창원 버스 3000]]과 함께 창원시 좌석버스 노선 중 구 창원 지역 내에서만 운행하는 둘뿐인 노선이다. === 시간표 === ||<-5><#D32A09> {{{#white 창원시 직행좌석버스 3001번 평일시간표}}}[br]{{{#white 2023년 08월 26일기준 }}} || ||<-5>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2> 대방동발 || ||<-2> 무동발 || ||<-2> 00 45|| 06시 ||<-2>00 37 || ||<-2> 30|| 07시 ||<-2>15 || ||<-2> 15|| 08시 ||<-2>00 45 || ||<-2> 00 45|| 09시 ||<-2>30 || ||<-2> 30|| 10시 ||<-2>15 || ||<-2> 15|| 11시 ||<-2>00 45 || ||<-2> 00|| 12시 ||<-2>30 || ||<-2> 30|| 13시 ||<-2>15 || ||<-2> 15|| 14시 ||<-2>00 45 || ||<-2> 00|| 15시 ||<-2>30 || ||<-2> 30|| 16시 ||<-2>15 || ||<-2> 15|| 17시 ||<-2>00 45 || ||<-2> 00|| 18시 ||<-2>31 || ||<-2> 30|| 19시 ||<-2>17 || ||<-2> 15|| 20시 ||<-2>03 49 || ||<-2> 01 47|| 21시 ||<-2>35 || ||<-2> 29|| 22시 ||<-2>20 || ||<-2> 00|| 23시 ||<-2>00 || }}}}}} || ||
<-5><#D32A09> {{{#white 창원시 직행좌석버스 3001번 주말,공휴일시간표}}}[br]{{{#white 2023년 08월 26일기준 }}} || ||<-5>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2> 대방동발 || ||<-2> 무동발 || ||<-2> 00|| 06시 ||<-2>00 || ||<-2> 00|| 07시 ||<-2>15 || ||<-2> 00|| 08시 ||<-2>15 || ||<-2> 00|| 09시 ||<-2>15 || ||<-2> 00|| 10시 ||<-2>15 || ||<-2> 00|| 11시 ||<-2>15 || ||<-2> 00|| 12시 ||<-2>15 || ||<-2> 00|| 13시 ||<-2>15 || ||<-2> 00|| 14시 ||<-2>15 || ||<-2> 00|| 15시 ||<-2>15 || ||<-2> 00|| 16시 ||<-2>15 || ||<-2> 00|| 17시 ||<-2>15 || ||<-2> 00|| 18시 ||<-2>16 || ||<-2> 00|| 19시 ||<-2>17 || ||<-2> 01|| 20시 ||<-2>18 || ||<-2> 02|| 21시 ||<-2>19 || ||<-2> 03|| 22시 ||<-2>10 || ||<-2> 00|| 23시 ||<-2>00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신창원역]] [[분류:창원시의 좌석버스]][[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