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글룸헤이븐)] [include(틀:글룸헤이븐: Jaws of the Lion의 클래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철거전문가(글룸헤이븐))] [include(틀:스포일러)] 이 문서는 [[데몰리셔니스트(글룸헤이븐)|철거전문가]]의 능력 일람 중 5레벨 이상의 내용을 다룹니다. 해당 내용은 게임의 진행에 따라 해금되는 스포일러성 내용입니다. [목차] === 5레벨 === > 레벨 5에 도달한 것을 축하드립니다! 레벨 5에는 신규 능력 카드가 1장만 있습니다. 이 카드를 카드풀에 추가할 경우, 플레이 시 새로운 미니어쳐가 추가됩니다. 미니어쳐는 "B" 라벨이 붙어있는 상자에 있으며, 이제부터 이 상자를 열어볼 수 있습니다. > > 레벨 5 카드의 상단 행동을 수행할 때, 그 카드가 플레이 중인 동안, 당신의 캐릭터 미니어쳐를 이 Mech Suit 미니어쳐로 교체하십시오. ==== 기계 강화복 (Mech Suit) ==== ||<-4>
기계 강화복 (80) || ||<-2> {{{-1 최대 체력이 5만큼 늘어난다.}}} [br] ········· [br] 치료 [[파일:gh_heal.png|width=14&height=21]] 10 [br]{{{-2 자신}}} [br] ········· [br] [[파일:gh_xp2.png|width=20&height=20]] 방어 [[파일:gh_shield.png|width=20&height=20]] 1 [[파일:gh_persistent.png|width=24&height=18]] [br] [[파일:gh_loss.png|width=20&height=20&align=right]] ||<-2>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2 ○ [br] ········· [br] 노획 [[파일:gh_loot.png|width=15&height=18]] 1 || 난데없이 최대 체력 증가, 막대한 체력 회복, 영구 방어 버프라는 미친 조합의 카드가 등장했다. 저 3가지 효과를 따로 분리시켜서 카드 3장으로 만들어도 소실 카드 3장이 나올 수 있을 정도로 하나하나가 강력한 효과들인데, 이게 카드 한 장에 다 들어간 파격적인 성능의 카드라고 할 수 있다. 딜러에게 탱커용 카드를? 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어차피 최전방에서 적에게 노출된 채로 싸워야되는 근딜러의 입장에서 이런 카드는 얼마든지 환영이다. 시작하자마자 이걸 쓰기에는 핸드 사이즈 9장이 부담되니까, 적당히 중반 쯤에 데미지를 좀 받은 시점에 사용하면 된다. 당연한 얘기지만 중독된 상태에서 이걸 쓰면 회복 10이 중독 치료로 대체되는 끔찍한 경험을 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하단 행동은 상단 버프를 사용하기 전의 1~2 사이클 동안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효과이다. === 6레벨 === ==== 먼지 구름 (Dust Cloud) ==== ||<-4>
먼지 구름 (15) || ||<-2>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2 [br] {{{-2 인접한 모든 적 대상}}} [br] {{{-1 밀기 [[파일:gh_push.png|width=20&height=20]] 1}}} [br] {{{-1 혼란 [[파일:gh_muddle.png|width=20&height=20]]}}} [br] [[파일:gh_earth.png|width=20&height=20]] ||<-2>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2 ○ [br] ········· [br] {{{-1 인접한 장애물 1개를 파괴한다. 그럴 경우,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을 획득하고 다음을 수행한다.}}} [br] 방어 [[파일:gh_shield.png|width=20&height=20]] 2 [br] [[파일:gh_round.png|width=24&height=18]] || 상단 행동은 평범한 비소실 광역기. 공격 수치는 딱히 대단하다 할 건 없고, 밀기 옵션으로 차별화 할 생각을 하는게 나을 것이다. 일단 생각해 볼 수 있는 카드는 4레벨의 원격 폭파(Remote Detonation)으로, 피해 3점짜리 함정 3개를 깔아두고 바로 적들을 밀어넣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물론 카드를 소실할 필요가 있어서 부담되기는 하지만. 이 카드와 궁합이 가장 잘 맞는 카드는 7레벨의 Insult to Injury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해당 카드를 참고. 하단 행동은 철거전문가를 탱커로 활용할 여지를 만들어주는 카드. 마침 기계 강화복(Mech Suit)에 방어 1 버프가 달려있으니 이 카드를 이용해서 방어 3을 만들어주면 일시적으로 탱커 역할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근처에 장애물이 있어야만 발동 가능하다는게 문제라 이 카드만 믿고 탱커 역할을 전적으로 맡기기는 부족하다. ==== 드릴 주먹 (Drill Fist) ==== ||<-4>
