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A 중앙경마 중상경주)] [목차] == 개요 == 구 8대경주 경기 중 하나. GI급 경기 중에서 외국산 말에게 가장 늦게 문호를 개방한 경기 이기도 하다. 경기 시행 초기에는 천황상 봄/가을 중 하나만 나갈 수 있었다. 또한 한번 우승한 말은 다시 나갈 수 없었다. 즉, 두 경기를 하나로 보는 관습이 있어서 지금도 천황상은 1년에 1회씩 카운트가 늘어나는게 아니라 '''천황상(봄)과 천황상(가을)''' 각각을 카운트하여 동일 분기의 경기는 1년마다 2회씩 카운트가 늘어나게 된다. 1943년까지는 천황상(봄)이 짝수, 천황상(가을)이 홀수였으나 전후 뒷처리등으로 인하여 1944년 제14회 봄 경기를 마지막으로 3년간 중지. 1947년 봄에 제15회 경기(평화상)로 부활, 가을의 제16회 경기부터 천황상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어 이후로는 봄에 홀수, 가을에 짝수번째 경기가 열리게 된다. 원래는 제실어상전(帝室御賞典)이라는 이름으로, 1880년 6월 9일에 개최된 The Mikado's Vase를 기원으로 하며, 천황상의 계보가 된 경기에서 유래되었고, 이후 엠페러즈 컵 등의 여러 이름을 거치다가 1938년에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 참고로 우승패가 방패 모양의 다테(楯)가 된 것은 1941년이며, 그 이전에는 일본 천황가에서 The Mikado's Vase부터 내려온 전통에 따라 우승컵이 제공되었다. 국내에서는 천황상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썼으나 [[천황]]이라는 단어 사용에 찬반 논란이 심해 일본어 그대로 직역한 '텐노쇼'나 둘의 중간인 '텐노상'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일례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한국 서비스는 텐노상·봄 / 텐노상·가을이라는 번역을 취했다. 여담이지만,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는 수많은 명마들이 등장하기에 유력 GI의 우승마들이 연도별로 등장하기도 하는데, 그 중에서도 봄의 천황상은 1988년의 타마모 크로스부터 2003년의 히시 미라클까지 16년간의 우승마 14두가 모두 등장하는데, 이는 대부분 명마들로만 이루어진 우마무스메 내에서도 유일한 기록이다. 다른 상들은 길어봤자 5~6년 연속 정도가 최대고 인원수도 10명 전후가 태반이다.[* 반대로 어느정도 역사와 인지도가 있음에도 등장 캐릭터가 적은 경기로는 NHK 마일 컵이 있는데 GI승격 이후 20여두 정도의 우승마 중 실장된 것은 시킹 더 펄과 엘 콘도르 파사 둘 뿐이고 전신인 NHK배까지 포함해도 카츠라기 에이스까지 3명 뿐이다. 역사가 짧고 암말 한정이라 등장 캐릭터가 적을 수 밖에 없는 빅토리아 마일(보드카 한 명 뿐)을 제외하면 유력 GI중에선 가장 들장 인원수가 적다.] 1938년 제실어상전 봄에 우승한 하세 파크(ハセパーク)의 기수와 조교사였던 김자근봉(金者斤奉, 1903∼1969)은 해방이후 대한민국으로 귀국해 김승배로 개명하고 조교사로 활동했다. 이후 김승배-김승길-김학수로 대를 이어 조교사로 활동 중이다. == 천황상 (봄) == ||<-3> '''{{{#fff 天皇賞(春)}}}''' '''{{{#fff 천황상 (봄)}}}''' '''{{{#fff Tenno Sho(Spring)}}}'''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Justin_Palace_Tenno_sho.jpg|width=100%]] [br] '''[[2023년]] 우승마 [[저스틴 팰리스]]'''}}} || ||<-2> '''개최국'''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2> '''주최''' || [[일본중앙경마회]] || ||<-2> '''개최지''' || [[교토 경마장]] || ||<-2> '''창설''' || [[1938년]] [[5월 15일]] || ||<-3> '''{{{#fff 2022년 경주 정보}}}''' || ||<-2> '''거리''' || 잔디 3200m 우회전 || ||<-2> '''등급''' || G1 || ||<-2> '''상금''' || 1착 2억 2000만 엔 || ||<-2> '''출주조건''' || [[서러브레드]]계 4세 이상 (국제, 지정) || ||<-2> '''부담중량''' || 정량(58kg, 암말 2kg 감소) || ||<-3> '''레이스 레코드''' || ||<-3> [[키타산 블랙]](2017년) '''3:12.5''' || [clearfix] === 개요 === 일본어로는 텐노쇼 하루라고 하는데, 줄여서 하루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JRA의 G1레이스 중 최장거리에서 시행되는 경주로,[* 참고로 평지 중상 경주에서 최장거리 경주는 3600m에 G2인 [[스테이어즈 스테이크스]]다.] 