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철구(인터넷 방송인))] [include(틀:철구(인터넷 방송인))] [목차] == 개요 == [[철구(인터넷 방송인)]]의 [[프로게이머]] 시절을 서술하는 문서. ==# [[프로게이머]] 시절 #== [[스타크래프트]] [[배틀넷]]과 군소 커뮤니티에서 Terror[fOu]라는 아이디로 활동하면서 아마추어 고수 중 한 명으로 이름을 날리다가[* 특히 뮤탈 컨트롤이 환상적이었다고 예전 커뮤니티 사이트 글에서 발견되었다. [[이제동]]이 개인방송에서 잠깐 썰을 풀다 시청자들이 "철구 본명은 아냐"라는 식으로 질문하자, 이제동이 직접 "철구님 왜 그렇게 무시하느냐. 자기 세대 때 아마추어들 사이에서 테러포유 이철민 유명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2015년 스타 합방 당시 [[김택용]]도 아마 시절 이철민은 실력이 좋기로 유명했다고 하며 [[도재욱]]은 아예 자기보다 더 인지도가 높았다고 인정하였다. 그런데 그때도 욕설이나 맵핵으로 악명높았다고 한다.],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4|2006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STX SouL]]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프로게이머]]가 되었다. 한 달에 30만 원씩 받으며 초라한 프로 생활을 이어가다 프로리그에서 팀플로 [[김민제(프로게이머)|김민제]], [[최연식(프로게이머)|최연식]] 등과 호흡을 맞추어 몇 번 출전하고 곰TV MSL 서바이버를 뚫었던 것 이외에는 별 다른 활약을 하지 못하다가 [[2008년]] [[8월]]에 임의탈퇴로 공시되면서 사실상 [[프로게이머]]를 은퇴했다. 본인의 증언으로는 [[프로게이머]] 생활에 염증을 느껴 은퇴했다고 한다.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예선을 뚫었던 [[곰TV MSL 시즌3]] 서바이버 예선에서 '''그 [[신상문]]을 2:0'''으로, MSL 서바이버에서 [[이병민]]을 [[http://blog.naver.com/oroper/70181178921|잡으면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공식전 승리[* 프로리그를 제외한 개인리그 공식전 기록에서 유일한 승리이다. 당시 국내 스타크래프트 오프라인 리그에서 개인리그 메이져대회로는 [[스타리그]], [[MSL]]이 있었다.]를 거두었고, [[신노열]]을 곰TV 클래식 128강에서 2:0으로 잡는 등 클래스있는 게이머들도 꺾어보았다. [[김대엽]]이 2군에 있던 시절 배틀넷에서 김대엽을 무참히 발라버렸던 리플레이도 현재 남아있다!! [[파일:20170217042335_irbrtxsz.jpg|width=400px]] 오른쪽에서 두번째가 바로 [[STX SouL]] 소속 당시의 '''이철민(철구)'''이다.[* 사진에서 왼쪽 순으로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김윤환(1989)|김윤환]], --[[진영수]]--, [[김구현]], [[박정욱]], 철구, [[최연식(프로게이머)|최연식]]이다.] 은퇴를 결심했을 때 [[박재석]] 코치가 "철민아 은퇴하지 마라, 마지막까지 해보자. 이번에 스타리그 못 뚫으면 나까지 그만둘게."라고 드라마 대사 같은 말을 하며 은퇴를 말렸지만 본인은 스타판에서 더 이상 가망이 없다고 생각했는지 바로 은퇴를 했다.[* 그동안 한 설명으로는 돈 문제가 제일 컸던 것으로 보인다. 몇 년 동안 허구한 날 설거지와 청소를 하면서도 실력이 없다고 구박받으며 게임을 했지만 월급은 30만 원, 인상해 준다고 한 것도 고작 60만 원이어서 연 천만 원도 못 버는 인생으로 끝날 것 같다 생각했다고...] 은퇴 확정 후 [[김은동]][* 후에 [[김민기(e스포츠)|김민기]]로 개명.] 감독이 펜과 공책 등을 주며 "공부를 열심히 해라."라는 아무런 감정도 느껴지지 않는 멘트를 남긴 채 철구를 보냈고 이후 철구는 스타썰만 풀면 [[김은동]]을 세차게 디스한다. 숙소 생활할 당시에도 몰래 개인방송을 했었는데[* 사실 [[김은동]]에 대해서 좋지 않은 감정이 있는건 위의 일화말고 하나 더 있다. 