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 개요 == [[동림역]]에서 [[동천역(철산선)|동천역]]까지 운행하는 철도 노선. 길이는 12.5km. 대부분의 지도에서 누락된 노선이지만 점촌역 구내에 걸려 있는 북한의 철도 노선 정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loewelad.tistory.com/746?srchid=BR1http://loewelad.tistory.com/746|#]] 참고. 구글어스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동천역(철산선)|동천역]]이 있는 [[철산군]]은 교통편이 ~~[[철산역]]이 있다~~ 매우 불편하다. 좁은 도로가 두 개가 나 있는데 각각 [[염주군]]과 [[동림군]]으로 이어지는 작은 도로 두 개가 전부이고, 철도는 이 지선을 빼면 아예 없다. 이 때문에 이 역을 만든 모양이다. 헌데, 철산군 일대의 광산은 200년 전부터 알려졌으니 고갈되었을 확률이 높아서... 애당초 철산이라는 이름 자체가 철의 산이라는 뜻인데, 이 지명이 붙은 게 조선 후기다. 원래는 가도 간척지 철도로 계획되었다.[* [[모문룡]]이 주둔했던 그 가도다.] 북한은 간척지의 건설자재와 간척지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죄다 철도로 실어나르기 때문에 1980년대에 간척지 철도노선을 여럿 계획했는데, 철산선[* 당시 명칭은 가도선]도 그 중 하나. 동림-동천 구간은 이미 1980년대에 이 사업의 선행구간으로 건설되었다. 하지만 지금 위성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가도 간척은 시도조차 못 한 상태라 철산읍에서 더 연장할 필요가 없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담이지만 동천역은 분명 철산읍에 위치해 있는데 동천역으로 알려져 있다.~~철산역으로 알려지면 [[철산역]] 항목 분리~~ 2011년 말 경에 군 남쪽에 있는 동창리 제2미사일발사기지까지 선로가 연장되었다. 하지만 원래 가도선은 철산에서 남쪽으로 꺾어 풍천리와 기봉리를 거칠 예정이었기 때문에 본 연장은 원래 가도선 계획과는 무관하다. 궤간은 표준궤이며 단선. [[https://youtu.be/10aI5a-A5CY|영상]] 중간에 동창리 발사기지 인근 역이 나온다. == 역 목록 ==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 철산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종점거리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동림역|동 림]] || 東 林 || 기점 || 0.0 || 12.5 || [[평의선]] || ||<#e0ffe0> 평북 동림군 || || [[동천역(철산선)|동 천]] || 東 川 || 12.5 || 12.5 || 0.0 || || || 평북 철산군 || [각주] [[분류: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분류:북한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