장거리 최강전 성격을 갖는 경주이다. === 경주 조건 === 4세 이상 [[서러브레드]]계 경주마, 출주 가능 두수 최대 18마리 * JRA 소속마 * 지방경마 소속마(우선 출주권을 얻은 말 한정) * 외국 조교마 === 우선 출주권 === * 외국 조교마 * 상금 순위 상위 5두 * 트라이얼 경기 우승, 혹은 지방경마 소속마로서 트라이얼 경기 2착 이내, 지방경마 소속마로서 [[오사카배]] 2착이내 * 트라이얼 경기 * 한신 대상전(GII) / 한신 잔디 3000m * 닛케이상 (GII) / 나카야마 잔디 2500m === 연혁 === * 1938년 - "제실어상전"을 재편해 연 2회의 시행으로 시행. 봄의 경주를 한신 경마장(구 나루오 경마장)에서 시행. * 1939년 * 시행거리를 3200m로, 출주자격을 5세(현 4세) 이상 숫말,암말로 변경. * 부담중량을 '마령중량'에서 '정량'으로 변경 . * 1944년 - "능력 검정 경주"로서, 교토 경마장의 잔디 3,200m로 시행. 이후 교토 경마장에서의 시행이 정착. * 1945년 -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중지. * 1947년 * 이 해만 "평화상"의 명칭으로 시행. * 부담 중량을 5세(현 4세), 6세(현 5세) 이상 60㎏, 암말 2kg 감소로 변경. * 1948년 * 명칭을 "천황상"으로 변경. * 5세(4세)의 부담 중량을 58kg, 암마 2kg으로 변경. * 1953년 - 6세(현 5세) 이상의 부담 중량을 5세(현 4세)와 같이, 말마 58kg, 암말 2kg 감소으로 변경. * 1972년 - 외국산말이 출주할 수 없게 된다. * 1981년 - 승리제 폐지.[* 이전까지 천황상은 우승하면 다른 천황상 대회에 출전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 1984년 - 그레이드제 도입, GI에 등급. * 1995년 - 지정 교류 경주 가 되어, 지방 소속마도 출주가 가능하게 된다. * 2000년 - 외국산 말이 2마리까지 출주 가능하게 된다. * 2001년 - 마령 표기를 국제 기준으로 변경한 것에 따라, 출주 조건을 "5세 이상 숫말,암말"에서 "4세 이상 숫말,암말"로 변경. * 2005년 * 국제경주로 지정, 외국조교마가 5마리까지 출주가능하게 된다. * 2007년 - 외국조교마의 출주틀을 9마리로 확대. * 2008년 * 출주 조건을 "4세 이상 숫말,암말"에서 "4세 이상"으로 변경. * 전년도 멜버른 컵 우승마의 초대를 제도화. * 2011년 - [[NHK]]에서의 지상파 중계 가 중지 된다. * 2012년 * 근대 경마 15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 등급 상위 5마리에 우선 출주를 인정. * 2014년 - 트라이얼제 확립, 지정한 경주의 1착마에 우선 출주권을 부여. * 2020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유행에 의해, "무관객 경마"로서 실시 * 2021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유행에 의해, "무관객 경마"로서 실시 * 교토 경마장의 정비 공사에 따라 한신 경마장 잔디 3200m(외회전→내회전)에서 시행 (2021~2022) === 우승마 === [include(틀:천황상 봄)] === 기록 === * 레이스 레코드 - 3:12.5 (2017년 우승마 [[키타산 블랙]]) * 잔디 3,200m의 [[JRA]] 레코드 및 3200m 월드 레코드 * 최다 우승 - 2회 * [[메지로 맥퀸]] (1991, 1992)[* 이 중 유일하게 1991~1993년 3연속으로 출주했고, 1993년에는 2착을 달성하며 3연패를 달성할 뻔했다.] * [[라이스 샤워]] (1993, 1995) * [[티엠 오페라 오]] (2000, 2001) * [[페노메노(말)|페노메노]] (2013, 2014) * [[키타산 블랙]] (2016, 2017) * [[피에르망]] (2019, 2020) * 최다 우승 기수- 8회 * [[타케 유타카]] (1989-92, 1999, 2006, 2016-17) * 최다 출주 - 토카이 트릭[*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의 자마, 최고령(10세) 중상 우승마이기도 하다.]. 