조일장이 푼 썰에 의하면 이 방송하는걸 김은동에게 걸렸는데, 김은동이 니가 방송을 잘해서 니 방송을 보느냐고 디스했고 심지어 [[김윤환(1989)|김윤환]]이 방송하면 니 방송 봐줄것 같냐는 말을 해서 철구의 자존심을 건드렸다고 한다.[[https://youtu.be/vPT4-caIn9c#t=4m14s|#]] 사람이라면 기분이 좋을 수 없는건 당연지사.] 이때의 생각이 떠올랐는지 은퇴 이후 군입대 등의 20대 초반 남성이 생각할 만한 선택은 하지 않고 본격적으로 인터넷 방송인으로 진로를 정해 지금의 방송역사에 이른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항목들을 참고하기 바란다. ===# 프로게이머로서의 실력 #=== 현역 시절 공식전 전적이 1승3패에 그쳤던 그저 그렇게 사라진 2군급 설거지 게이머였기 때문에 알려질 실력 자체가 없었지만, 아프리카TV에 와서 여러 게이머 출신 비제이들의 썰을 종합해보면 아마추어 시절 상당한 실력자였다고 한다. 철구의 아이디 Terror[fOu]는 뮤탈 컨트롤 장인, 테란전 초고수 저그로 유명했다고 한다. 입단 동기인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의 썰에 따르면 [[STX SouL]] 코치진은 철구의 실력에 상당한 기대를 갖고 뽑았는데, 정작 프로에 와서 성장이 멈춰버렸고 고된 단체생활과 박봉을 오래 견디지 못하고 빠르게 은퇴해버렸다고 한다. 지금 와서는 믿기지 않겠지만 정말 특급 유망주 대우를 받았었다고...[* 사실 팀내에서만 유망주 취급을 받은게 아니고 아마 시절에는 부산 쪽에서 유명했다고 한다. [[이제동]]이 데뷔 전 푼 썰에 의하면 철구는 당시 경남권 쪽에서 유명한 아마고수였다고 하며, 이때 같이 언급된 아마고수들이 [[허영무|'''Dream.t)JangBi''']], [[신상문|Sea.Leta]] 등이다.] 아프리카TV에서 최초로 방송을 시작한 전프로 비제이답게 초창기에는 탑급의 실력이었고, 이후에도 얼마 동안 강자의 자리를 유지했지만 스타 방송에서 막장 엽기 방송으로 서서히 바뀌어 가는 동시에 은퇴한 1군 출신 전 프로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2012년 말부터 [[염보성]], [[진영화]],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 [[조일장]] 등 팀이 해체되거나 스타2로 전환되면서 방출되거나 은퇴한 1군 출신 전 프로들이 대거 아프리카로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철구의 실력은 빠르게 하락하기 시작하여 결국 어느 순간부터 [[김봉준]]과 함께 전프로 최하위권을 유지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ASL 시즌2]]에서 본선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지만 이것이 사실상 마지막 불꽃으로, 이후 철구는 스타 외의 컨텐츠에 더 집중하게 되며 실력이 더욱 수직하강하였다. 그리고 전역 이후 현재는... * 프로가 아마추어한테 지겠냐고 입버릇처럼 말하지만 아마추어한테 관광당한 적도 많다. * 여자한테 지겠냐고 하지만 여자한테도 진다.[* 물론 대부분 핸디 매치에서 지는거긴 하지만, ASL 예선에서 [[보혜(인터넷 방송인)|보혜]]에게 0:2로 탈락하여 모두에게 충격을 주기도 했다.] * 운영으로 누구한테도 안 진다고 하지만 다 이긴 경기를 눈 썩는 운영으로 역전당한다. 오죽하면 별명이 10분 이제동. * [[기뉴다]], [[김봉준]] 외에는 메이저급 스타 BJ와 매치 자체가 성립이 안된다. 심지어 [[기뉴다]]는 프로 지망생이었던 아마추어 출신이므로 철구의 실력은 사실상 전프로 중에 김봉준과 꼴찌 자리를 두고 다투는 수준이다. 어쩌면 당연한 것인데, 기본적으로 스타도 방송 컨텐츠로 즐기는 수준으로만 하는 사람이 철구다. 기존 전 프로들이랑 마인드가 아예 달랐으니 가능한 일인데 철구는 애초에 전업 방송인이 된 이유가 스타크래프트 1이 꽤 잘 돌아가던 시절 실력이 정체되며 프로 생활에 지쳤기 때문. 현재 전 프로 출신 BJ 대부분은 스타 1판이 사실상 끝나고 반 강제로 BJ로 전업하게 된 것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스타도 빡빡하게 연습하는 편이지만 철구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양반도 결국 전 프로인지라 기본 결은 있었어서 자만하지만 않았으면 실력이 떨어지더라도 지금처럼 되진 않았을텐데, '나는 아마추어 따위와는 클래스가 다르다'같은 이상한 근자감에 꽉꽉 차있어서 연습도 제대로 안하고 아마추어 출신들에게 자만하다가 맨날 깨지기 일쑤다. 