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천안시)] [include(틀:천안시의 교통)] [목차] [clearfix] == 개요 == 예로부터 민요로도 유명한 [[천안삼거리]]가 존재하여 옛 도로인 삼남대로(호남과 영남 방향)가 갈라지던 교통의 요지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으로의 식량 자원 수탈이라는 측면에서 [[호남선]]이 대전에서 분기되었고 [[대전광역시|대전]]이 교통의 결절점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교통의 이점을 통해 대전이 충남 제1의 도시로 성장하면서 [[호남고속도로]] 역시 대전의 [[회덕JC|회덕 분기점]]에서 분기하는 등 [[천안삼거리]]로 대표되는 교통의 요지라는 속성은 다소 퇴색되기도 했지만 2000년대 이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천안 연장과 [[논산천안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다시 천안은 교통 요지로서의 위세를 되찾았다. 현대판 천안삼거리라고 말할 수 있는 [[천안JC|천안 분기점]]은 향후 [[아산청주고속도로]]의 천안 - 아산 구간의 분기점과도 연결되어 그 기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교통 입지 덕분에 2004년에는 '''행정수도 후보지''' 4곳 중 하나였으나 (정확히는 충남 천안시 [[목천읍]]과 [[성남면]]·[[북면(천안)|북면]]·[[수신면]] 일원) 어찌된 이유에선지 탈락했다.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04061570410#Redyho|#]] 다만 명절같이 교통량이 폭증하는 기간에는 천안시계에 들어와서 나가는데만 2시간 이상 소요될 정도로 극심한 정체에 시달린다. 이는 [[삼남]]지방에서 올라온 교통량들이 합류하는 이 구간의 차선수가 하필 편도 5차선에서 4차선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경부고속도로]] [[청주JC|청주]] - [[천안JC|천안]], [[논산천안고속도로]] [[공주JC|공주]] - [[천안JC|천안]] 구간이 주말만 되면 상습적으로 막히며, 이로 인해 [[남이JC|남이 분기점]] 까지 경부고속도로를 확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게다가 [[서해안고속도로]]의 만성 정체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 아산 예산 지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천안에서 빠져서 가는 것이 좋을 때도 있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철도의 경우, [[천안아산역]]이 인근 [[아산시]]에 있어 KTX, SRT, 일반열차, 수도권 전철을 이용하기 수월하다. 그리고 [[천안역]], [[성환역]]에서도 고속열차를 제외한 철도 이용이 가능하다. 사실 서울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대구 - 밀양 - 부산으로 이어지는 경부선 라인에 속해 전국에서 손꼽히는 철도 강세 지역이다. 때문에 [[고속버스]] 노선은 65만 인구의 대도시지만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대전복합터미널|대전]], [[유스퀘어|광주]] 노선밖에 없다. 서울경부의 경우 [[동양고속]]이 시외우등 [[똥차]]를 집어넣는 중. 다만 서울경부 노선의 경우 안 밀리면 야우리 터미널에서 강남(반포) 고속터미널 간에도 일반열차(새마을 & 무궁화)와 비슷한 1시간 내외가 걸리고, KTX, 일반열차, SRT와 비교했을 때 비교우위가 있는 측면이 분명히 있다. KTX와 일반열차는 ([[영등포역]] 및) [[서울역]]/[[용산역]]으로 가고, SRT는 [[수서역]]으로 가는데, 영등포역/서울역/용산역/수서역에서는 다소 걸리거나 환승을 여러 번 해야 하는 일종의 사각지대지만 고속터미널역에서는 접근이 편한 7-9호선 연선(동작, 강남권 북부, 강남대로 라인(양재역 제외), 광진, 중랑 등) 지역이 목적지일 때는 버스가 나을 수 있다. == [[철도]] == ===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 * [[천안역]], [[성환역]] 비록 [[경부선]]만이 천안을 지나지만, [[천안역]]에서 [[호남선]], [[경전선]], [[전라선]], [[충북선]]상을 운행하는 열차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이외에 [[예산역|예산]], [[홍성역|홍성]], [[대천역|대천]], [[군산역|군산]] 등 충남 서부권 주요 지역을 경유하는 [[장항선]]이 [[천안역]]에서 분기한다. 