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철원군에 영업 중인 철도역, rd1=백마고지역)]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include(틀:미개통)] ||<-3> {{{+2 '''철원역'''}}}[br]{{{#red '''(폐역)'''}}}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 655-27,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Cheorwon || || [[한자]] ||<-2> 鐵原 || || [[간체자]] ||<-2> 铁原 || || [[가나(문자)|가나]] ||<-2> [ruby(鉄原, ruby=チョルォン)] || ||<-3> '''주소''' || ||<-3>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금강산로 4[br](외촌리 505) || ||<-3> '''개업일''' || ||<|2> [[경원선]] ||<-2> 1912년 10월 21일 ~ 1950년 || ||<-2> 2024년 예정 || || [[금강산선]] ||<-2> 1924년 8월 1일 ~ 1950년 || ||<-3> '''철도거리표''' || || [[용산역|{{{#!html
용산 방면}}}]]--[[백마고지역|백마고지]]--[br]--← 3.4 ㎞-- || '''[[경원선]]'''[br]~~철 원~~[br]{{{#red (계획중)}}} || [[원산역|{{{#!html
원산 방면}}}]]--[[월정리역|월정리]]--[br]--5.1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폐선 철도거리표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산역|{{{#!html
용산 방면}}}]]--[[신탄리역|신탄리]]--[br]← 9.1 ㎞ || '''[[경원선]]'''[br]~~철 원~~[br]{{{#red '''(폐역)''' }}} || [[원산역|{{{#!html
원산 방면}}}]]~~[[월정리역|월정리]]~~[br]5.1 ㎞ → || || {{{#!html
기점}}} || '''[[금강산선]]'''[br]~~철 원~~[br]{{{#red '''(폐선)'''}}} ||<|2> [[내금강역|{{{#!html
내금강 방면}}}]]~~[[사요역(금강산선)|사 요]]~~[br] 1.6 ㎞ → ||}}}}}}}}} || || [[파일:철원역.jpg|width=300]] || || 승강장 터[* [[http://dmz.invil.org/index.html?menuno=8318&lnb=30101|#]] 목제 행선안내판이 남아 있을 시절의 승강장 터 사진은 해당 링크에서 열람 가능하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원선]]과 [[금강산선]]의 폐지된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외촌리 655-27번지 일대 소재. 참고로 철원역은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내부이기 때문에 출입심사를 통과해야 철원역 터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의 [[거리뷰]]를 볼 수 없다. == 역 정보 == 원래 철원역이 자리한 곳은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춘천시|춘천읍]](현 춘천 시내)에 버금갈 정도로 번성하던[* 1944년에 춘천읍 인구가 37,542명, 철원읍은 30,186명으로 강릉읍, 원주읍보다도 많은 인구가 거주하던 곳이었다. 가히 그때에 철도 중심지로서의 높은 위상을 알 수 있다. 지금과는 확연히 다르다.] 옛 [[철원군]]의 시가지 지역이라서 기본 [[수요]]가 큰데다가, [[금강산선]]의 [[분기#s-1.4|분기점]]이었기 때문에 기본 철도 시설 말고도 [[금강산선]]의 [[조차장]], [[사무실]], 전기시설, [[여관]]이 밀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무려 [[서울역]]이나 [[용산역]]과 견줄 만한 전철역이었을 정도로 손꼽히는 번화가였고 위상이 높은 지역 중의 하나였다. 사실 예전부터 철원은 [[한성부]]와 [[원산시|원산]]을 잇는 삼방간로가 관통하는 지역인데다 [[역참]]도 있었고, [[금강산선]] 철도를 타고 [[원산]]의 해수욕장과 [[금강산]]을 여행할 수 있는 분기점이라서 [[재래시장]]까지 있었던 상당히 번화했던 곳이었다.[* 금강산은 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8.15 광복까지 시대를 막론하고 수많은 문학과 예술의 배경으로도 인기가 많았던 관광지였다.]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서울]]이나 [[평양]]에서 [[동해안]]으로 놀러간다고 하면 으레 [[경원선]]과 [[금강산선]]을 타고 원산이나 금강산으로 놀러간다고 생각했을 정도로 한반도의 대표적인 휴양지로 명성이 높았다. 이런 상황에서 [[철도]]까지 들어섰으니 더더욱 번성하는 것이 당연했고, 사실상 [[강원도]] 북부 철도 교통의 중심지였다. 오늘날에도 규모를 짐작할 수 있는 방법이 지적도를 보는 것인데, 전철역 터가 보전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아일보]]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1928년에 역사를 신축했고, 1934년 3월 9일에는 구내과선교와 승강장 지붕까지 설치했다. 