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12대 경남도의원/지역구)] ||<-4> '''[[대한민국|[[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height=20]]]] {{{#fff [[경상남도|{{{#fff 경상남도}}}]]의 [[경상남도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경상남도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창원시 제9선거구}}}}}}'''[br]{{{-1 {{{#fff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br]昌原市 第九選擧區[br]Changwon District 9}}}}}}}}}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창원시_제9선거구8.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57,826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마산합포구 일부'''[br]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 || ||<-2> '''도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정규헌(1967)|정규헌]] ,,(초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마산합포구]]의 북부 동 지역을 관할한다. 원도심으로 이루어진 곳이다보니 [[국민의힘]] 성향이 [[마산시|마산]] 안에서도 가장 강한 편이다.[* 심지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 때도 이 지역구와 [[창원시 제12선거구]](당시 각각 8선거구와 10선거구)만큼은 [[자유한국당]]이 승리하였다.] 여타 다른 마산합포구 관할 선거구에 비해 보수세가 희석될 요소[* [[창원시 제8선거구]]에는 [[현동]] 보금자리지구, [[로봇랜드]]가 있고, [[창원시 제10선거구]]에는 [[마산해양신도시]]가 건설 중이다.]가 적은 편이므로 재개발이 대거 일어나지 않는 이상 계속 보수 텃밭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 == 역대 선거 결과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마산시 제2,3선거구''' || ||<|2> 제5대 || 김상노 ||<|2> [include(틀:무소속)] ||<|2>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 마산시 제2선거구 (완월동, '''자산동''', '''서성동''', '''동성동''', '''부림동''', '''동성동''', '''부림동''', '''추산동''', '''중성동''', '''교방동''')] || || 허종태 || [* 마산시 제3선거구 ('''성호동''', '''교원동''', '''상남1동''', '''상남2동''', '''오동동''', '''산호1동''', '''산호2동''')] || ||<-5> '''마산시 제2선거구''' || ||<|2> 제6대 || 이재희 ||<|3>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0년]] [[2월 12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총선]] [[창원시 마산합포구(선거구)|마산합포구]] 출마를 위해 사직.] ||<|4> [* 완월동, '''자산동''', '''동서동''', '''성호동''', '''교방동''', '''노산동''', '''오동동''', '''합포동''', '''산호동'''] || || 김봉준 || [[2000년]] [[6월 9일]] ~ [[2002년]] [[6월 30일]] || || 제7대 || 진두성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제8대 || [[김오영]] ||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5> '''창원시 제8선거구''' || || 제9대 || [[김오영]] || [include(틀:한나라당)]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2> [*6] || || 제10대 || 정광식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제11대 || [[박옥순]]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완월동,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노산동''', '''합포동''', '''산호동'''][* 동서동, 성호동이 오동동에 통합되었을 뿐, 이전의 관할 구역과 일치한다.] || ||<-5> '''창원시 제9선거구''' || || 제12대 || [[정규헌(1967)|정규헌]]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노산동은 교방동에 통합되었으며, 완월동은 창원시 제10선거구로 넘어갔다.]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마산시 제2선거구'''}}}}}}[br]{{{#ffffff 완월동, 자산동, 서성동, 동성동, 부림동, 동성동, 부림동, 추산동, 중성동, 교방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춘옥(李春玉) || 13,031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6.13% || 낙선 || ||<|2> {{{#FFFFFF {{{+5 '''2'''}}}}}} || '''김상노(金相魯)''' || '''15,212'''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3.8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43,965 ||<|3> '''투표율'''[br]67.07% || || '''투표 수''' || 29,490 || || '''무효표 수''' || 1,247 || ||<-4> {{{#ffffff {{{+1 '''마산시 제3선거구'''}}}}}}[br]{{{#ffffff 성호동, 교원동, 상남1동, 상남2동, 오동동, 산호1동, 산호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재희(李再熙) || 10,116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2.24% || 낙선 || ||<|2> {{{#FFFFFF {{{+5 '''2'''}}}}}} || '''허종태(許宗汰)''' || '''13,830'''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7.75%'''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37,320 ||<|3> '''투표율'''[br]66.91% || || '''투표 수''' || 24,973 || || '''무효표 수''' || 1,027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마산시 제2선거구'''}}}}}}[br]{{{#ffffff 완월동, 자산동, 동서동, 성호동, 교방동, 노산동, 오동동, 합포동, 산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재희(李再熙)''' || '''30,299'''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71.39%''' || '''당선''' || ||<|2> {{{#FFFFFF {{{+5 '''4'''}}}}}} || 김상노(金相魯) || 12,137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8.6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0,899 ||<|3> '''투표율'''[br]54.41% || || '''투표 수''' || 44,024 || || '''무효표 수''' || 1,588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마산시 제2선거구'''}}}}}}[br]{{{#ffffff 완월동, 자산동, 동서동, 성호동, 