이후 [[경부고속도로]]가 개통하였고, 2002년 [[논산천안고속도로]]가 개통하여 기존 [[호남고속도로]] 대전 - 논산 구간을 대체하여 마침내 교통 요충지로서의 명예를 되찾게 되었다. 2003년 [[KTX]] [[경부고속선]]의 [[천안아산역]]이 인근 [[아산시]]에 건설되어 천안에서도 고속철도 이용이 수월해졌다. 또한 고속철도 개통으로 인해 [[김포국제공항]]과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시간이 대폭 감소되었다. 관광열차도 [[S-train]], [[G-train]][*주의! [[천안역]]이 아닌 [[천안아산역|아산역]]에서 타야 한다! (G-Train은 천안역을 정차하지 않는다) 그냥 KTX 타러 간다고 생각하자.]을 이용할 수 있는 등 관광열차를 이용하는 데도 무리가 없다. 일반열차로 [[천안역]]에서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역]]까지는 대략 55분 ~ 7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고속열차는 [[서울특별시|서울]]까지 최단 25분이면 주파할 수 있다. 이는 [[천안아산역]]에서 [[수서역]]까지 가는 무정차 [[SRT]]를 타면 가능하다. [[용산역|용산]]행 [[KTX]]는 약 32분, [[서울역|서울]]행 [[KTX]]는 약 35분의 최단시간이 소요된다. [[천안아산역]]은 서울과 호남지역을 최단거리로 이어준다는 점에서 [[호남고속선]]의 분기점 후보지중 하나였는데, 전체 승객수가 많고 건설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대전역]]과 경쟁했지만 정작 분기점은 정치적 의사결정과 지역이기주의의 결합으로 인해 [[오송역]]이 차지하게 되면서 [[천안삼거리|조상들의 지혜]]를 활용하지 못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송역/비판|오송역/비판]] 문서를 참고. === [[수도권 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성환역]] - [[직산역]] - [[두정역]] - [[천안역]] - [[봉명역]] - [[쌍용역]] - [[천안아산역|아산역]]([[아산시]]소재) 2005년 [[경부선]] 구간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평택 방면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역]] 구간이 개통[* 이로써 수도권 1호선은 수도권 전철 최초로 비수도권까지 연결된 노선이자 충청권 최초의 전철 노선이 되었다.], 2008년 말 천안 - 봉명 - 쌍용 - 아산역이 개통하였다. KTX 천안아산역은 [[아산시]]에 위치했지만 역사 부지가 약간은 천안에 걸쳐 있어서 천안에 KTX가 들어온다고 하는게 말이 되지만, 일반열차, 광역전철 정차역인 아산역의 경우는 역 부지 전체를 [[아산시]]에 위치해서 장항선이 들어온다고 하기에 조금 난감하다. 다만 두 역사는 행정구역만 [[아산시]]일 뿐이지 아산시 외곽인 [[배방읍]]에 있고, 두 역사가 천안 시내권인 불당동에 바로 붙어있어서 천안시민들이 더 많이 이용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천안아산역#s-2.1|천안아산역]] 항목을 참조하자. 수도권 전철이 들어선 이후, 특히 명절 때 전철을 이용해 천안종합터미널에서 시외/고속버스를 이용하는 수요가 많아 귀성/귀경 열차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상습적으로 정체를 빚는 서울 - 천안 간 고속도로 구간을 피해 빨리 오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표를 구하기에도, 서울에서 천안 이남의 지역으로 한 번에 가는 표는 매진이 되었어도 천안에서 그곳으로 가는 표는 남아 있는 경우가 많기에, 천안(천안역이나 두정역)까지는 예매가 필요 없는 전철로 내려오고, 거기서 천안 시내버스를 타고(여차하면 걸어갈 수도 있을 정도로 먼 거리는 아니다. 두정역에서나 천안역에서 각각 모두) 터미널에 도착한 다음 버스 시간에 따라 시간이 다소 남으면 터미널 근처에서 식사를 할 수도 있고.[* 심지어 최근에는 천안-세종-대전까지 시내버스를 릴레이를 이용하여 [[대전복합터미널]]로 와서 환승하는 경우도 있다. 영남, 호남권 등지에서는 대전부터는 거의 안밀리기 때문에라 --카더라--] 평택, 송탄, 오산, 수원, 안양, 서울 등지를 오가는 승객들이 이용하며, 천안시내 및 천안-온양간의 이동목적으로 탑승하는 사람들도 비교적 있는 편이다. 버스보다 배차간격이 길어서 많이는 없지만 시내버스의 창렬요금과 전철의 빠른 소요시간 덕분에 늘고있는 추세. 2022년 3월 19일 이후부터 천안형 환승할인 제도가 시행되어 시내버스와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전철 기본운임만큼 할인해주는 형태로, 시내버스 환승 시 성인 기준 250원의 추가요금이 부과된다. 