2006년부터 2014년까지 '''8년 연속''' == 천황상 (가을) == ||<-3> '''{{{#fff 天皇賞(秋)}}}''' '''{{{#fff 천황상 (가을)}}}''' '''{{{#fff Tenno Sho(Autumn)}}}'''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퀴녹스 23천황상(가을).png|width=100%]] [br] '''[[2023년]] 우승마 [[이퀴녹스]]'''}}} || ||<-2> '''개최국'''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 ||<-2> '''주최''' || [[일본중앙경마회]] || ||<-2> '''개최지''' || [[도쿄 경마장]] || ||<-2> '''창설''' || [[1937년]] [[12월 3일]] || ||<-3> '''{{{#fff 2022년 경주 정보}}}''' || ||<-2> '''거리''' || 잔디 2000m 좌회전 || ||<-2> '''등급''' || G1 || ||<-2> '''상금''' || 1착 2억 2000만 엔 || ||<-2> '''출주조건''' || [[서러브레드]]계 3세 이상 (국제, 지정) || ||<-2> '''부담중량''' || 정량(3세 56kg, 4세 이상 58kg, 암말 2kg 감소) || ||<-3> '''레이스 레코드''' || ||<-3> [[이퀴녹스]](2023년) '''1:55.2''' || [clearfix] === 개요 === 일본어로는 텐노쇼 아키라고 하는데, 줄여서 아키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개요에서 설명했듯 봄 대회와 가을 대회를 하나의 대회로 보기 때문에 1983년까지는 봄과 같은 조건인 3200m에서 치러졌으나 1984년에 현재의 2000m로 변경되어,[* 이 때 우승한 말이 삼관마 [[미스터 시비]]다.] 중거리 최강전이 되었다. 이렇게 2000m가 된 이후에는 스태미너 소모가 적은 고속마장인 도쿄 경기장의 특성 때문에 한가닥 한다는 마일러들도 꽤 출주하는 편. 우승마 중에서는 닛포 테이오, 야마닌 제퍼, 다이와 메이저, 보드카, 모리스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 경주 조건 === 3세 이상 [[서러브레드]]계 경주마, 출주 가능 두수 최대 18마리 * JRA 소속마 * 지방경마 소속마(우선 출주권을 얻은 말 한정) * 외국 조교마 === 우선 출주권 === * 외국 조교마 * 상금 순위 상위 5두 * 트라이얼 경기 우승, 혹은 지방경마 소속마로서 트라이얼 경기 2착 이내 * 트라이얼 경기 * 올커머 (GII) / 나카야마 잔디 2200m * 마이니치 왕관(GII) / 도쿄 잔디 1800m * 교토 대상전(GII) / 교토 잔디 2400m === 연혁 === * 1937년 - "제실 어상전"을 재편해 연 2회의 시행으로 재차, 가을의 경주를 도쿄 경마장에서 시행. * 1938년 - 시행 거리를 잔디 3,200m로, 출주 조건을 5세(현 4세) 이상으로 변경. * 1944년 - [[태평양 전쟁]]의 영향으로 중지. * 1947년 - 명칭을 "천황상"으로 변경. * 1971년 - 외산마 출주 제한 시행 * 1981년 - 승리제를 폐지. * 1984년 * 그레이드제 도입, GI 등급 지정. * 시행거리를 잔디 2,000m로 변경. * 1987년 * 출주 자격을 4세(현 3세) 이상 숫말,암말로 변경. * 천황상 경주 시행 5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 1995년 - 지정 교류 경주가 되어, 지방 경마 소속마도 출주가 가능하게 된다. * 2000년 - 외산마 최대 2두 출주 허용. * 2001년 - 마령 표기를 국제 기준으로 변경한 것에 따라, 출주 조건을 "4세 이상 숫말,암말"에서 "3세 이상 숫말,암말"로 변경. * 2004년 - "[[일본중앙경마회]] 창립 5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 2005년 * "엠페라즈컵 100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일본 덴노가 경마장을 찾는 걸 천람경마(天覧競馬)라고 하는데 1899년 메이지 덴노 이 후 106년만에 [[아키히토]] 부부가 관람했다. 다만 아키히토 부부는 태자, 태자비 시절 1987년 천황상(가을) 경주 때 관람했었다. 이 해 우승한 [[마츠나가 미키오]] 기수는 위닝 런 후 [[헤븐리 로맨스]]를 아키히토 부부 쪽으로 돌리고 말 위에서 고개 숙여 경례했다.] * 국제경주로 지정. 외국조교마가 5마리까지 출주가능하게 된다. * 외산마 출주 제한 폐지. * 2008년 - 출주 조건을 "3세 이상 숫말,암말"에서 "3세 이상"으로 변경. * 2012년 * "근대 경마 15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아키히토 부부가 2번째로 관람했으며 이 해 우승한 [[미르코 데무로]] 기수가 [[에이신 플래시]]에서 내려 고삐를 잡고 한 쪽 무릎을 꿇으며 경례했다.] * 출주마 선정 방법을 변경. 