남아 있는 사진들을 보면, 옛 [[조치원역]]처럼 벽돌색 2층 역사이다. [[http://map.naver.com/?menu=location&mapMode=0&lat=38.2724359&lng=127.1950668&dlevel=12&cadastral=on&enc=b64|네이버지적도]]로 살펴보면 규모가 '''60,000여 평'''에 이른다. [[의왕역]]이 55,000평인 것을 감안하면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그리고, 직원들도 80여 명이 배치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오늘날 이 정도로 배치된 역은 [[청량리역]], [[영등포역]], [[오봉역]], [[수원역]], [[제천역]], [[익산역]], [[영주역]], [[동해역]] 등 정말 굵직굵직한 철도역들 뿐이다. 물론, 일일이 사람 손으로 만져줘야 하는 부분이 많던 20세기 전반의 철도를 단순하게 견주는 것은 좀 무리가 있기는 하다.[* 또 [[한국철도공사]]에서 인력 감축이 눈에 띄게 진행된 것도 고려해야 한다.] 사실 근무 인원이 더 많은 [[역(교통)|역]]들도 있다. [[서대동부|서·대·동·부]]라든가 [[수색역|수색]]이라든가... [[강원도]]에서 추진하는 [[원주춘천선]]의 종점으로 계획되어 있다. 해당 문서 참조. == [[6.25 전쟁]]의 상흔이 그대로 남아 있는 곳 == ||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048039_52a951ad93236.jpg|width=100%]] || || 출처는 [[http://epoque.egloos.com/v/3997227|여기]] 구내 과선교가 박살난 채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br] 부서진 과선교(구름다리)는 철원역을 상징하는 랜드마크였다. || || [[파일:舊철원역사54년항공사진.png|width=100%]] || || 옛 철원역의 1954년도 항공사진[* 전쟁 때에 항공폭격으로 생긴 화구가 보인다. 오른쪽 상단은 월정리 방면, 왼쪽 하단은 서울 방면이고 가운데 하단은 [[금강산선]]이다.] || 애석하게도 [[6.25 전쟁]]으로 인해서 완전히 사라졌다. 승강장은 없어지고 [[급수탑]]은 폭파되었으며, 선로도 흔적만 남기고 사라졌다. 물론 옛 철원 시가지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 까닭은 철원읍지역을 중심으로 [[백마고지 전투]]와 같은 대격전이 장기간에 걸쳐서 펼쳐졌기 때문이다. 역사(驛舍)는 [[연합군]]이 상륙하면서 없어졌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1945~50년 사이에는 이 지역이 [[삼팔선]] 이북 [[소련]]과 [[북한]]의 통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대한민국]]쪽은 자료가 없다. 따라서 위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북한자료가 상세히 알려져야 한다. 선로는 철원역 터 이남으로 [[신탄리역]] 방향과 [[금강산선]] 분기점 [[사요역]] 방향, 이북으로는 [[월정리역]] 방향으로 모두 세 방향으로 있었으나 이는 역시 오래전 철거되었으며, 노반흔적들은 휴전이후 주민들이 땅을 논과 밭으로 개간하며 조금 없앤 곳도 있으나 부분 부분 보존되어 있다. 구글어스로 주변을 보면 옛 경원선, 금강산선의 노반이 조금씩 보일 것이다. 한동안 방치되다가 1988년에 안보관광목적으로 잔해를 복원[* 이때에 월정리역도 같이 정비되었다. 철원역은 북쪽으로, 월정리역은 남서쪽으로 조금 옮김.]한 뒤 관광지로 활용하고 있다. 다만 민통선 이북 지역에 있기 때문에, 관광시간과 인원이 철저히 제한되고 출입할 때에 검문검색을 필수로 받아야 한다. 또 상태가 워낙에 빈약[* 위 사진대로 역사도 없고, 1면 1선의 승강장에 역명표를 세워놓은 것이 전부이다.]하다 보니 안보관광교육 등의 코스도 [[월정리역]][* 일단 이쪽은 역사(驛舍)가 있고, 폐기관차 등의 전시물이 보다 충실하다.]으로 가지, 철원역은 지나가면서 설명만 이루어지는 정도로 끝난다. 따라서, 직접방문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이 지역을 [[위수지역]]으로 삼는 [[대한민국 육군]] [[제6보병사단]]의 허가를 받아 개인방문하는 편이 쉽다. 2006년 [[5월 3일]]에 구내에 '''[[남북통일|통일]] 염원의 침목'''이라고 쓰인 상징탑이 건립되었다. == 복원 == [Include(틀:철원군의 관광)] 2007년에 [[신탄리역]]에서 끊긴 [[경원선]]을 [[철원]] 부근까지 연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다. 철원역 자리인 외촌리지역이 민통선 이북인 관계로 옛철원까지 복원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다가 민통선 이남인 대마리에 [[백마고지역]]을 만드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철원군]]민들은 옛날의 철원에 철원역이 들어서야 된다고 생각해서 대마리에 들어서는 역을 철원역과는 별개인 역으로 간주하여 [[백마고지역]]으로 이름을 정함에 따라 철원역은 아직도 복원되지 못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017년]] 11월까지 [[백마고지역]] ~ 철원역 ~ [[월정리역]] ~ [[군사분계선]] 사이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http://news.donga.com/3/all/20150419/70789458/1|#]] [[2015년]] [[8월 5일]]에 [[백마고지역]]에서 백마고지-월정리구간 단선비전철 복원구간 '''기공식'''이 열렸다. 하지만, 여전히 민통선 북쪽에 있어서, [[경의선]] [[도라산역]]처럼 개통 뒤에도 출입증이 필요할 듯 하다. 이것은 [[월정리역]]도 마찬가지. 