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12대 경남도의원/지역구)] ||<-4> '''[[대한민국|[[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height=20]]]] {{{#fff [[경상남도|{{{#fff 경상남도}}}]]의 [[경상남도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경상남도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창원시 제3선거구}}}}}}'''[br]{{{-1 {{{#fff 명곡동, 봉림동[br]昌原市 第三選擧區[br]Changwon District 3}}}}}}}}}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원시_제3선거구8.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63,393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의창구 일부'''[br]명곡동, 봉림동 }}} || ||<-2>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박해영(정치인)|박해영]] ,,(재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의창구]]의 동부 동 지역을 관할한다. [[창원대학교]], [[창원중앙역]] 등이 관할 지역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와 인근 지역에 [[경상남도청]],[[경상남도교육청]],[[경상남도경찰청]],[[경남소방본부]],[[창원대학교]],[[창원봉림고등학교]],[[법무부]] 창원준법지원센터 등 공무원이 일할 수 있는 별의 별 시설이 많으며, 과장해서 말하자면 교정직 공무원과 검찰공무원,법원공무원 빼곤 다 볼 수 있는 선거구며, 말 그대로 창원시와 경상남도의 행정 중심지다. 전형적인 [[부울경|PK]] 구도심으로 표심도 거의 유사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창원시 제1,2선거구''' || ||<|2> 제5대 || 정세영 ||<|2> [include(틀:민주자유당)] ||<|2>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의안동, '''도계동''', 동정동, 소계동, 팔룡동, '''명서1동''', '''명서2동''', '''봉곡동'''][*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도계동과 명서1,2동을 합쳐 명곡동, 봉곡동과 사림동을 합쳐 봉림동이 되었다.] || || 박수봉 || [* 창원시 제2선거구 ('''사림동''', 용호동, 신월동, 사파동, 상남동)][* 대동제 이전의 행정 구역으로, 이후 사림동은 봉곡동을 합쳐 봉림동이 되었다.] || ||<-5> '''창원시 제2선거구''' || || 제6대 || 서장근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3> [*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 || 제7대 ||<|2> 박차봉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8대 ||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5> '''창원시 제2,3선거구''' || ||<|2> 제9대 || [[강성훈(1970)|강성훈]] || [include(틀:민주노동당)] ||<|2>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창원시 제2선거구 (팔룡동, '''명곡동''')] || || [[정연희(1952)|정연희]] || [include(틀:한나라당)] || [* 창원시 제2선거구 ('''봉림동''', 용지동)] || ||<|2> 제10대 || [[박해영(정치인)|박해영]]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2>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6] || || [[정연희(1952)|정연희]] || [*7] || ||<|2> 제11대 || [[김지수(1970)|김지수]]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2>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6] || || 김영진 || [*7] || ||<-5> '''창원시 제3선거구''' || || 제12대 || [[박해영(정치인)|박해영]]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명곡동''', '''봉림동'''][* 행정동 봉림동에서 퇴촌동 일부 지역이 성산구 반송동으로 편입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1선거구'''}}}}}}[br]{{{#ffffff 의안동, 도계동, 동정동, 소계동, 팔룡동, 명서1동, 명서2동, 봉곡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세영(丁世永)''' || '''30,552'''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6.46%''' || '''당선''' || ||<|2> {{{#FFFFFF {{{+5 '''2'''}}}}}} || 김만두(金萬斗) || 8,99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61% || 낙선 || ||<|2> {{{#FFFFFF {{{+5 '''3'''}}}}}} || 김위수(金渭洙) || 14,565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6.9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5,808 ||<|3> '''투표율'''[br]65.11% || || '''투표 수''' || 55,870 || || '''무효표 수''' || 1,762 || ||<-4> {{{#ffffff {{{+1 '''창원시 제2선거구'''}}}}}}[br]{{{#ffffff 사림동, 용호동, 신월동, 사파동, 상남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수봉(朴壽奉)''' || '''24,079'''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5.55%''' || '''당선''' || ||<|2> {{{#FFFFFF {{{+5 '''2'''}}}}}} || 김상하(金尙河) || 19,260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4.4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6,771 ||<|3> '''투표율'''[br]66.91% || || '''투표 수''' || 44,681 || || '''무효표 수''' || 1,342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2선거구'''}}}}}}[br]{{{#ffffff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서장근(徐長根)''' || '''25,55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7.24%''' || '''당선''' || ||<|2> {{{#FFFFFF {{{+5 '''4'''}}}}}} || 정기영(鄭基永) || 12,44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2.7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9,072 ||<|3> '''투표율'''[br]44.06% || || '''투표 수''' || 39,250 || || '''무효표 수''' || 1,253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2선거구'''}}}}}}[br]{{{#ffffff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차봉(朴且鳳)''' || '''-'''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 || '''[[무투표 당선|{{{#373a3c,#dddddd 무투표 당선}}}]]''' || ||<|2> --{{{#FFFFFF {{{+5 '''3'''}}}}}}-- || --최갑도(崔甲道)-- ||<-2><|2> 등록 무효 || || --[include(틀:무소속)]--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2선거구'''}}}}}}[br]{{{#ffffff 명곡동, 봉림동, 용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박차봉(朴且鳳)''' || '''30,16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0.97%''' || '''당선''' || ||<|2> {{{#FFFFFF {{{+5 '''6'''}}}}}} || 김휘용(金暉容) || 5,29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2.46% || 낙선 || ||<|2> {{{#FFFFFF {{{+5 '''7'''}}}}}} || 조덕제(趙德濟) || 7,034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16.5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5,290 ||<|3> 투표율[br]46.10% || || '''투표 수''' || 43,935 || || '''무효표 수''' || 1,442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2선거구'''}}}}}}[br]{{{#ffffff 팔룡동, 명곡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상하(金尙河) || 19,262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7.73% || 낙선 || ||<|2> {{{#FFFFFF {{{+5 '''5'''}}}}}} || '''[[강성훈(1970)|강성훈]](姜成薰)''' || '''21,093''' || '''1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52.2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71,153 ||<|3> '''투표율'''[br]58.31% || || '''투표 수''' || 41,495 || || '''무효표 수''' || 1,140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봉림동, 용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연희(1952)|정연희]](鄭蓮姬)''' || '''12,81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2.96%''' || '''당선''' || ||<|2> {{{#FFFFFF {{{+5 '''5'''}}}}}} || 문경희(文景嬉) || 12,597 || 2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42.23% || 낙선 || ||<|2> {{{#FFFFFF {{{+5 '''7'''}}}}}} || 강선식(姜善植) || 3,04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0.19% || 낙선 || ||<|2> {{{#FFFFFF {{{+5 '''8'''}}}}}} || 서교민(徐敎民) || 1,47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6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4,590 ||<|3> '''투표율'''[br]56.24% || || '''투표 수''' || 30,705 || || '''무효표 수''' || 880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2선거구'''}}}}}}[br]{{{#ffffff 팔룡동, 명곡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해영(정치인)|박해영]](朴海榮)''' || '''19,447'''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5.69%''' || '''당선''' || ||<|2> {{{#FFFFFF {{{+5 '''2'''}}}}}} || 이봄철(李봄철) || 10,562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4.81% || 낙선 || ||<|2> {{{#FFFFFF {{{+5 '''3'''}}}}}} || [[강성훈(1970)|강성훈]](姜成薰) || 6,574 || 3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15.44% || 낙선 || ||<|2> {{{#FFFFFF {{{+5 '''4'''}}}}}} || 감정선(甘貞善) || 5,97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4.0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6,632 ||<|3> '''투표율'''[br]56.90% || || '''투표 수''' || 43,604 || || '''무효표 수''' || 1,046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봉림동, 용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연희(1952)|정연희]](鄭蓮姬)''' || '''14,34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6.70%''' || '''당선''' || ||<|2> {{{#FFFFFF {{{+5 '''2'''}}}}}} || 정해관(丁海寬) || 9,353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0.45% || 낙선 || ||<|2> {{{#FFFFFF {{{+5 '''3'''}}}}}} || 김동석(金東石) || 3,484 || 4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11.34% || 낙선 || ||<|2> {{{#FFFFFF {{{+5 '''4'''}}}}}} || 안소동(安昭東) || 3,52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8,315 ||<|3> '''투표율'''[br]54.14% || || '''투표 수''' || 31,576 || || '''무효표 수''' || 867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2선거구'''}}}}}}[br]{{{#ffffff 팔룡동, 명곡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지수(1970)|김지수]](金志修)''' || '''23,72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4.09%''' || '''당선''' || ||<|2> {{{#FFFFFF {{{+5 '''2'''}}}}}} || [[박해영(정치인)|박해영]](朴海榮) || 17,575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0.07% || 낙선 || ||<|2> {{{#FFFFFF {{{+5 '''6'''}}}}}} || 유경종(劉京鍾) || 2,555 || 3위 || || [include(틀:민중당)] || 5.8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9,616 ||<|3> '''투표율'''[br]64.44% || || '''투표 수''' || 44,862 || || '''무효표 수''' || 1,010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봉림동, 용지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영진(1964)|김영진]](金榮鎭)''' || '''20,044'''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8.06%''' || '''당선''' || ||<|2> {{{#FFFFFF {{{+5 '''2'''}}}}}} || [[정연희(1952)|정연희]](鄭蓮姬) || 14,473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1.9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5,616 ||<|3> '''투표율'''[br]63.41% || || '''투표 수''' || 35,269 || || '''무효표 수''' || 752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3선거구'''}}}}}}[br]{{{#ffffff 명곡동, 봉림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공창섭(孔昌燮) || 11,456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7.05% || 낙선 || ||<|2> {{{#FFFFFF {{{+5 '''2'''}}}}}} || '''[[박해영(정치인)|박해영]](朴海榮)''' || '''19,458'''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2.94%'''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63,393 ||<|3> '''투표율'''[br]49.81% || || '''투표 수''' || 31,577 || || '''무효표 수''' || 663 || [[2021년]] [[7월]] [[용지동]]을 비롯한 의창구 일부 지역이 [[성산구]]로 넘어가면서 도의회 선거구도 이에 맞출 필요가 생겼다. 그리하여 용지동이 성산구로 넘어가면서 붕 뜬 [[봉림동(창원)|봉림동]]에 [[명곡동(창원)|명곡동]]을 붙여 창원시 제3선거구를 구성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명곡동을 관할하던 [[김지수(1970)|김지수]] 도의원은 [[2022년 6월 보궐선거]]에 [[창원시 의창구(선거구)|창원시 의창구]] 보궐선거에 출마하며, 봉림동을 관할하던 [[김영진(1964)|김영진]] 도의원은 용지동이 주 기반이라 [[창원시 제4선거구]]에 출마를 준비하는 관계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 봉림동에서 3선 시의원을 지낸 공창섭 시의회 부의장이 후보로 확정되었다. [[국민의힘]]에서는 봉림동 기반의 [[박해영(정치인)|박해영]] 전 도의원과 박현재 시의원, 명곡동 기반의 김재우 전 경남도당 수석부대변인이 경선에 참가하여 박해영 후보가 승리하여 공천받았다.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으면서 양당 1:1구도로 편성되었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박해영 후보의 60% 초중반의 여유롭게 도의회에 복귀하게 되었다. 두 후보 모두의 기반인 봉림동에서는 60.7% : 39.3% 정도로 그나마 격차가 적었지만 새로 편입된 명곡동에서 65.9%로 몰표를 주면서 격차를 더 벌렸다. [[분류:선거구/경상남도]][[분류:의창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