드릴 주먹 (62) || ||<-2>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1 [br] ········· [br]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1 [br] ········· [br]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2 [br] {{{-1 앞의 두 공격과 같은 대상을 공격한다면 대상의 방어 수치를 무시, 중독 [[파일:gh_poison.png|width=20&height=20]] 추가,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 획득}}} ||<-2>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2 ○ [br] ········· [br] {{{-1 인접한 일반 또는 정예 적 하나에게 카드 사용자의 캐릭터 토큰을 올려놓는다. 이 라운드 동안 카드 사용자 본인 및 모든 아군은 그 적의 방어 수치를 무시할 수 있다.}}} [br] [[파일:gh_round.png|width=24&height=18]] || 상단 행동은 일단 총합 공격 4이긴 한데, 철거전문가는 공격 보정 덱의 정제가 잘 되는 편이라서 6레벨까지 올라온 시점에선 액면가 이상의 데미지를 뽑아내기를 기대해볼 수 있다. 덱 정제가 완료된 후에는 사실상 비소실 공격 8 카드 정도로 생각해도 무방할 정도. 방어 수치가 높은 적을 상대로는 앞의 두 공격이 잘 통하지 않겠지만 세 번째 공격의 부가효과가 나쁘지 않아서 옵션으로 고려해볼 가치는 충분하다. 다만 방어 수치가 높은 적이라면 하단 행동으로 대응하는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 행동 하나면 방어 수치만 믿고 날뛰는 적을 말 그대로 참교육시켜버릴 수 있다. === 7레벨 === ==== 초소형 미사일 (Micro Missiles) ==== ||<-4>
초소형 미사일 (16) || ||<-2>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2 [br] {{{-2 사정거리 [[파일:gh_range.png|width=15&height=18]] 3 ○}}} [br] {{{-2 대상 [[파일:gh_target.png|width=20&height=20]] 4 ○}}} ||<-2>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2 ○ [br] ········· [br] {{{-1 사정거리 [[파일:gh_range.png|width=15&height=18]] 3 내에 있는 모든 오브젝트는 피해 3점을 입는다.}}} [br] [[파일:gh_earth.png|width=20&height=20]] || 상단 행동은 액면가만 봤을 때 이론상 비소실 8데미지의 우수한 공격기. 잘 정제된 공격 보정 덱을 생각하면 더 좋게 평가해 줄 수도 있겠다. 물론 사정거리 내에 공격할 대상이 4명이나 있어야 최대 성능이 나온다는 건 조금 마이너스 요소이고, 방어 수치가 있는 적을 상대로는 얌전히 봉인하는게 낫다. 하단 행동은 1레벨의 평탄화 (Level) 이후 오랜만에 등장한 오브젝트 특화 능력. 오브젝트 파괴 시나리오에 들고가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상처 헤집기 (Insult to Injury) ==== ||<-4>
상처 헤집기 (64) || ||<-2> {{{-1 카드 사용자 본인이 같은 라운드에 공격했던 적을 대상으로 하는 다음의 공격 3회에 대해 +3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추가.}}} [br][br] [[파일:gh_persistent.png|width=24&height=18]] [[파일:gh_charge_xp.png|width=30&height=24]] [[파일:gh_charge_xp.png|width=30&height=24]] [[파일:gh_charge_xp.png|width=30&height=24]] [[파일:gh_loss.png|width=20&height=20]] ||<-2>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4 ○ [br] ········· [br] {{{-1 이 라운드 동안 카드 사용자 본인의 모든 공격에 이동불가 [[파일:gh_immobilize.png|width=20&height=20]] 추가.}}} [br] {{{-1 [[파일:gh_consume_earth.png|width=20&height=20]] : 혼란 [[파일:gh_muddle.png|width=20&height=20]]도 추가,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 [br] [[파일:gh_round.png|width=24&height=18]] || 상단 행동의 경우 길이가 짧은 시나리오에서는 극딜용 세팅으로 써보는 걸 고려할 수 있다. 