다만 아산의 경우 천안과 달리 오직 전용카드로만 할인적용되는 충남형 환승할인제로 광역 전철-시내버스 간 3회까지 환승(4회 탑승) 할인을 제공 받는다. === [[천안 경전철|도시철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천안 경전철)] 한때 수도권 1호선 [[두정역]]과 [[천안아산역|아산역]]을 경유하며 천안시내를 순환하는 경전철 노선의 건설이 논의되기도 했으나, 국제비즈니스파크 사업 실패와 천안시의 부채증가 등으로 사업 계획이 철회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187096|천안 경전철 건설 물 건나 가나]], 2011-10-11, 한국일보] == 버스 == === [[천안종합버스터미널|시외버스/고속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천안종합터미널)] [[천안종합버스터미널]]은 [[신부동]]에 위치한 터미널로 '''충남도에서 가장 큰 종합버스터미널'''이다.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이 하차장 하나를 두고 나뉘어져 있는데, 시외버스 노선이 많은 관계로 시외버스터미널이 고속버스터미널보다 큰 편이다. [[시외버스]] 노선은 [[신세계(기업)|신세계]] 충청점 지하에 있으며, 이는 옛 야우리백화점을 흡수한 것이다. [[야우리]]는 터미널 측이 직접 운영한 백화점으로 젊은층을 주 타겟으로 하였으며, 신세계에 흡수된 뒤에도 터미널 주변 상점가는 [[대구광역시]] [[반월당]]처럼 '야우리'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천안시의 대표적인 번화가 기능을 하고 있다. 고속버스터미널은 시외버스터미널 서쪽에 별도의 건물로 있다. 천안에서 철도 이용도 편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고속버스]], [[시외버스]] 이용도 편하기 때문에 철도 강세 지역이긴 하나 버스 노선을 다 죽여버리는 그런 지역은 아니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시외버스 서울경부-천안|노선]]이 5~15분, [[동서울터미널|동서울(강변)]][[시외버스 1312|(장지역,가락시장,잠실역 경유) 노선]]이 15~20분에 한대로 자주 다니는 편이고 인천, 수원, 성남 등 기타 수도권 도시로 가는 버스들도 자주 다니는 편. 특히 [[대전복합터미널|대전]]은 [[시외버스 천안-대전복합|약 50회]] 운행되고, [[청주시외버스터미널|청주]]도 15~20분 간격으로 상당히 자주 다니며, 기타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 [[유스퀘어|광주]],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대구]],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포항터미널|포항]],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 등 전국 주요 도시로 가는 노선들은 거의 있고,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과 천안을 오가는 노선이 많아서 [[충청남도]]의 시외버스 거점 역할 또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구 64만 도시 규모 치고는 전국 각지로의 이동이 비교적 편한 편이다. 2019년 5월 1일부터는 [[프리미엄 고속버스|프리미엄 시외버스]]가 일 1회 다니기 시작했다! 근데 그 노선이 [[KTX]]가 정통으로 뚫어주는 곳인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시]]와 [[마산시외버스터미널|구 마산시]]로 가는 노선이다.(...) 참고로 [[아산 버스 990|990번]]을 타면 터미널에서 천안아산역까지 단거리로 뚫어준다. 터미널에서 백석동으로 직행해 불당동을 거치는 노선이다.[* [[천안 버스 13|13번]]도 있지만 이건 중앙도서관-남부오거리-충무병원-현대향촌-신방초원-천안아산역 이렇게 심히 돌아가서 간다. 시간이 잘 맞으면 [[천안 버스 493|493번]]을 타고 가자. 배차 간격은 3시간이 넘지만 타이밍만 잘 잡으면 급행 버스의 위력을 보여준다. --13번: 36~45분, 990번: 33~40분, 493번: 22~30분--] 학생증(중/고/대학교)을 제시하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천안 고속버스를 5,000원(심야 5,400원/우등 6,400원/심야우등 7,000원)에 이용가능하다. 전국 어느 학교 학생증이든 상관없으니 많이들 이용하시길. 평일/주말 상관 없이 가능하다. 앱 예매시에도 가능. 