그러나 2016년에 들어서 남북관계가 냉각되면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사업자체가 난항을 겪고, 토지보상도 지연되면서 복원중단에 이르렀다.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0346|#]]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0/28/0200000000AKR20161028153600062.HTML|관련 기사]] 그리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최악의 사태]]가 터지면서 중단되었다. 당연히 [[철원군]] 주민들은 기를 쓰고 재개하라고 1년 넘게 요구하며, 릴레이 편지쓰기를 하고 있다. [[2017년]]부터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다시 남북관계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좋아질 조짐을 보이고 있었지만, 현재 [[철원역]], [[월정리역]]구간 복원은 사실상 무산되었고, [[백마고지역]]을 직접 답사하여 확인해보면 [[철원역]], [[월정리역]] 방면으로는 공사가 전혀 진행되어있지 않다. [[네이버 지도]]를 보면 [[백마고지역]] 이북으로 연장공사 진행중이라는 공사진행 표시선이 되어 있다. 이 구간의 공사는 멈춰있는 대신 '''경원선 백마고지-월정리 간 용지 매수(토지매입)는 계속 진행하고 있다'''. [[https://www.kr.or.kr/usrsrch/list.do?srchType=R&m=06040103|국가철도공단 수도권본부 사업지원처 토지보상부]]를 보면 '''경원선 남측구간(백마고지~군사분계선) 토지보상업무를 하는 담당자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022년]] [[11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620호를 보면 실시계획을 [[2024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한 상태이며, 해당 고시문에 '''강제 수용할 토지 목록'''도 나와 있으니 참고할 것이다. [[http://www.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I0000000000000001667200453908000&tocId=I0000000000000001666856244750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22-620%25ED%2598%25B8(%25EA%25B2%25BD%25EC%259B%2590%25EC%2584%25A0%25EB%2582%25A8%25EC%25B8%25A1%25EA%25B5%25AC%25EA%25B0%2584(%25EB%25B0%25B1%25EB%25A7%2588%25EA%25B3%25A0%25EC%25A7%2580~%25EA%25B5%25B0%25EC%2582%25AC%25EB%25B6%2584%25EA%25B3%2584%25EC%2584%25A0)%25EC%25B2%25A0%25EB%258F%2584%25EB%25B3%25B5%25EC%259B%2590%25EA%25B1%25B4%25EC%2584%25A4%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8B%25A4%25EC%258B%259C%25EA%25B3%2584%25ED%259A%258D%25EB%25B3%2580%25EA%25B2%25BD%25EC%258A%25B9%25EC%259D%25B8)|전자관보]] [[2022년]] 7월 철원역 인근 [[철원 노동당사|노동당사]] 건너편에 [[일제강점기]] 시절 철원역과 철원 시가지를 재현한 철원 근대역사문화공원이 조성되었다. 역사문화공원 내에 재현복원되는 철원역에서는 대합실에서 표를 구입해 소이산 모노레일을 타고 소이산 정상 인근까지 올라갈 수 있다.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26361|#]] 하지만 재현과 관련하여 왜색 및 일제 침략 미화 논란이 있다. [[https://m.hani.co.kr/arti/area/area_general/1034439.html?_fr=gg|#]] == 역 주변 정보 == 역사로부터 약 1㎞ 떨어진 곳에 [[2009년]]에 개관한 철원근대문화유적센터가 자리 잡고 있는데, 철원얼음창고(등록문화재 제24호), 농산물검사소(등록문화재 제25호)와 더불어, 제2금융조합건물지(등록문화재 제137호)가 있다. 옛 시가지 관련 유적과의 연계를 목적으로 조성된 것. == 옛 운행계통 == ||<-5> [[경원선|{{{#000000,#ffffff '''경원선'''}}}]] || || [[용산역|{{{#gray 용산}}}]] {{{#gray 방면}}}[br][[신탄리역|{{{#000000,#ffffff 신탄리}}}]] || {{{+1 ←}}}[br]9.4 ㎞ || {{{#000000,#ffffff '''철 원''' }}} || {{{+1 →}}}[br]5.0 ㎞ || [[원산역|{{{#gray 원산}}}]] {{{#gray 방면}}}[br][[월정리역|{{{#000000,#ffffff 월정리}}}]] ||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원선의 역 목록)] [include(틀:금강산선의 역 목록)] [[분류:191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50년 폐지된 철도역]][[분류:2024년 개업 예정인 철도역]][[분류:강원도의 폐지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건설 중인 철도역]][[분류:경원선]][[분류:금강산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