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무림의 세력)] [목차] == 개요 == 天山派 대막(大漠)으로 불려지는 고비사막의 북쪽 경계를 이루는 천산산맥에 자리하고 있는 비운의 문파. 산 정상에는 큰 호수가 있어 이를 천지(天池)가 부르는데, 왕모낭랑(王母娘娘)이 목욕을 하는 요지(瑤池)가 바로 여기라는 전설이 있다. == 상세 == 유려한 신법경공과 쾌검을 장기로 삼는 문파. 빙공이나 그에 버금가는 한음기공을 익혔다는 설정이 주류를 이루며 문파의 절기로는 천금검법(天禽劍法)과 칠금신법(七禽身法)이 유명하다. 천산피 장문인의 신물이나 천산파의 귀물이 천산비조(天山翡鳥)나 천산금붕(天山金鵬), 천금신검(天禽神劍)이라 하는데 작품마다 다르고 또 천산파가 잘 등장하질 않아 거의 사장된 설정이다. 천산파의 정예는 칠금검수(七禽劍手)라 불린다. [[김용]] 작, [[서검은구록]]에서 천산쌍응(天山雙鷹)이라고 불리는 천산파의 부부 고수인 독취(禿鷲) 진정덕과 설조(雪雕) 관명매, 이 둘의 제자인 곽청동이 등장한다. 삼분검술(三分劍術)을 사용하며, 진정덕은 추혼탈명검이라 불리며 작중 최고수 중 하나로 손꼽히는 무진도인과 맞수를 이룰 정도로 대단한 고수로 표현된다.[* 관명매 또한 이들에 준하거나 동급의 고수로 짐작된다.] 또한 [[천룡팔부]]의 등장인물 [[천산동모]]가 주인으로 있는 영취궁(靈鷲宮)이 천산 표모봉(缥缈峰)에 위치하고 있다. 칠검하천산(七劍下天山)을 필두로 한 양우생의 소설에는 대부분 천산파가 중요한 문파로 나오는데 비해, 김용의 소설 중에서 온전한 천산파가 나오는 것은 서검은구록이 유일하다. 이밖에도 소슬의 벽안금붕 등에서 천산파가 등장한다. 중국 및 대만에선 천산파의 비중이 꽤 높지만 유독 한국에서는 코빼기조차 보이지 않는데 천산은 사실상 새외나 마찬가지이며 [[마교]]가 높은 확률로 천산 아니면 십만대산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천산에 개파하면 자살행위나 다름없는 것이다. [[곤륜파]]보다도 난감한 상황에 몰릴 수 있다. 아예 새외세력으로 취급되어 천산 비조궁(天山 飛鳥宮), 천산빙궁(天山氷宮), 금시천궁(金翅天宮)의 삼궁(三宮)이 연합하여 이룬 것이 천산파란 설정도 존재한다. 문파의 처지가 오갈데 없는지라 설정 대부분이 설산파로 넘어가 애초에 이 문서가 [[설산파]]의 문서라고 볼 수 있다. == 무공 == * 천금검법(天禽劍法) * 칠금신법(七禽身法) * 삼분검술(三分劍術) * 신조장법(神鳥掌法) * 쇄홍검법(碎虹劍法), 천홍검법(穿虹劍法), 백홍검법(白虹劍法) * 천붕신권(天鵬神拳) [[분류:문파]][[분류:정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