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milynxt.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47 33%,#FFF 33%,#FFF 66%,#de2910 33%)" '''{{{+5 {{{#!html CHANNING "STACKS" LORENZO}}}}}}'''}}} || [목차] == 프로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Channing_LOrenzo_Profile--aa88e46747583949f65ece67b84ca0f5.png|width=340]]}}} |||| ||||<-2>
<#FD5900> {{{#ffffff '''NXT'''}}} || || 링네임 || Jake Tucker [br] Mitchell Lyons [br] Channing Lauren [br] '''Channing "STACKS" Lorenzo''' || || 본명 || Mitchell Lavalley [br] 미첼 라발리 || || 생년월일 || [[1997년]] [[3월 3일]] || || 출신지 || [[미국]] [[인디애나]] 주 로웰 || || 신장 || || || 체중 || || || 별명 || Motherlover [br] '''STACKS''' || || [[피니쉬 무브]] || '''시멘트 슈즈''' || || 주요 커리어 || [[NXT 태그팀 챔피언십|NXT 태그팀 챔피언]] 1회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dnqyJsWfRIA|Overload]] [br] '''[[https://youtu.be/1Lz2i3jApHo|All About Family]]'''[* 토니 디 안젤로 테마. 스테이블로 다니며 같이 사용한다.] || || '''SNS''' || [[https://instagram.com/channing_ww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twitter.com/Channing_WWE|[[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4]]]] [[https://tiktok.com/@channing_wwe|[[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 ||[youtube(1Lz2i3jApHo)]|| == 개요 == 미국 출신의 프로레슬러로, [[WWE NXT]]에서 활동하고 있다. == 커리어 == === 초창기 === 2014년 WWE 쇼 유어 슈퍼스타 콘테스트에서 우승했으며, [[WWE 섬머슬램(2014)]]의 프리쇼 패널에 출연하기 전 WWE 퍼포먼스 센터에서 비디오 시리즈를 제작했다. WWE와의 인연덕에 [[케인(프로레슬러)|케인]], [[나탈리아 네이드하트]], [[타이슨 키드]]에게서도 트레이닝을 받아 기량을 향상시켰다. 인디에선 '''제이크 터커'''로 활동했고, 2019년에 12월 2일 RAW에서 미첼 라이온스라는 링네임으로 등장해 마크 스털링과 같이 [[바이킹 레이더스]]를 상대하는 자버로 출연하며 WWE에서 첫 경기를 가지지만 패한다. 여전히 WWE 입단자체는 쉽지 않았고, WWE와 경쟁중인 [[AEW(프로레슬링)|AEW]]에도 출연하면서 AEW 다크에서 [[프랭키 카자리안]], [[더 블레이드]]에게 각각 패한다. === WWE와 계약 === WWE에서 입단하기 위해 여전히 입단테스트를 받고 있었고, 결국 통과하며 수련생 계약을 맺어 NXT에서 활동하게 된다. 백스테이지 엑스트로 출연하면서 [[벤전스 데이(2022)]]에서 [[그레이슨 월러]]와 같이 등장한 엑스트라 경찰 중 1명으로 출연했다. 4월 8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 데뷔하게 되면서 '''채닝 로렌'''이라는 링네임을 부여받아 [[트로이 도노반]]과 팀을 이뤄 [[안드레 체이스]] & [[보우디 헤이워드]]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트로이 도노반과 팀으로 다니며 [[토니 디 안젤로]]의 밑으로 들어오고 되면서 '''디안젤로 패밀리'''라는 스테이블을 만든다. 이때부터 링네임을 '''채닝 로렌조'''로 변경하면서, 5월 6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 트로이 도노반과 팀을 이뤄 [[단테 첸]] & [[하비에르 베르날]]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24일에는 [[말릭 블레이드]] & [[이드리스 이노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NXT 인 유어 하우스 2022에서 레가도 델 판타스마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패한 팀은 이긴 팀의 멤버로 들어간다는 조건이 추가된다. 