다 이긴 경기를 눈썩으로 지는 경우가 많은 이유도 원래 부족한 운영능력에 자만+방송욕심이 합쳐져서 생긴 결과다. ===# 프로게이머 경력 #=== ====# 개인 리그 #==== ||<-5> 2009 [[IEF|International e-Culture Festival]] '''준'''우승자 [br] (vs [[송병구]], 1:2) || || 2008 IEF [br] [[송병구]] || → || '''이철민''' || → || 2010 IEF [br] [[송병구]] || * [[2006년]] [[6월]] 제21회 커리지매치 입상 * [[2006년]] [[8월]] 2006 준프로게이머 평가전 준우승 * [[2007년]] [[4월]] 200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스타크래프트]] 부문 128강 진출(1:2 --[[정진현]]--) * [[2007년]] [[7월]] [[곰TV MSL 시즌3]] 서바이버 토너먼트 본선 진출 * [[2008년]] [[1월]] [[곰TV 클래식]] 시즌1 64강 2라운드 진출(1:2 [[변형태]]) * [[2009년]] [[11월]] IEF 2009 [[스타크래프트]] 부문 '''준우승'''(1:2 [[송병구]]) * [[2010년]] [[7월]] [[WCG]] [[스타크래프트]] 한국대표 선발전 24강 * [[2010년]] [[11월]] IEF 2010 아마추어 대표 본선 진출 * [[2014년]] [[1월]] [[제9차 픽스 소닉 스타리그]] 32강[* 2경기에서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에게 2:1 승, 승자전에서 [[한상봉]]에게 패, 최종전에서 [[조일장]]에게 패하며 탈락.] * [[2016년]] [[12월]]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24강[* 1경기에서 [[이영호]]에게 패, 패자전에서 [[진영화]]에게 패하며 탈락.] ====# 번외, 온라인 리그 #==== ||<-5> [[소닉 스타리그|1st SonicTV BJ Starleague]] 우승자[br](vs 진웅, 3:2)[br] || || 대회 개최 || → || '''이예준''' || → || [[소닉 스타리그|2차 소닉 스타리그]] [br] 김범성 || * [[2009년]] [[10월]] 주성대학 총장배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 [[2010년]] [[1월]] KT 롤스터 난치병 어린이 돕기 자선게임대회 우승 * [[2010년]] [[11월]] 제1차 [[소닉 스타리그]] 우승 (4:1 진웅) * [[2011년]] [[4월]] 온게임넷 [[신애와 밤샐기세.scx]] 아마추어 초고수연승전 우승(3:2 [[권혁진]]) * [[2011년]] [[8월]] 제5차 [[소닉 스타리그]] 4강 * [[2012년]] [[9월]] 제7차 신발팜 [[소닉 스타리그]] 32강 * [[2022년]] [[7월]] [[HOT6 스타크래프트 멸망전 2022 우리들의 스타리그 시즌3]] 8강[* 1경기에서 [[김건욱]]에게 패, 패자전에서 [[하얀눈길]]에게 2:1 승, 최종전에서 김건욱에게 0:2로 패하며 탈락.] ====# 전적 #==== ||<-4> '''{{{#ffffff 이예준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white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white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전적없음 || 2전 1승 1패 (50.0%) || 2전 1승 1패 (50.0%) || || vs 저그 || 전적없음 || 전적없음 || 전적없음 || || vs 프로토스 || 전적없음 || 1전 0승 1패 (0.0%) || 1전 0승 1패 (0.0%) || || 총 전적 || 전적없음 || 3전 1승 2패 (33.3%) || 3전 1승 2패 (33.3%) || * [[스타1]] 통산 전적: 39승 35패 (공식전 전적: 1승 3패) (팀플레이 전적 : 5승 8패) [[분류:철구(인터넷 방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