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 蔡松年 ? ~ [[1251년]]([[고종(고려)|고종]] 38) [목차] == 개요 == 고려의 인물. 동주 평강현(오늘날의 [[강원도]] [[평강군]]) 출신으로 시호는 경평(景平)이다. [[평강 채씨]]의 중시조이다. == 생애 == 고려 [[명종(고려)|명종]] 때 어전의 행수(行首)로 낭장에 임명되나 본인의 직함은 바꾸지 않은 채로 둔다. [[최충헌]]이 왜 새 직함으로 바꾸지 않았느냐고 물어도 대답하지 않는다. 곁에 있던 사람이 "그의 아버지는 지금 참직(6품 이상 벼슬)에 임명되지 않았는데, 만약 직함을 바꾸고 조로(朝路)에 나가면 그 아버지가 멀리서 보다가 아들인 줄 모르고 하마해 피해갈 것을 염려하는 것입니다."(其父今未拜叅, 若改銜出朝路, 恐乃父望見, 不知其子而下馬避走耳.)라고 대신 그 이유를 답한다. 고려시대의 법제에는 두 관료가 말을 타고 가다 길에서 마주치면 벼슬이 더 낮은 쪽이 말에서 내리거나 피해가야 하는 피마(避馬)의 규정이 있었다. 그 말을 들은 최충헌은 채송년이 의로운 사람이라고 여겨 그 부친에게 참직의 벼슬을 주는데 채송년의 손자 채인규의 묘지명에 따르면 종5품 벼슬인 태묘서령. 채송년 본인도 최충헌 덕에 고위 관직을 두루 역임한다. 고종 15년(1228) 병마사에 있을 때 [[압록강]]가의 청새진(淸塞鎭)이 용주(龍州, [[평안북도]] [[용천군]])와 더불어 반란을 일으키려 한 정황을 조사한다. 채송년이 추궁한 끝에 청새진의 호장이 반란을 부추기는 [[동요]]를 만든 정황이 드러나 호장을 처형한다. 고종 17년(1230) 최충헌의 막내아들 최향이 정권 탈취를 위한 반란을 일으킨다. 병마사 채송년은 지병마사 왕유, 부사 김의열과 함께 파견돼 10영(領)(1영=1,000명이니 10영은 약 1만여명)의 군사를 이끌고 토벌한다. 최향은 북산으로 도망갔다가 끝내 잡혀 옥에 갇힌다. 고종 18년(1231) [[여몽전쟁|몽골의 제1차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북계병마사로 임명된다. 집권자 [[최우]]의 집에서 열린 재상 회의에서 결정된 안건으로, 채송년은 9월에 각도(道)에서 삼군을 모집해 출병한다. 삼군은 음력 10월에 구주(龜州) 안북성(安北城)에 주둔해 농성한다. [[안북성 전투]]에서 후군진주 [[대집성]] 등이 활약 --트롤링-- 하나 결국 참패한다. 고종 23년(1236) 승선(承宣)직에 있을 때 내전에서 연회가 열린다. 채송년은 고종에게 복야 송경인이 [[처용무]]를 잘 춘다고 아뢰는데, 송경인은 부끄러운 내색 없이 춤을 춘다. 둘은 이 해에 같이 추밀원부사에 임명된다. 고종 38년(1251) 음력 윤10월 28일, 양력 12월 12일에 죽는다. 사망 당시 관직은 [[중서시랑평장사]]였다. == 가족관계 == [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 부: 채영 * 모: 무주 지씨[* [[견훤]]의 사위인 [[지훤]]의 후손.] * '''본인: 채송년''' * 아들: 평장사 채정 * 며느리: 상장군 유창서의 여식 유씨 * 손자: 도첨의중찬 채인규 * 손부: 최영(崔瑛)의 여식 [[우봉 최씨]] * 증손자: 삼사사 채우 * 증손자부: 감찰시승 이병의 여식 [[연안 이씨]] 채송년의 부친 채영(蔡泳)은 시(試)태묘서령을 지낸다. 아들 채정은 감문위 상장군 유창서(劉昌緖)의 딸과 결혼한다. == 대중매체에서 == 실제 역사에서는 동선령 전투에서 승리한 명장이나, 드라마 [[무신(드라마)|무신]]에서는 이상하게도 졸장으로 나왔다.[* 동선령 전투도 패한 것으로 각색됨] [[분류:고려의 군인]][[분류:평강군 출신 인물]][[분류:평강 채씨]][[분류:125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