중고생/대학생은 각각 구분되어 있지만, 요금은 같다. ==== [[성환버스터미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성환버스터미널)]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에 위치한 시외버스 터미널로 천안시, [[아산시]], [[평택시]]등 [[시내버스]]의 차고지 역할까지 한다. ==== [[쌍용동정류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쌍용동정류소)] 충남 서부권으로 향하는 대부분의 [[시외버스]] 노선들은 쌍용동을 거쳐가는데, 쌍용동 일대 주민들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노선들이 정차하는 쌍용동정류소가 있으며 [[충남고속]]에서 운영한다. ==== [[병천정류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병천정류소)] 천안발 [[진천군]] 및 [[충북혁신도시]]로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중간 정류소이다. 이 외에도 진천행 시외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소로는 독립기념관, 목천, 동면, 덕성리정류소가 있다. 그리고 병천면에 있는 코리아텍정류소에서는 증평-충주-영주-안동행 시외버스를 탈 수 있다. ==== 천안3공단정류소 ==== [[탕정면]] ↔ [[선문대]] ↔ 천안3공단 ↔ [[서울고속터미널|서울]][* 원래 [[서울남부터미널|남서울]]에서 시외버스로 운행하였다가 고속으로 전환되고 종점이 변경되었다. ] 구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천안IC]]를 지나기 전에 [[백석동(천안)|백석동]] 이마트서북점 앞에서 정차하여 승하차하는 간이정류소다. 서울방면의 경우 아산에서 건너와 고속철대로-번영로를 타고 성성고가로에서 이마트서북점을 끼고 우회전한다. 정류장은 시내버스 정류장과 공동사용하고 있다. 하루 4회 운행되고 있다. 다만, 탕정 방향 하차 정류장은 성성고가로에서 [[천안시청]]방향으로 좌회전하면 바로 나타나는 "산업단지공단입구" 정류장이다. ==== 천안TG.단대.천안대 정류소 ==== [[동서울터미널|동서울]] ↔ [[가천대학교|가천대]] ↔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 ↔ [[아산시외버스터미널|아산]]을 운행하는 버스가 [[천안IC]]에서 나온 후 도솔광장 앞에 정차하여 하차만 가능한 정류소이다. 도로 구조상 위험하기 때문에 승차할 때는 천안종합터미널까지 가야 한다. 일부 시간대 서울고속, 안성, 수원 등에서 오는 노선도 여기서 하차 가능하나, 서울남부, 성남, 청주, 대전복합, 안산, 용인 등에서 출발해서 오는 차량은 터미널까지 무정차 통과한다. === 시내버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천안시 시내버스)] [include(틀:천안시 시내버스)] 하늘[天]아래 편안한[安] 땅 [[천안시|천안]]이라고들 하지만 시내버스는 전혀 편안하지 못하다. 버스 요금도 전국 최고 수준으로 높은 편이고 신뢰감 및 만족도가 바닥을 기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 버스 탈 때 꼭 손을 들어야 한다. 그런데 가끔 들어도 지나친다...][* 같은 충청도인 [[대전시]]는 물론, 같은 충청도의 어느 시나 군 지역 아니 전국을 통으로 봐도 이곳만큼 최악 시내버스는 없다. 아니지 애초 이곳을 비비는 게 실례이자 [[명예훼손]] 고발감이다. 이곳하고 비빌 만한 곳은 현재 기준으로 [[협진여객]][* 과거엔 [[김포운수]]와 [[태화상운]]도 해당되었으나, [[경기도 공공버스]] 시행 후 완화된 편이다.] 밖에 없다.] --賤贋[* 천하고 옳지 못한]시내버스-- === 마을버스 (폐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용곡동마을버스)] [[천안시]]의 유일한 [[마을버스]] 노선이었으나 [[용곡동마을버스]]에서 운영하다 적자 누적을 이유로 [[2020년]] 폐지되었다. == 택시 == ||<-2> [[파일:천안시 CI_White.svg|width=25]]{{{#ffffff '''충남 천안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3,3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0초/115m) || || 심야 및 시계 외 할증 20% || || 택시 호출료 1000원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목천IC|목천 나들목]], [[천안IC|천안 나들목]], [[북천안IC|북천안 나들목]]), [[논산천안고속도로]]([[남풍세IC|남풍세 나들목]], [[남천안IC|남천안 나들목]])가 있으며, [[세종포천고속도로]], [[아산청주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다. === [[국도]] === [[1번 국도]], [[21번 국도]], [[23번 국도]], [[34번 국도]], [[43번 국도]]가 있다. 국도별 역할은 다음과 같다. * [[1번 국도]]: 세종에서 천안 시가지 동쪽을 지나 [[성환읍|성환]]을 거쳐 평택으로 넘어간다. 