다만 같은 적을 한 라운드에 2번 이상 공격해야 한다는 제약사항은 생각보다 까다로운 편이라, 원투 펀치(One-Two Punch), 드릴 주먹(Drill Fist) 같은 카드와 조합하지 않으면 별 의미 없이 카드를 내다버린 꼴이 될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 하단 행동은 일단은 평범한 이동기로 활용 가능하긴 한데, 여기에 붙어있는 공격 시 이동불가 부여 옵션이 6레벨의 먼지 구름 (Dust Cloud)와 엄청난 궁합을 보여준다. 이 카드로 적진 한 가운데로 뛰어들어가서 먼지 구름 (Dust Cloud)의 광역 공격으로 한 칸씩 밀어버리면, 근처에 있던 근접 공격 몬스터들이 이동불가 때문에 전부 바보가 되어버리는 걸 볼 수 있다. 물론 밀기 옵션이 붙어있는 1레벨의 피스톤 주먹(Piston Punch) 같은 다른 카드들과 같이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 8레벨 === ==== 거대한 한 방 (The Bigger One) ==== ||<-4>
거대한 한 방 (31) || ||<-2> [[파일:gh_range_12hex.png|width=80&height=80&align=right]]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4 ○ [br] {{{-2 사정거리 [[파일:gh_range.png|width=15&height=18]] 2}}} [br] [[파일:gh_fire.png|width=20&height=20]] [[파일:gh_earth.png|width=20&height=20]] [[파일:gh_xp2.png|width=20&height=20]] [br][br] {{{-1 대상 지역의 모든 장애물 파괴. 대상 지역에 있는 모든 아군은 피해 2점을 입는다.}}} [br] [[파일:gh_loss.png|width=20&height=20&align=right]] ||<-2>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3 [br] ········· [br] {{{-1 카드 사용자 본인과 인접해 있으면서 벽에 인접한 모든 적은 피해 2점을 입는다.}}} || 상단 행동은 커다란 한 방(The Big One)의 상위호환. 범위가 크고 아름다우며, 공격 수치도 훌륭하다. 이 카드 하나만 보고 광역 공격을 강화하는 아이템들을 구매해서 이 카드를 필살기로 만드는 세팅을 고려할 수 있을 정도. 하단 행동은 압도적인 무게(Crushing Weight)의 상위호환. 보통은 하단 행동을 쓰다가 상황이 되면 상단 행동을 지르는 식으로 사용하게 될 텐데, 하단 행동도 성능이 좋아서 전체적으로 쓰기 편한 카드다. ==== 내장 파열 (Gut Punch) ==== ||<-4>
내장 파열 (26) || ||<-2>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5 [br] {{{-1 [[파일:gh_consume_earth.png|width=20&height=20]] : +1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밀기 [[파일:gh_push.png|width=20&height=20]] 2,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 [br] {{{-1 [[파일:gh_consume_fire.png|width=20&height=20]] : +1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이동불가 [[파일:gh_immobilize.png|width=20&height=20]],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 ||<-2>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3 ○ [br] {{{-2 기절 [[파일:gh_stun.png|width=20&height=20]]}}} || 상단 행동의 경우 원소 하나만 쓰는 것 보다는 원소 2개를 같이 써서 밀기와 이동불가 옵션을 같이 부여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 경우 공격수치 자체도 괜찮을 뿐더러, 근접 공격 몬스터에게 맞지 않고 일방적으로 팰 수 있어서 전투를 지속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하단 행동은 피스톤 주먹(Piston Punch)의 상위호환 격 행동이다. 하단 공격은 한 턴에 상단 공격과 함께 내서 극딜을 꽂아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절까지 달려있다면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정말 우수한 효과이다. === 9레벨 === ==== 부수적 피해 (Collateral Damage) ==== ||<-4>
