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천원돌파 그렌라간/등장인물]] [include(틀:천원돌파 그렌라간)] [목차] == 개요 == 이 문서는 [[천원돌파 그렌라간]]의 등장인물을 서술하는 문서이다. == 상세 == 크게 마을 출신, 텟페린 출신, 그리고 [[안티 스파이럴|스포일러성 제 3의 세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세계관에는 주조연들이 가장 많이 등장하는 네 개의 마을을 포함한 많은 지역이 있으니 말이다.1~2부의 등장인물들은 성씨가 없이 불렸다가, 그 중 시몬을 제외한 생존 인물들은 3부부터 자신의 출신 마을의 이름을 본인들의 성씨로 사용한다. 또한 결혼하면 다른 외국처럼 성씨를 남편의 성씨로 바꾼다. || '''{{{#f70 이름}}}''' || '''{{{#f70 일본판 CV}}}''' || '''{{{#f70 한국판 CV}}}''' || || [[시몬(천원돌파 그렌라간)|시몬]] || [[카키하라 테츠야]] || [[정재헌]] || || [[카미나]] || [[코니시 카츠유키]] || [[서문석]] || || [[니아 텟페린]] || [[후쿠이 유카리]] || [[서지연]] || || [[요코 리트나]] || [[이노우에 마리나]] || [[윤미나]] || || [[키탄 바치카]] || [[타니야마 키쇼]] || [[방성준]] || || [[리론 리트나]] || [[오노사카 마사야]] || [[안용욱]] || || [[로시우 아다이]] || [[사이가 미츠키]] || [[류승곤]] || || [[기미 아다이]] || [[혼다 타카코]] || [[송정희]] || || [[다리 아다이]] || [[이토 시즈카]] ||<|2> [[박신희]] || || [[키얄 바치카]] || [[아스미 카나]] || || [[키요 리트나]] || [[사토 리나]] || [[송정희]] || || [[키논 바치카]] || [[우에다 카나]] || [[조현정]] || || [[티밀프]] || [[야나다 키요유키]] || [[이장원(성우)|이장원]] || || [[아디네]] || [[네야 미치코]] || [[김선혜]] || || [[시토만드라]] || [[스야마 아키오]] || [[김기흥]] || || [[구암(천원돌파 그렌라간)|구암]] || [[카와쿠보 키요시]] ||<|3> [[이종혁(성우)|이종혁]] || || [[다얏카 리트나]] || [[나카무라 다이키]] || || [[코코 할아버지]] ||<|2> [[히야마 노부유키]] || || [[비랄]] || [[양석정]] || || [[로제놈]] || 이케다 나루시 || [[유해무]] || || [[안티 스파이럴]] || [[카미카와 타카야 ]] || [[이봉준]] || === 주역 === [include(틀:천원돌파 그렌라간의 4대 주연)] === 테츠칸 리트나 === 성우 : [[토니 올리버]] 머리에 노란 두건을 두른 남성. 초반부에는 리트나 마을의 전투원 A로 엑스트라에 불과했지만 대그렌단이 결성되고 난 후에는 망보는 일을 한다. 3부에서는 두건을 벗고 신정부에 소속되었으며, 4부에서 안티 스파이럴과의 최종 결전에 참여하고 마지막까지 살아남는다. === [[조시 카나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시 카나이)] === [[킷트 코이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킷트 코이가)] === [[아일락 코이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일락 코이가)] === [[죠건 바크사 & 바린보 바크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죠건 바크사 & 바린보 바크사)] === 맛켄 조킨 === '''{{{+1 Makken}}}''' 성우는 [[코니시 카츠유키|카미나가 레오]]. 까까머리의 단신의 남성. 배에는 복대를 차고있으며 엄청 과묵한 성격. 간멘으로는 모쇼군을 타고 있다. 인류가 해방된 뒤에는 레이테와 결혼해서 세 자식(2남 1녀로 순서대로 첫째 슈리, 둘째 시오나, 막내 좃카)을 뒀다. 안티 스파이럴 함대에서 쏜 미사일을 간멘채로 충돌해 사망. 