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목차] == 개요 == 60번대 노선은 육호광장 경유 무학여고 또는 [[용마로(창원)|용마로]]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들이 부여받던 번호대였다. == 60번 (경남대학교-창원대학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부림시장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북동공설시장 - 도계주유소 - 명서다리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창원컨트리클럽입구 - 대동그린코아 - 사격장입구 - 창원대학교 첫차는 경남대 5시 20분, 창원대 5시 20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15분, 창원대 23시 04분 14대가 10분 간격으로 하루 98회 운행하였다. '''13, 14번과 더불어 2005년 개편 전까지 마산, 창원 시내버스를 대표하는 노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잘나가던 노선이자 마산, 창원 시내버스의 모든 일반 노선 중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노선이었다.[* 심지어 13, 14번보다도 배차간격이 더 짧다. 그야말로 일반 노선 중 가장 자주 다니던 노선.][* 좌석 노선까지 포함하면 300번이 8분 간격으로 가장 자주 다녔다.] 개편 때 공식적으로는 폐선되었다. 현재는 [[창원 버스 122]]가 거의 대부분의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 차이점은 2023년 8월 26일 이후 기준으로 [[경남대학교]](60번)/[[마산가포고등학교|가포고등학교]](122번) 기종점 차이에 창원컨트리클럽입구(60번)/까치아파트입구(122번) 경유 차이, [[창원대학교]] 종착(60번)/창원대학교에서 더 나아가 [[경상남도청|도청]], [[창원지방검찰청|검찰청]], [[창원지방법원|법원]] 추가 경유 후 대방동성아파트 종착(122번) 차이 정도.] == 60-1번 (경남대학교-창원대학교)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마산운동장 - 문화방송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윤병원 - 사단앞 - 도계초등학교 - 명서다리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창원의집 - 창원대학교 첫차는 경남대 5시 26분, 창원대 5시 25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창원대 22시 49분 6대가 25분 간격으로 하루 42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지귀상가-창원대학교 구간을 제외하고는 60번과 동일한 노선이었으나 그 후 마산운동장 경유, 도계초등학교 경유 및 북동공설시장 미경유, 어시장 경유 및 부림시장 미경유 등을 거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60번과 마찬가지로 폐선되었다. 현재는 [[창원 버스 100]]이 대부분의 구간을 대체하고 있다.[* 기존 60-1번과의 차이는 2023년 8월 26일 이후 기준으로 도계초등학교(60-1번)/도계주유소(100번) 경유, 명곡광장(60-1번)/상북초등학교(100번) 경유, 창원의집입구(60-1번)/사격장입구(100번) 경유 차이 및 창원대학교 종착(60-1번)/창원대학교에서 더 나아가 상남동 및 가음정동 경유와 대방동 종착(100번) 차이 정도.] == 61번 (월영아파트-창원대학교) ==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부림시장 - 육호광장 - 무학여고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 - 명곡로타리 - 문성고등학교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성산아트홀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 첫차는 월영A 5시 32분, 창원대 5시 30분 막차는 월영A 23시 05분, 창원대 23시 09분 8대가 17분 간격으로 하루 63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성산아트홀이 아닌 KBS 창원방송총국 및 도청광장을 경유하였으나 1992년경에 성산아트홀 및 도청사거리를 경유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참고로 이 노선 변경 이후, [[중앙대로(창원)|중앙대로]]를 직접 다니는 시내버스 노선은 단 1개도 없게 되었다.] 개편 때 창원 구간이 대원동-반지동 경유로 바뀌고 대방동으로 연장되어 [[창원 버스 101]]이 되었다. 