인 유어 하우스에서 The Don of NXT가 승리를 거두며 레가도 델 판타스마가 토니 디 안젤로 밑으로 들어가게 된다. 6월 14일에 방영된 NXT에서 트로이 도노반과 같이 [[카멜로 헤이즈]] & [[트릭 윌리엄스]]를 상대하지만 패하고, 파트너였던 트로이 도노반은 3일전에 WWE에서 방출당했다. 7월 1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는 레슬링 입문한지 얼마되지 않안 전직 풋볼 선수 출신의 [[행크 워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토니 디 안젤로에게 절대적 충성을 하고 있고, 7월 12일에 토니 디 안젤로와 같이 말릭 블레이드 & 이드리스 이노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토니 디 안젤로와 같이 크리드 브라더스를 습격하며 26일에 토니 디 안젤로 & [[호아킨 와일드]] & [[라울 멘도사|크루즈 델 토로]]와 같이 [[다이아몬드 마인]]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8월 2일에 토니 디 안젤로와 같이 크리드 브라더스를 상대로 NXT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가지지만 산토스 에스코바르가 복귀하면서 토니 디 안젤로를 공격해 패하고, 호아킨 와일드 & 크루즈 델 토로 & 엘렉트라 로페즈는 산토스쪽으로 다시 달라붙어 버린다. 9월 9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는 [[이케멘 지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13일에 토니 디 안젤로와 같이 [[카메론 그라임스]] & [[조 게이시]]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채닝 로렌조가 [[웨스 리]] 앞에 나타나 토니 디 안젤로의 복수를 하겠다며 10월 11일에 경기가 잡히면서 맞붙지만 패하고, 18일에는 오랜만에 NXT에 등장한 [[나카무라 신스케]]를 상대하지만 패한다. 28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는 덜 숙련된 [[탱크 레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토니 디 안젤로의 부상으로 활동이 불가능해 대부분 경기는 채닝 로렌조가 나서서 하고 11월 1일에 메인로스터로 콜업되지 못한 엘렉트라 로페즈가 다시 토니 디 안젤로 밑으로 들어간다. 8일에 채닝 로렌조는 행크 워커를 상대로 또 승리를 거두고 18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는 [[오로 멘사]]를 상대로 토니 디 안젤로의 도움으로 승리를 거두고, 12월 2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는 새롭게 데뷔한 [[테비언 하이츠]]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13일에 백스테이지에서 웨스 리와 난투극을 벌이면서 경기로 이어지지만 패한다.27일에 토니 디 안젤로가 웨스 리를 상대로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지만 패하고, 도중에 채닝 로렌조는 [[다이작(프로레슬러)|다이작]]에게 납치당한다. 2023년 1월 3일에 경기가 확정되지만 다이작에게 패하고, [[뉴 이어스 이블(2023)]]에서 토니 디 안젤로를 돕기위해 나서지만 다이작이 모든걸 눈치채면서 채닝 로렌조까지 처리하며 다이작에 의해 팔에 수갑이 체워지고, 토니 디 안젤로는 채닝 로렌조의 도움도 못받은채 다이작에게 패한다. 2월 7일에 [[오디세이 존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3월 7일 특집으로 벌어진 [[WWE 로드블록(2023)]]에서 다이작 VS 토니 디 안젤로의 제일하우스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에서 다이작을 방해해 토니 디 안젤로의 승리를 돕는다. 28일에 방영된 NXT에서 토니 디 안젤로와 같이 [[조쉬 브릭스]] & [[브룩스 젠슨]]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토니 디 안젤로는 채닝 로렌조와 같이 NXT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노리기 시작하면서 NXT 스텐드 & 딜리버 2023에서 [[갤러스]]를 포함해 크리드 브라더스까지 포함된 트리플 쓰렛 매치로 NXT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지만 갤러스가 승리를 거두면서 패한다. 