부수적 피해 (15) || ||<-2> {{{-1 인접한 장애물이나 오브젝트 1개를 파괴한다. 그럴 경우,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을 획득하고 다음을 수행한다.}}} [br]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4 ○ [br] {{{-2 밀기 [[파일:gh_push.png|width=20&height=20]] 2}}} [br] {{{-2 파괴한 장애물이나 오브젝트에 인접한 모든 적 대상}}} [br] {{{-1 [[파일:gh_consume_earth.png|width=20&height=20]] : +2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 [br] [[파일:gh_loss.png|width=20&height=20&align=right]] ||<-2>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2 ○ [br] ········· [br] {{{-1 인접한 장애물 1개를 파괴한다. 그럴 경우, [[파일:gh_xp1.png|width=20&height=20]]을 획득하고 파괴한 장애물과 같은 방에 있는 모든 적은 피해 2점을 입는다.}}} || 땅 원소와 같이 사용할 경우 광역으로 공격 6을 때리는 강력한 효과가 된다. 마침 광역 공격기로 8레벨의 거대한 한 방(The Bigger One)도 있으니, 같이 집었다면 광역 공격에 특화된 아이템 세팅을 갖추어서 상황에 따라 골라쓰는게 가능하다. 다만 이 카드에 대해서 추가로 주목해 볼 점이 하나 더 있는데, 그건 이 카드가 오브젝트를 파괴하는 유니크한 카드라는 점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나리오를 날로 먹는 말도 안되는 카드가 될 가능성이 있다. 하단 행동은 3레벨 화염탄(Fire Bombs)의 상위호환. 그런데 범위가 9레벨에 걸맞게 엄청나게 늘어나서 조건이 맞을 경우 흉악한 성능을 보여주게 된다. 예를 들어, 만약 맵 타일 여러 개가 하나의 큰 방을 이루는 시나리오일 경우 이동만 했을 뿐인데 시나리오 내의 모든 몬스터에게 2데미지씩 들어가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일어난다. ==== 무차별 파괴 (Wholesale Destruction) ==== ||<-4>
무차별 파괴 (34) || ||<-2>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2 [br] ········· [br]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2 [br] ········· [br] 이동 [[파일:gh_move.png|width=24&height=20]] 2 ○ [br] ········· [br]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3 ○ [br] {{{-1 [[파일:gh_consume_fire.png|width=20&height=20]] : +1 공격 [[파일:gh_attack.png|width=20&height=20]], 부상 [[파일:gh_wound.png|width=20&height=20]]}}} ||<-2> {{{-1 장애물을 파괴하는 능력을 사용할 때 그 능력의 범위 내의 빈 칸 1개에 장애물이 있는 것 처럼 취급할 수 있다. 그럴 경우, 파괴 토큰은 놓지 않는다.}}} [br] [[파일:gh_xp2.png|width=20&height=20]] [[파일:gh_persistent.png|width=24&height=18]] || 상단 행동은 그냥 객관적으로 좋은 비소실 공격기. 하단 행동은 장애물 파괴 빌드의 최대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물이 없으면 제성능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능력이다. 작정하고 장애물을 파괴하면서 이득을 얻는 효과로 핸드를 구성할 경우 이 카드는 예상 외의 힘을 발휘하는데, 이 버프가 있을 경우 매 턴마다 강화, 축복, 광역 고정 2데미지, 방어 2 중 하나를 골라서 발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폭렬(Explode)의 광역 기절과 원격 폭파(Remote Detonation)의 광역 공격은 그냥 아무 빈 칸 하나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당 효과를 적용할 수 있어서 활용이 훨씬 쉬워진다. 지속 적용되는 버프임에도 소실 마크가 달려있지 않아서, 휴식 할 때 슬쩍 버리는 것으로 핸드 사이즈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데몰리셔니스트(글룸헤이븐), version=5, paragraph=5)] [[분류:글룸헤이븐/클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