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천안삼거리는 조선시대 때부터 경상도, 전라도와 서울을 잇는 주요 길목이었다. [[경부고속도로|대전 - 대구 - 부산]]으로 이어지는 [[경상도]] 방면, [[논산천안고속도로|논산]] - [[호남고속도로|전주 - 광주]]로 이어지는 [[전라도]] 방면 도로가 천안삼거리에서 갈라지고 합류하여 북쪽으로 서울까지 이어졌다. 경기민요 흥타령이 "천안 삼거리 흥~"으로 시작하고,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수록될 정도로 유명하기 때문에 아예 이 민요의 제목이 [[https://youtu.be/wWFhy1UmHSE|천안삼거리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이 곳 공원에서 벌어지는 축제 이름도 천안흥타령춤축제다. == 역사 == 시가지가 확장되고 교통량이 늘어남에 따라, 도로의 확장·직선화가 이루어졌는데 이로 인해 천안삼거리의 기능이 현재의 삼룡사거리로 옮겨가면서 본의 아니게 사거리가 되어버렸고, 과거 천안삼거리였던 자리에는 현재 [[천안삼거리초등학교]]가 들어서 [[길막|길목을 막아버렸다]]. 과거에는 [[1번 국도]]와 [[21번 국도]]가 [[천안역]] 앞에서 합류해 이곳에서 분기했었다. 현재의 '''[[천안JC|천안 분기점]]'''에서 [[경부고속도로|경상도]], [[논산천안고속도로|전라도]]방면으로 갈라지는데 과거의 천안삼거리와 비슷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원래 천안삼거리가 위치한 곳이랑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당진청주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사거리가 되었다. [[천안삼거리휴게소]]도 있는데 [[양재IC|서울]] 방향에만 있다. 철도판으로는 [[경부선]]과 [[장항선]]([[호남선]]과 연결)이 만나는 [[천안직결선]]과 경부선과 호남선이 분기하는 [[대전조차장역]]이 있다. == 천안삼거리공원 == 천안삼거리 인근에는 천안삼거리 공원이 있으며 공원과 박물관, 공연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천안흥타령축제 행사를 이곳에서 개최하기도 한다. 2021년 12월부터 총공사비 570억원을 3년간 투입하는 천안삼거리공원 재개발공사를 시작하였고 2024년 말에 전면 재개장 예정이다. === 연계 교통 === * 천안박물관 / 원삼거리 하차 * [[천안시 시내버스]] [[천안 버스 12|12]], [[천안 버스 70|70]], 390, 391, [[천안 버스 700, 701, 702, 710|700, 701, 702, 710]], [[천안 버스 720|720]], [[천안 버스 730|730]] * 천안동중학교 / 천안삼거리공원 하차 * [[천안시 시내버스]] [[천안 버스 24|24]], 310, 381, 382, 383, [[천안 버스 400, 401|400, 401, 402]], 500, 512, 530, 531, 540 == 기타 == 이것을 어원으로 삼고 있는 건 상술된 천안삼거리공원과 [[천안삼거리초등학교]], [[천안삼거리휴게소]], 천안삼거리가구단지, 천안삼거리육교 등이 있다. 근방 상호 이름에도 "천안삼거리" 혹은 "삼거리"로 많이 들어간다. [[분류:천안시]][[분류:1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