교방동, 노산동, 오동동, 합포동, 산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진두성(陳斗星)''' || '''22,73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3.61%''' || '''당선''' || ||<|2> {{{#FFFFFF {{{+5 '''3'''}}}}}} || 김상노(金相魯) || 9,08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5.43% || 낙선 || ||<|2> {{{#FFFFFF {{{+5 '''4'''}}}}}} || 박광기(朴光基) || 3,91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0.9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7,485 ||<|3> '''투표율'''[br]47.75% || || '''투표 수''' || 36,979 || || '''무효표 수''' || 1,238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마산시 제2선거구'''}}}}}}[br]{{{#ffffff 완월동, 자산동, 동서동, 성호동, 교방동, 노산동, 오동동, 합포동, 산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김오영]](金伍榮)''' || '''26,79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1.41%''' || '''당선''' || ||<|2> {{{#FFFFFF {{{+5 '''6'''}}}}}} || 김석형(金錫炯) || 4,84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2.90% || 낙선 || ||<|2> {{{#FFFFFF {{{+5 '''7'''}}}}}} || 장철규(張哲奎) || 5,883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15.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4,961 ||<|3> 투표율[br]51.46% || || '''투표 수''' || 38,578 || || '''무효표 수''' || 1,059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8선거구'''}}}}}}[br]{{{#ffffff 완월동, 자산동, 동서동, 성호동, 교방동, 노산동, 오동동, 합포동, 산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오영]](金伍榮)''' || '''23,262'''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7.45%''' || '''당선''' || ||<|2> {{{#FFFFFF {{{+5 '''7'''}}}}}} || 김용한(金龍漢) || 17,22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2.5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2,689 ||<|3> '''투표율'''[br]57.57% || || '''투표 수''' || 41,851 || || '''무효표 수''' || 1,363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8선거구'''}}}}}}[br]{{{#ffffff 완월동, 자산동, 동서동, 성호동, 교방동, 노산동, 오동동, 합포동, 산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광식(鄭光植)''' || '''31,113'''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77.54%''' || '''당선''' || ||<|2> {{{#FFFFFF {{{+5 '''3'''}}}}}} || 김선예(金善叡) || 9,008 || 2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2.4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4,766 ||<|3> '''투표율'''[br]56.07% || || '''투표 수''' || 41,926 || || '''무효표 수''' || 1,805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8선거구'''}}}}}}[br]{{{#ffffff 완월동,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노산동, 합포동, 산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용한(金龍漢) || 20,753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8.82% || 낙선 || ||<|2> {{{#FFFFFF {{{+5 '''2'''}}}}}} || '''[[박옥순]](朴鈺順)''' || '''21,756''' || '''1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51.18%'''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69,860 ||<|3> '''투표율'''[br]62.51% || || '''투표 수''' || 43,674 || || '''무효표 수''' || 1,165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창원시 제9선거구'''}}}}}}[br]{{{#ffffff 자산동, 오동동, 교방동, 합포동, 산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종래(趙鐘來) || 7,927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7.03% || 낙선 || ||<|2> {{{#FFFFFF {{{+5 '''2'''}}}}}} || '''[[정규헌(1967)|정규헌]](鄭圭憲)''' || '''21,394'''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72.9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7,826 ||<|3> '''투표율'''[br]51.77% || || '''투표 수''' || 29,938 || || '''무효표 수''' || 617 || [[마산합포구]]의 인구 감소세에도 불과하고, 도의회 정원이 늘면서 마산합포구의 도의회 의석도 1석이 증가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하여 [[완월동]]이 신설되는 [[창원시 제10선거구]]로 옮겨지게 되었다. [[창원시]]에서 유이하게 도전자로 나서야되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조종래 창의서강학원 원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을 관할하는 박옥순 도의원이 불출마하여 새 후보를 구하여야 한다. 김종식 전 시의원, 이창훈 후보, [[새로운보수당]] 출신 [[정규헌(1967)|정규헌]] 후보가 경선에서 맞붙었으며 정규헌 후보가 승리하였다.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의 텃밭인만큼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진보정당]]에서는 물론,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로 치러진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정규헌 후보가 73% 정도의 득표율을 올리며 창원시 지역 선거구 중 최다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하였다.[* 4년 전 마찬가지로 수성에 성공했던 지역인 [[창원시 제13선거구]]쪽도 이와 비슷한 득표율을 올렸다.] 정규헌 후보는 원도심답게 모든 동에서 70% 이상을 득표하였다. 물론 전통적인 중심 지역인 [[오동동]]에서는 76%를 올려 최다 득표를 하고, 반면 [[교방동]]에서는 70%를 살짝 넘는 등 압세 속에서 표심속에서도 차이가 다소 있었다. [[분류:선거구/경상남도]][[분류:마산합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