전 구간 왕복 4차로 이상이며 국도 번호처럼 전통의 간선도로이기 때문에 교통량이 많으며 명절에는 경부고속도로와 같이 미어터진다. * [[21번 국도]]: 아산에서 천안시내 남쪽을 훑고 [[목천읍|목천]], 병천을 지나 진천으로 넘어간다. [[병천면]]까지는 4차로 이상의 우회도로가 다니고 있다. 그 이후부터 진천 방향으로는 현재는 왕복 2차로이며, [[동면(천안)|동면]]에서 진천 구간은 현재 선형 개량 작업 중이다. 아산을 잇는 도로이기 때문에 교통량이 대단히 많으며, 시내 원도심 지역들을 우회한 지금도 교통량이 줄지는 않고 있다. 우회를 했는데, 오히려 그 주변으로 대규모 택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 [[23번 국도]]: 1번 국도와 중첩된다. * [[34번 국도]]: 천안 북쪽을 동서로 관통한다. 아산 [[둔포면|둔포]]에서 넘어와서 성환, [[입장면|입장]]을 거쳐 진천으로 넘어간다. 입장까지는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으나, 입장에서 진천으로 넘어가는 길은 엽돈재를 넘어가는 매우 험한 길이다. 현재 해당 구간은 우회 및 확장 공사 중. * [[43번 국도]]: 세종에서 넘어가 [[풍세면]]을 관통하여 [[아산시|아산]]으로 넘어간다. 이 도로는 경부고속도로의 우회 국도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천안을 관통하는 트래픽 분산에 많은 도움을 준 국도이다. 전 구간 왕복 4차로 이상. === 시내도로 === 전국적인 맥락에서는 주요 국도에 고속도로, 간선철도에 고속철도까지 지나기 때문에 시외 교통망은 잘 발달되어 있지만, 의외로 시계 교통망은 인구 60만의 대도시라고 보기에는 다소 민망할 정도로 중구난방이다. 교통망이 제멋대로인 이유는 도시개발계획이 그럴듯하게 세워졌다가도 툭하면 뒤집어지기 일쑤인데다, 장기적으로 이동 수요를 내다보지 않은 채 주요 교통로를 시공한 탓에 이러저러 난개발까지 불러왔기 때문이다. 불당신도시나 성성신도시의 경우 애당초 기초적인 이면도로도 없던 나대지를 뜯어 고친 곳이기 때문에 교통망이 제법 모양을 내고 있지만, 천안역 주변의 천안 원도심이나 어느 정도 개발이 진행된 백석동이나 부성동만 봐도 흡사 [[사이타마시]]의 한 지역을 보는 것과 같다. 무엇보다 2008년 금융 위기가 어느 정도 해소된 이후,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차리면서 천안시로 인구가 급속하게 유입되면서 문제는 시작됐다. 몇 년 가까이 허허벌판이었던 불당신도시가 개발되자 번영로와 고속철대로 일대는 왕복 9-10차로의 대로임에도 불구하고, 언제 그랬냐는 듯 출퇴근시간과 주말에는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혼잡한 교통 흐름을 보이게 되었고, 왕복 6차로 규모의 백석로는 이전에도 음봉, 탕정 방면으로 오가는 수요가 많아서 항상 차들이 많았는데 더 막히게 되었다. 백석로와 톨게이트를 잇는 동서대로 역시 후폭풍으로 과거 대비 교통량이 상당히 많아진 것을 체감할 수 있다. 특히, 성성대로와 기존도심을 가르는 [[삼성대로]]에서 유일하게 평면신호교차하는 북부지하도사거리 역시 성성신도시의 입주 시작 이후 아침에는 쌍용대로에서 북부대로 방면이 꽉 막혀서 움직이지도 못한다. 퇴근길에는 두정육교에서부터 두정동 노동청사거리까지는 계속 감속한다. 놀라운 것은 성성신도시에서 한 신호로 두정동까지 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인 쌍용대로는 여전히 왕복 4차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 [[항공]] == 공항은 없지만 서울과 달리 야간비행 금지 규정이 없어서인지 밤이 되면 헬리콥터가 돌아다니는 소리를 가까이서 들을 수 있다. 거의 소음 공해 수준이지만 시에선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공항이 없는 관계로 주로 [[인천국제공항]]이나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하며,[* 대중교통으로 갈때는 주로 인천공항까지 가는 버스를 타거나 1호선, 일반열차로 서울역까지 간 다음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를 이용한다.] 항공을 이용하여 제주도에 갈 경우에는 [[청주국제공항]]을 이용하기도 한다. 대중교통으로 갈 때는 천안역에서 [[조치원역]]에 환승하여 [[청주공항역]]에 내릴수도 있고[* 저녁 7시에 천안역에 도착하는 누리로 1281열차는 청주공항역까지 직행이지만, 시간대가 너무 늦다.], 천안시외버스터미널에서 직행버스를 타도 된다. 그러나 버스는 1일 왕복 4회뿐. 이처럼 청주공항의 대중교통접근성이 좋지 않아서 차라리 속 편하게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각주] [[분류:천안시의 교통]][[분류:천안시]] [include(틀:포크됨2, title=천안시/교통, d=2023-01-19 10:3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