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54년 개교]][[분류:창원시의 중학교]][[분류:경상남도의 여자중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의 중학교)] ||<-2> '''{{{#white {{{+1 창원여자중학교}}}[br]昌原女子中學校[br]Changwon Girls' Middle School}}}''' || ||<-2> [[파일:.jpg]] || ||<-2> [include(틀:지도, 장소=창원여자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1954년]] [[3월 7일]] || || {{{#white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white '''성별'''}}} || [[여학교]] || || {{{#white '''형태'''}}} || [[사립]] || || {{{#white '''학교법인'''}}} || 성민육영재단 || || {{{#white '''교장'''}}} || 양승문 || || {{{#white '''교훈'''}}} || 내스스로 알아내자 · 내힘으로 일어서자 · 서로돕고 사랑하자 || || {{{#white '''교화'''}}} || 목련 || || {{{#white '''교목'''}}} || 은행나무 || || {{{#white '''학생 수'''}}} || 682명 (2022년 3월 기준) || || {{{#white '''교직원 수'''}}} || 40명 [* 남 20명, 여 20명](2022년 3월 기준) || || {{{#white '''관할 교육청'''}}} || [[경상남도교육청]] || || {{{#white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로]] 487 ([[서상동(창원)|서상동]]) || || {{{#white '''홈페이지'''}}} || [[http://changwongirl-m.gne.go.kr/changwongirl-m/main.do|학교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창원)]에 위치한 중학교. == 상징 == === 교훈 === > 내스스로 알아내자 · 내힘으로 일어서자 · 서로돕고 사랑하자 === 교가 === || {{{#ffffff '''창원여자중학교 교가'''[br]작사 [[설창수]]/작곡 이용준}}} || || 흘러온 조상들의 더운 핏줄과/ 꽃피던 신라 가야 복된 터전에/ 손손이 반만년의 겨레 깃들고/ 그윽한 천년문화 이룩한 역사/ 우리는 창원여중 배우는 딸들/ 알아내고 일하여 다시 빛내자 || === 교화/교목 === * 교화: [[목련]] [[파일:img_6ec6e480-81e0-4719-8ed1-66daeae8e60f1536804724682.jpg]] 의미- 은혜, 존경, 자연의 사랑, 숭고한 정신, 우애 나무에 피는 크고 탐스런 연꽃인 "목련" 은 청초하고 소박하여 어느곳에서나 자랄 수 있는 강직함과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나무로 창원여중의 자립정신을 상징한다. * 교목: [[은행나무]] [[파일:img_6ec.jpg]] == 학교 특징 == == 학교 대중교통== 학생들은 주로 자가용(부모님) 혹은 버스를 타고 등교한다. 거리가 가까운 학생들은 걸어오는 경우도 많다. 8시 20분쯤이 버스에 학생들이 가장 많이 타는 시간인데 사람이 버스에 탄 건지 버스가 사람에 탄 건지 모르겠다. ==학교 생활== 1. 수업시간 선생님들께서 열정적으로 수업에 임해주신다. 하지만 가끔 연세가 있으신 선생님들께서 오시면 수업과 함께 가끔 잔소리도 덤이다. 아, 물론 잔소리라고 해서 틀린 말씀은 아니다. 하지만 k-잔소리 특징을 누구보다 다들 잘 알 거라 생각한다. 특히 체육시간에 체육 선생님이 총 3명 계신데 그 중 한 분에 대한 소문이 자자하다. 그 한 분과 체육 수업을 하면 잔소리는 덤이오 청소년 체조 대신 체력 단련(스쿼트 20회, 팔 벌려 뛰기 20회)을 한다. 그리고 창원여중 교칙 상 머리를 묶어야하는 것이 맞지만 머리를 잡는 유일한 선생님들 중 한 명이시다. 머리를 푼 상태에서 걸리면 인생 얘기를 듣는다. 그리고 그 선생님께선 참고로 인성부가 아니시다. 2. 학생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1. 문제아 담배, 술, 욕설, 실내에서 마스크 벗기, 수업시간에 자기, 째려보기 등 누가봐도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할만한 말과 행동들만 골라서 한다. 2. 그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