그리고 2023년 6월 10일부터는 불모산동([[성주공영차고지]])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육호광장 대신 북마산(회산교)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62번 (월영아파트-인의동) - 진해여객, 마창8개사 == 월영아파트 - 경남대학교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마산운동장 - 수출후문 - 봉암교 - 양곡상가 - 시민회관 - 여좌동 - 진해역 - 인의동 첫차는 월영A 5시 20분, 인의동 5시 35분 막차는 월영A 22시 50분, 인의동 22시 30분 6대가 25분 간격으로 하루 44회 운행하였다. 진해로 가는 노선이라 34번 또는 36-1번이 되어야 할 것 같으나 육호광장을 경유하는 특성 때문에 62번으로 된 듯하다. 개편 때 [[창원시 시내버스/폐선|161번]]이 되었다가 [[창원 버스 160|160번]]에 통폐합되었다. == 63번 (경남대학교-남산동) == 경남대학교 - 문화동 - 제일여고 - 마산여고 - 완월초등학교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마산운동장 - 문화방송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 - 명곡로타리 - 문성고등학교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사파초등학교 - 대방성원3차아파트 - 남산동(알뜰생활관) 첫차는 경남대 5시 20분, 남산동 5시 20분 막차는 경남대 23시 10분, 남산동 23시 15분 9대가 20분 간격으로 하루 54회 운행하였다. 원래 노선은 경남대학교에서 창원대학교까지 가던 노선[* 이 때 당시 63번 노선은 경남대학교 - 문화동 - 마산시청 - 어시장 - [[불종거리로]] - 육호광장 - 마산운동장 - 문화방송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동서식품 - 창원터미널 - 창원공고 - 명곡로타리 - 문성고등학교 - 창원운동장 - 정우상가 - KBS창원방송총국 - 경남도청 - 성심유치원 - 창원대학교로 운행하였다. ]이었으나 1992년경에 대방동으로 종점이 바뀌고 1997년경에 또다시 남산동으로 종점이 바뀌었으며, 2001년경에 남산동 종점이 폐쇄되면서 위 노선이 되었다. 개편 때 창원 구간이 대폭 변경되어 [[창원 버스 100]]이 되었다. 그리고 대동백화점 이후 구간은 [[창원 버스 105]]가 대신하다가 2023년 6월 10일부터는 [[창원 버스 106]] 및 [[창원 버스 107]]이 대신하고 있다. == 64번 (안계초등학교-창원대학교) == 안계초등학교 - 이미지아파트 - 삼계롯데마트 - ( 죽암 → 농산물도매시장 )[* 이 구간은 상하행이 동일하게 죽암 → 농산물시장 순으로 운행하였다. 지금과는 달리 당시 농산물시장에서 마산대학정문, 죽암 방향으로 운행이 불가능하였다.] - 중리삼거리 - 회성동 - 교도소입구 - 북성초등학교 - 석전교사거리 - 경남은행본점 - 마산역 - 마산시외터미널 - 한국전력 - 창원역 - 윤병원 - 사단앞 - 도계주유소 - 명서다리 - 농협한마음공판장 - 지귀상가 - 대동그린코아 - 사격장입구 - 창원대학교 첫차는 안계초 5시 30분, 창원대 6시 35분 막차는 안계초 21시 40분, 창원대 22시 45분 6대가 25분 간격으로 하루 36회 운행하였다. 폐선된 52번 전 차량과 11번 감차 차량 2대로 신설한 노선으로, 이 당시에 안계초등학교에서 합성동 방향 노선 역할과 내서읍 지역에서 창원대학교로 가는 노선의 역할을 하였다. 원래 신설 당시 노선은 이미지아파트를 경유하지 않았고, 농산물시장도 경유하지 않았으나, 2003년 2월경 죽암/농산물시장 양방향 경유를 시작으로 이미지아파트까지 들어가면서 안계초등학교에서 중리삼거리까지 나가는데 다른 노선의 두배에 가까운 25분이나 걸리는 기염을 토했던 노선이다. 개편 때 [[창원 버스 110]]이 되어서 창원대로 경유 및 청솔아파트로 연장되었다. ~~더불어 농산물시장 투어도 바이바이~~ 그리고 도계동 이후 구간은 [[창원 버스 122]]가 완전히 대체하고 있다. == 66번 (마산시외터미널-정곡) == 마산시외터미널 - 양덕초등학교 - 마산역 - 경남은행본점 - 무학여고 - 육호광장 - [[불종거리로]] - 어시장 - 마산시청 - 경남대학교 - 밤밭고개 - 태봉 - 진동 - 진북면사무소 - 국군마산병원 - 곡안 - 진전면사무소 - 진전중학교 - 호산 - 이명 - 창포 - 소포 - 시락 - 정곡 첫차는 마산역 7시 40분, 정곡 5시 40분 막차는 마산역 21시 40분, 정곡 22시 2대가 190분 간격으로 하루 8.5회 운행하였다. 과거 창원군 시절에 운행하던 우성여객 남마산-시락 시외버스가 전신인 노선으로, 도농 통합 당시 83번으로 운행하였으나, 얼마 안있어 66번으로 변경하였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 하면서 소답동까지 운행하였으나, 90년대 후반에 합성동으로 단축되었다. 개편 때 85번과 통합, [[창원 버스 70번대 노선|77번]]이 되어서 진동으로 단축되었다가 재연장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원시 시내버스/2005년 개편 전 목록, version=136)] [[분류:창원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