하지만 덕분에 카테드랄 테라를 거의 안전하게 지켰다. 극장판에서는 키탄을 제외한 전원이 살아남아서 맛켄도 건재하다. === 레이테 조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레이테 조킨)] === 거발 돗카 === 성우는 [[시노미야 고우]]. 그렌단 전속 조타수. 2부에서는 다이그렌의 조타를, 4부에서는 초은하 다이그렌의 조타를 맡았다. === [[아텐보로 코아칫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텐보로 코아칫치)] === 바톤 돗카나이 === 14화에 잠깐 등장. 남색 복장에 풀을 물고 있다. 간지나서 뭔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같지만 살인 회전목마가 일어나자 누구보다 빨리 뛰어들어 간멘 [[카미카제]]로 화려하게 산화한다. 기합은 좋았지만 부딪자마자 작은 폭발을 내며 가버린다. === [[카미나]] 시티의 신규 인물들 === ==== 시베라 쿠토 ==== 성우는 [[나나오 하루히]]. [[키논 바치카]]가 3부 이후 로시우의 추종자가 되면서 자연히 오퍼레이터 역을 맡게 된 인물. 4부에서도 역시 초은하 다이그렌의 오퍼레이터를 맡는다. ==== 안네 리트나 ==== 다얏카와 키요의 아이. 리트나 출신인 다얏카의 딸이라서 리트나 성을 갖게 되었지만, 본인 자체의 출생은 7년 후 텟페린이 카미나 시티로 번창하였을 때 태어났기 때문에 리트나 마을과는 관계없다. ==== [[긴브레 카이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긴브레 카이토)] === [[비랄]]의 가족 === [youtube(EX3_alPR5Xw,width=100%)] 비랄이 [[다원 우주 미궁]]에서 달콤한 꿈으로만 맛본 가족들. 즉 본편에서는 허상에 불과하며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말 한마디 없는 이들임에도 불구하고 비랄이 핵가족이라는 설정이 [[그레파라]]를 비롯한 각종 외전 매체에서 다뤄지니 어쩌면 51화였을 적에 비랄이 진짜 가족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물론 진실은 알아서. ==== 츠마 ==== 비랄의 아내. ==== 메무 ==== 비랄의 딸. == 이름의 유래 == 마을 이름은 사람들의 관계로 작명된다. || '''{{{#gold 이름}}}''' || '''{{{#gold 유래}}}''' || || [[지하 마을]] || 하시 (端, はし, 처음) 혹은 하지마리 (始まり, はじまり, 시작)[* 우연찮게 한국에서 땅 밑을 의미하는 지하와 발음이 같지만 지하(地下)는 일본 독음으로 치카(ちか)다.] || || [[리트나]] 마을 || 토나리 (隣, となり, 이웃) || || [[아다이]] 마을 || 아이다 (間, あいだ, 사이) || || [[바치카]] 마을 || 치카바 (近場, ちかば, 가까운 곳) || 주연급 인물들은 방향 지시어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 많다. || '''{{{#gold 이름}}}''' || '''{{{#gold 유래}}}''' || || [[시몬(천원돌파 그렌라간)|시몬]] || 시모 (下, 아래) || || [[카미나]] || 카미 (上, 위) || || [[요코 리트나]] || よこ (橫, 옆) || || [[로시우 아다이]] || 우시로 (後ろ, 뒤) || || [[기미 아다이]] || 미기 (右, 오른쪽) || || [[다리 아다이]] || 히다리 (左, 왼쪽) || 일부 조연급 인물들은 캐릭터의 성격을 잘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 '''{{{#gold 이름}}}''' || '''{{{#gold 유래}}}''' || || [[부타]] || ぶた (豚, 돼지) || || [[리론 리트나]] || りろん (理論, 이론) || || 테츠칸 리트나 || 칸테츠 (完徹, 철야) || || 맛켄 조킨 || 켄마 (硏磨, 연마) || || 레이테 조킨 || 테이레 (手入れ, 손질) || || 시라베 쿠토 || 시라베 (調べ, 조사) || 대부분의 조연들은 성격을 뜻하는 