등급 상위 5마리에 우선 출주를 인정한다. * 2014년 * "[[JRA]] 6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 트라이얼제 확립. 지정한 경주의 1착마에 우선 출주권을 부여. * 2023년 * "경마법 100주년 기념''의 부칭을 붙여 시행[* 나루히토 부부가 관람했다] === 우승마 === [include(틀:천황상 가을)] === 기록 === * 레이스 레코드 - 1:55.2 (2023 우승마 [[이퀴녹스]]) * 잔디 2,000m의 [[JRA]] 레코드 및 잔디 2,000m 월드레코드 * 최다 우승 - 2회 * [[심볼리 크리스 에스]] (2002, 2003) * [[아몬드 아이]] (2019, 2020) * [[이퀴녹스]] (2022, 2023) * 최다 우승 기수- 7회 * 야스다 타카요시[* 경마의 전당 현창기수이자 [[메지로 아사마]], [[토쇼 보이]] 등의 조교사] (1939, 1949-51, 1956-57, 1966) == 천황상 춘추 제패 == '승리제'가 폐지된 이후에 달성 가능하게 된 업적으로 JRA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기록도 아니고 추가 상금도 없이 그냥 언론에서 붙여주는 칭호이긴 하지만, 춘추 천황상을 연속해서 우승할 경우 천황상 춘추 연패마라는 칭호가 붙는다. 천황상 춘추 제패를 달성할 경우 공식적으로는 '천황상 연패'로 기록된다. 사실 천황상 (봄)과 천황상 (가을)은 경주 내용적으로는 다르지만 같은 천황상으로서 횟수를 매겨 개최된다. 가령 [[아몬드 아이]]가 천황상 (가을)을 2연패했을 때, 2019년의 천황상 (가을)은 160회 천황상이고 2020년의 천황상 (가을)은 162회 천황상이다. 161회 천황상은 2020년 개최된 천황상 (봄)으로 [[피에르망]]이 우승했다. 그러므로 아몬드 아이와 같은 기록을 언급하기 위해서는 천황상 (가을) 연패라고 명확히 기재해야 불필요한 오해를 줄일 수 있다. 당연히 천황상 (가을)을 우승하고 다음 년도 천황상 (봄)을 우승하는 것도 포함된다. 비공식적인 천황상 춘추 제패 칭호는 천황상 연패가 아니더라도 다른 년도의 천황상을 연속하지 않고 봄과 가을을 모두 우승하기만 하면 붙지만, 2023년까지도 연패가 아닌 천황상 춘추 제패를 달성한 말은 없다. 즉 같은 년도 봄과 가을 모두 우승 또는 가을 우승 이듬해 봄 우승을 달성한 말만 존재한다. 천황상 춘추 연패는 SMILE 거리 분류 기준 두 단계가 차이나는 2000m(Intermediate)와 3200m(Extended)를 모두 우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장거리 최강을 상징하는 [[삼관마|트리플 크라운]]처럼 거리에 상관없이 강한 말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상징적인 칭호이다. 다만 유력마들이 종마시장에서 채산성이 없는 장거리 경주 도전을 회피하고 있어, 타이틀을 따기 위해 도전하는 말은 거의 없다. 이하는 천황상 춘추 제패를 달성한 말들 목록이다. * [[타마모 크로스]] 1988년 봄 - 1988년 가을 * [[슈퍼 크릭]] 1989년 가을 - 1990년 봄 * [[스페셜 위크]] 1999년 봄 - 1999년 가을 * [[티엠 오페라 오]][* 유일하게 천황상을 3연속으로 제패했다.] 2000년 봄 - 2000년 가을 - 2001년 봄 * [[메이쇼 삼손]] 2007년 봄 - 2007년 가을 * [[키타산 블랙]] 2016년 봄, 2017년 봄 - 2017년 가을 2023년 기준 삼관을 달성한 말은 목록에 없다. 그 이유를 각각 적어보자면 [[세인트 라이트]]는 클래식만 뛰고 은퇴, [[신잔]]은 당시 천황상 우승마는 천황상에 다시 출전 못한다는 '승리제' 규정이 존재했으므로 춘추 제패란 개념 자체가 성립할 수 없었고, [[미스터 시비]], [[심볼리 루돌프]], [[나리타 브라이언]]은 춘추 천황상에 모두 도전했으나 미스터 시비와 루돌프는 연패 실패, 브라이언은 양쪽 다 이기지 못했고, [[딥 임팩트]]와 [[오르페브르]]는 가을 천황상이 열리는 시기 [[개선문상]]에 도전하기 위해 프랑스로 원정을 떠났다. [[콘트레일]]은 [[킷카상]]을 목 차이로 간신히 이겼기 때문에 장거리 적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처음부터 가을 천황상에만 도전했으나 우승에 실패했다. == 관련 문서 == * [[경마/일본]] [[분류:일본중앙경마회]][[분류:경마 대회/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