이후 백스티이지에서 [[프리티 데들리]]가 하는 말에 발끈하면서 마찰이 생기고 4월 4일에 프리티 데들리와의 경기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11일에 프리티 데들리를 습격하며 납치하는 행동을 하지만 프리티 데들리가 탈출하면서 난투극으로 이어지고, 25일 특집으로 열리는 [[NXT 스프링 브레이킨(2023)]]에서 두 팀간의 경기가 확정되는데, 여전히 페어플레이보다 무기사용 가능한 경기를 원하는 토니 디 안젤로에 의해 스프링 브레이킨 당일 벌어질 경기가 트렁크 매치로 될거라고 하면서 경기는 더 패밀리가 승리를 거둔다. 토니 디 안젤로 & 채닝 로렌조는 프리티 데들리를 처리하면서 다시 갤러스의 NXT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노릴 준비를 한다. 토니 디 안젤로가 구속되면서 혼자서 갤러스와 대립을 이어나가면서 5월 30일에 [[조 코피]]와 맞붙지만 실력차이로 패한다. 토니 디 안젤로가 수감되있는 동안 혼자 활동하는 채닝 로렌조는 6월 16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는 하비에르 베르날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토니 디 안젤로를 감옥에서 빼내기 위해 혈안인 채닝 로렌조는 토니 디 안젤로를 경찰에 신고한 범인으로 조 코피를 의심하면서 그를 습격하고 납치한다. 23일에 방영된 NXT 레벨 업에서는 [[케일 딕슨]]과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둔다. 조 코피는 토니 디 안젤로가 수감된 감옥에 가서 스마트폰에 녹음된 내용을 들려주면서 범인이 아님을 증명하자 토니 디 안젤로는 채닝 로렌조가 자신에게 뒷통수를 치고 있음을 의심한다. 7월 11일에 토니 디 안젤로의 교도소 석방이 걸린 조항으로 조 코피와 맞붙어 승리를 거두며 토니 디 안젤로를 교도소에서 빼낸다. 25일에 토니 디 안젤로와 같이 [[브롱코 니마]] & [[루시엔 프라이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디 안젤로 패밀리는 NXT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2023에서 갤러스와 NXT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새로운 NXT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커리어를 만든다. 8월 1일에 토니 디 안젤로 & 산토스 에스코바르와 팀을 이뤄 갤러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스키즘(스테이블)|스키즘]]이 본격적으로 디안젤로 패밀리의 NXT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노리며 시비를 걸면서 8월 15일에 다이애드가 디안젤로 패밀리를 상대로 NXT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둔다. 29일에 [[스트리트 프로피츠]]가 NXT에 나타나면서 NXT 태그팀 챔피언 자리에 도전할려고 한다. 디 안젤로 패밀리는 도전자를 물색하면서 NXT 노 머시 2023에서 크리드 브라더스, [[로스 로사리오즈]], 아웃 더 머드(브롱코 니마 & 루시엔 프라이스)와 페이탈 4 웨이 방식으로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면서 승리를 거둬 가까스로 챔피언 자리를 방어한다.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자를 물색하다가 [[코디 로즈]]와의 대화를 통해 넘버 원 컨텐더 배틀로얄 우승팀과 맞붙는걸로 하면서 [[체이스 유니버시티]](안드레 체이스 & [[듀크 허드슨]])가 도전자로 오르면서 [[NXT 할로윈 해벅(2023)]]에서 NXT 태그팀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내준다. == 기타 == * 톰 프리처드의 제자이다. * [[아리아나 그레이스]]와 교제하고 있다. 결혼에 골인한다면 [[산티노 마렐라]]의 사위가 될 예정이다. [[https://64.media.tumblr.com/ee0ab48e1f8e5e1abed0a3753d5d29fa/e526238a629e98f4-91/s1280x1920/8e260af3cbc9daffa68730752d4e2e2816d3ff0a.jpg|링크]] == 둘러보기 == [include(틀:토니 디 안젤로 패밀리)] ||||||||||
<:><#000000> [[파일:v2T9qSqP_400x400.jpg|width=50]] {{{#FFFFFF '''슬램 레슬링 어워드 선정 올해 최악의 NXT 남성 태그팀'''}}}|| ||<:><#fff>{{{#000000 창설}}}[br]|| {{{+1 → }}} ||<#FFFFA1><:>'''{{{#000000 [[트로이 도노반|{{{#000000 트로이 도노반}}}]] & 채닝 로렌조 [br](2022)}}}'''|| {{{+1 → }}} ||<:><#fff>{{{#000000 -[br](2023)}}}||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