단어에서 이름을 가져왔다. || '''{{{#gold 이름}}}''' || '''{{{#gold 유래}}}''' || || [[다얏카 리트나]] || 오다야카 (穏やか, 온화함) || || [[키탄 바치카]] || 탄키 (短氣, 성급함) || || [[키요 리트나]] || 요키 (陽氣, 명랑함) || || [[키논 바치카]] || 논키 (暖氣, 느긋함) || || [[키얄 바치카]] || 야루키 (やる氣, 의욕) || || 조시 카나이 || 소-조-시이 (騒々しい, 시끄러운) || || 킷트 코이가 || 키도 (喜怒, 희노) || || 아일락 코이가 || 아이라쿠 (哀樂, 애락) || || [[죠건 바크사&바린보 바크사|죠건 바크사]] || 간죠 (頑丈, 옹골참) || || [[죠건 바크사&바린보 바크사|바린보 바크사]] || 아바렌보 (暴れん坊, 망나니) || || 거발 돗카 || 간바루 (頑張る, 힘내다) || || 아텐보로 코아칫치 || 아와텐보 (慌てん坊, 덜렁이) || || 긴브레 카이토 || 부레이 (無禮, 무례) || || 나키무 || 나키무시 (泣き虫, 울보) || || 마오샤 || 오샤마 (おしゃま, 깜찍이) || ||<|2> 츠마 || 마츠 (待つ, 기다린다) || || 츠마 (妻, 아내) || || 메무 || 무스메 (娘, 딸) || 왕도 텟페린 출신은 영어를 조합하여 이름이나 성이 만들어진다. 단 코코 할아버지나 수도 텟페린 출신은 예외. 굳이 만들자면 '''Coco'''nut 정도가 되겠다. || '''{{{#gold 이름}}}''' || '''{{{#gold 유래}}}''' || || [[니아 텟페린]] || Near (가까운) || || [[비랄]] || Rival (라이벌) || || [[코코 할아버지]] || ここ (여기) || 로제놈과 사천왕은 생명과학 관련 단어로 이루어졌다. 사천왕 이름은 두 개의 단어들을 합성해 만들어졌는데, 앞의 네 가지는 [[DNA]]의 구성요소이며, 뒤의 네 가지는 [[4대 정령]]의 이름에서 따왔다. || '''{{{#gold 이름}}}''' || '''{{{#gold 유래}}}''' || || [[로제놈]] || Lord (군주) + Genome (게놈) || || [[티밀프]] || Thymine (티민) + Sylph (실프) || || [[아디네]] || Adenine (아데닌) + Undine (운디네) || || [[시토만드라]] || Cytosine (시토신) + Salamander (샐러맨더) || || [[구암(천원돌파 그렌라간)|구암]] || Guanine (구아닌) + Gnome (놈) || 여기까지 봤으면 알 수 있듯이 다들 단조로운 단어들로 이름이 지어졌다. == 작품 내에서의 모습 == === [[슈퍼로봇대전]] === 재세편에서는 시공진동으로 인해 암흑대륙 시간만 10년이 흐른 것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대개 시몬, 니아, 요코는 14세에서 21세가 아닌 24세로 나온다. 마찬가지로 다른 암흑대륙 인물들도 원작보다 3년 더 나이를 먹은 셈. 또 [[슈퍼로봇대전 X]]에서는 등장인물들이 [[대그렌단]] 대신 참전작들의 공통된 부대인 엑스 크로스 부대를 즐겨쓴다. === 드라마 CD === 스핀오프 드라마 CD에시는 주연들의 성이 바뀌고, 또 기존의 불명이던 인물들의 이름이 정해졌다. 예외적으로 니아 텟페린은 성이 그대로 유지된다. || '''{{{#gold 원작 이름}}}''' || '''{{{#gold 바뀐 성}}}''' || || [[시몬(천원돌파 그렌라간)|시몬]] || 훗타 시몬 (파는 시몬) || || [[카미나]] || 카미노 카미나 (신의 카미나) || || [[요코 리트나]] || 우츠하 요코 (쏴주겠어 요코) || || [[비랄]] || 비랄 사순 || || [[로시우 아다이]] || 로시우 데코이 || || 메신저 니아 || 쿠로니아 (검은 니아) || || 메신저 시몬 || 쿠로시몬 (검은 시몬) || || 츠마 || 츠마 사순 || || 메무 || 메무 사순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천원돌파 그렌라간, version=663,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